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Discretion Class by Introducing Science.Mathematics Specialized Subject Classroom System

과학.수학 특성화 교과교실제의 도입에 따른 과학 재량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 Received : 2011.01.13
  • Accepted : 2011.05.18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bject classroom system by examining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discretion class, which was newly developed as Science Mathematics specialized subject classroom system. Science discretion subject proceeded through inquiry experiments in the subject classroom, applying both block scheduling and divided classes.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in order to find out what the students thought about science discretion subject and subject classroom clas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students considered that the teachers have prepared with enhanced enthusiasm and the classes have become more interesting. The satisfaction level for experiment centered subject was very high (84%) and significantly higher in case of science-oriented course students (p<.05) and upper level students (p<.01). In addition,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favorably about block scheduling and divided classes.

본 연구는 B-1 교과교실제의 실시에 따라 신설된 과학 재량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교과교실제의 실시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 재량 과목은 탐구 실험 수업으로 교과교실에서 진행되었고, 블록타임제와 분반 수업을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교과교실제 수업과 이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2차례에 걸쳐 학생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학생들은 교과교실제 수업으로 인해 교사의 수업 준비도, 수업 흥미도가 높아졌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과학 실험 중심의 과학 재량 과목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며(84%), 이공 계열 지망 학생(p<.05)과 성취도 상위권 학생(p<.01)의 경우 유의미하게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블록타임제와 분반 수업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9). 교과교실제 추진 기본 계획(안). 교육과학기술부.
  2. 김명호(2006). 교과전용교실제 운영에 관한 연구: 교사와 학생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 박영숙(2009). 교과교실제의 추진과 전망. 교육개발, 36(2), 18-23.
  4. 신정철 & 정지선 & 신택수(2008).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그 영향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1), 287-313.
  5. 이성춘(2004). 중학교에서의 교과전용 교실제 운영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6. 이화룡(2009). 교과교실제 운영의 특징.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6(4), 18-20.
  7. 조진일(2009). 교과교실 개선이 교수 - 학습 활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사 분석 연구. 연구보고 RR 2009-35-3, 한국교육개발원.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한국교육평가학회(2010).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결과 분석. 연구자료 ORM 2010-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John B. Lyons.(2001). Do School Facilities Really Impact a Child's Education? A CEFPI Brief on Educational Facility Issues. Council of Educational Facility Planners International.
  10. Cynthia Uline. & Megan Tschannen- Moran.(2008) The Walls Speak: The Interplay of Quality Facilities, School Climate, and Student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46(1), 55-73. https://doi.org/10.1108/09578230810849817
  11. Peter Rudd., Frances Reed & Paula Smith.(2008). The effects of the school environment on young people's attitudes towards education and learning. Summary Report, National Found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

Cited by

  1. 수학과 교과교실의 효율적인 환경 구성과 운영을 위한 방향 탐색 vol.26, pp.1, 2011, https://doi.org/10.14477/jhm.2013.26.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