• Title/Summary/Keyword: 재량수업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Discretion Class by Introducing Science.Mathematics Specialized Subject Classroom System (과학.수학 특성화 교과교실제의 도입에 따른 과학 재량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Jeon, Hwa-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1 no.4
    • /
    • pp.557-566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bject classroom system by examining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discretion class, which was newly developed as Science Mathematics specialized subject classroom system. Science discretion subject proceeded through inquiry experiments in the subject classroom, applying both block scheduling and divided classes.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in order to find out what the students thought about science discretion subject and subject classroom clas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students considered that the teachers have prepared with enhanced enthusiasm and the classes have become more interesting. The satisfaction level for experiment centered subject was very high (84%) and significantly higher in case of science-oriented course students (p<.05) and upper level students (p<.01). In addition,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favorably about block scheduling and divided classes.

The Impact of Introduction of Five-day School Week on Adolescents' Time Use (주 5일 수업제 도입이 청소년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 Lee, Yong-Kwa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7 no.2
    • /
    • pp.49-78
    • /
    • 2014
  •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s of introducing Five-day school week in South Korean on adolescents' time use. Exploiting the exogenous variation in the adolescents' time at school on Saturday, I estimate the causal effect of change of adolescents' discretion time on their time us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introduction of the five day school week increased the adolescents' discretion time and their time spent on sleeping, passive leisure(mainly watching television). A one-minute decrease in the adolescents' time at school increase their sleeping time by 0.46 minute and passive leisure time by 0.26 minute.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Computer Teaching -Learning Model through Analysising Other Subject Teaching-Learning Model (타교과 수업모형 분석을 통한 컴퓨터교과 수업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Kwang-Woo;Han, Su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02-110
    • /
    • 2004
  •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필수적으로 36시간 이상의 수업을 하도록 전장하고 있다. 이에 각 시 도에서는 자체적으로 교재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도 나와 있다. 그러나 컴퓨터 내용학에 관한 교수 모형은 타 교과에서 만들어진 것을 차용하거나 컴퓨터 교과에 무리하게 적용한 것이 대부분이라 하겠다. 또한 컴퓨터 내용학보다는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기능 위주의 교육 내용 편성이 대부분이라 내용학을 다루는 것은 극히 일부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 내용학의 교수 모형을 제시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내용학을 가르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현재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에 연연하고 있는 재량 활동 시간의 정보통신교육보다는 앞으로 정규교과목으로 지정될 것을 전제로 컴퓨터 내용학을 중심으로 한 교수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n Organization of Computer Education through Analyzing Learning Content of Other Subjects - Case of Computer Science. - (타교과 수업 내용 분석을 통한 컴퓨터 수업내용 체계화 연구 - 컴퓨터 내용학을 중심으로 -)

  • Gwon, Yeong-Seop;Han, Seon-Gwan;Kim, Yeong-G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69-76
    • /
    • 2006
  • 컴퓨터 교과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컴퓨터 교육이 독립교과로 채택되어야 함에도 재량시간으로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 교과별 수업 내용 분석을 통해 컴퓨터 교과의 수업 내용 체계화를 연구하여 독립교과로서의 자리잡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우선 타교과 수업 내용 분석을 하였으며 각 교과의 내용 체계에서 컴퓨터 교과로 선정할만한 내용들을 조직하여 컴퓨터 교과의 내용 체계를 제시해 보았다.

  • PDF

The Effect of Programming Education Using Scratch on Improving Problem Solving Ability (Scratch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J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07-312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래밍 수업을 재량시간을 통해 진행하려 한다. 프로그래밍 수업은 전문 용어, 결과가 눈에 쉽게 보이지 않는 이유 등으로 초등학생에게는 지루하고 어려워서 적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을 아동인지단계에 맞추어 흥미를 느끼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Scratch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수업을 하고자 한다. 단일 집단에게 수업을 실시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Scratch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Learning Motivation Induction Effects for Depressed Students in Elementary Figure Domain Mathematics Courses using the Dolittle Education Programming Language (두리틀 EPL을 이용한 수학 도형 영역 학습 부진학생의 학습동기 유발 효과분석)

  • Park, Sang-Seon;Hur, Ky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93-98
    • /
    • 2009
  • 본 논문은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을 수학 교과 수업과 연계 적용하여, 수학 도형 영역에 학습부진 요소를 가지고 있는 기초학습 부진학생과 교과학습 부진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 동기 유발에 있어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언어 수업의 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두리틀 프로그래밍 교육이 수학과 수업과 연계한 재량 활동 교육 내용으로 적합한 교육 내용임을 검증한다.

  • PDF

초등학교 교과서 내 영양교육 내용 분석 및 재량활동을 통한 영양교육안 개발

  • 이경혜;허은실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32.1-432
    • /
    • 2004
  • 초등학교 시기가 올바른 식습관 형성에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지 못하는 현실에서 2006년부터 시행되는 영양교사화에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적극적인 영양교육을 행하기 위해서는 수업확보도 중요한 문제이지만 적절한 교재 및 매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 제7차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가 재량활동의 신설 및 확대일 것이다. 그러나 아직 학생들과 학부모의 호응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 운영되지 못하고 있고, 교재 또한 개발되어 있지 않아 일관된 교육을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중략)

  • PDF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Fairy-Tale Book of an Augmented Reality Based on Smartphone and Web browser (웹과 스마트폰 기반의 증강현실 동화책 구현 및 적용)

  • Lee, Jae-Inn;Yoo, Seoung-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6 no.2
    • /
    • pp.201-209
    • /
    • 2012
  • The 2009 revised curriculum has been revised to increase the time allocated to creative discretion. Accordingly, in many schools, discretionary activities have been replaced by reading and essay writing. However, these activities do not differ from existing classes and student's interest in those activities is minimal. This study has applied two kind of the AR program, which is designed and implemented using Smartphone in the classroom,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A browser-based AR, created by Junaio and QCAR-authored Smartphone-based AR fairy tale book, are easy to use in class by the students themselves. We applies to Fourth grade student in reading education this AR programs. As a result of test, the students in actual reading classes responded that their interest in the lesson and their understanding of fairy tales has increased.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Children's verse learning system in discretion activity (재량활동시간에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동시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 Choi, Joo-A;Moon, Wae-Shi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46-251
    • /
    • 2007
  • 독서 교육은 종래의 종이책 위주의 독서에서 종이책과 인터넷의 멀티미디어를 병행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재량활동 시간에 독서관련 활동을 선택하는 학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각 분야에서 이와 관련된 웹을 활용한 독서지도프로그램이 많이 연구되고, 제안되고 있다. 위인전이나 동화, 영어이야기 등의 분야는 웹을 활용한 여러가지 활동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초등학생을 위한 동시를 즐길 수 있는 내용들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종래의 동시지도는 주로 교사와 텍스트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활동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사고하고 연상함으로써 동시를 학습(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재량활동에 사용)할 수 있도록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동시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