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 및 안전훈련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elopment of Disaster Safety Program for Small-sized Workplaces and Its Introduction to Occupational Safety&Health Act: Focusing on Fire, Explosion and Chemical Spill (소규모 사업장 재난안전 프로그램 개발 및 산업안전보건법에의 도입방안: 화재, 폭발, 약품 누출을 중심으로)

  • Ko, Seung-cheol;Eum, Tae-Soo;Song, Chang-Ge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7
    • /
    • pp.84-90
    • /
    • 2021
  • 98.8% of accidents occurring in domestic companies are concentrated in small-sized workplaces with fewer than 50 employee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disaster safety program that can be implemented b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ctively used with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industrial safety and facilities. The disaster and safety program included the scope of application, organizational structure, risk assessment, emergency response system, education and training, safety equipment provision and program evaluation, and detailed preparation methods and procedures for each item. In addition, items to be aware of when operating a disaster safety program and operational strategies were presented. After that,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the research results in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 Study on the Awareness of Safety Security Manpower of Important Wooden Cultural Heritage (중요목조문화재 안전경비인력 의식조사 연구)

  • Shin, Hojoon;Koo, Wonhoi;Baek,Min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2
    • /
    • pp.137-144
    • /
    • 2013
  • This research examined the business system and current status of the safety security manpower managing directly important wooden cultural heritage and grasp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arrangement, age, and duties of safety security manpower arranged in 158 important wooden cultural heritages. Also, it intends to highlight the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safety security and suggest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wooden cultural heritages preventive measures in the future.

Serious Game Scenario Design for Earthquake Response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Gyeongsangbuk-do Province (지진대응 교육 및 훈련을 위한 Serious Game 시나리오 설계방법론 개발 -경상북도를 사례로-)

  • Kim, Seong-Jae;Choi, Ji-Hyang;Nam, Kwang-Hyu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4
    • /
    • pp.769-777
    • /
    • 2021
  • Purpose: Earthquake disasters are frequently occur unpredictable situations due to various variables and unexpected situations. As a result, the work process itself is not uniform, making it difficult for public officials in the disaster safety department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earthquake field manual. This paper is specifically and accurately grasp the current work situation conducted by the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of the Gyeongsangbuk-do Office and present a plan for designing serious game scenarios necessary for field manual learning. Method: In this study, scenarios were designed based on the GBS(Goal Based Scenario) model, and in the process of assigning missions and roles based on the Gyeongsangbuk-do earthquake field manual, public officials related to earthquakes were able to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to solve practical tasks. Result: Scenario data of the proposed technique was implemented as a systematic procedure by processing various earthquake-related information into logical data and simplifying and abstracting it for game expression for earthquake situation training. Conclusion: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due to learning through serious games, related public officials of Gyeongsangbuk-do provincial are expected to be able to respond quickly to various earthquake disasters.

A Study on the Applying of the Disaster Information Center of High-rise Complex Building (초고층 복합빌딩의 방재센터의 방재정보센터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Kim, J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15-116
    • /
    • 2023
  • 최근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더욱이 건설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초고층 복합빌딩의 계획과 건설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초고층 복합빌딩에서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거주자의 대피 및 소방공무원의 화재진압 활동이 어려워 국가적 재난으로 확대될 위험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고층 복합빌딩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거나 발생하는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재난관리를 통합적으로 하기 위한 방재정보센터의 운영이 무엇보다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복합빌딩의 개념과 문제점에 분석하고, 방재정보센터의 특성 및 향후 방안을 고찰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The Research of the Efficiency of Emergency Management System (재난관리의 효율성 향상 방안)

  • Jeon, Jeong-Seok;Chung, Y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13-418
    • /
    • 2010
  • 인류가 살아온 역사는 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과정의 연속이였다. 효율적인 재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도 통합관리체제로 재편되어야 할 것이다. 기초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가 상당히 미흡한 상태이기에 광역지방자치단체와 긴밀한 상호공조체제 유지로 역할 분담을 명확히 하여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재난관리 전문인력을 집중 육성 및 구난장비의 확충과 더불어, 국민들의 안전의식 수준을 향상시키고 위기 상황발생시 극복할 수 있는 가상체험 훈련 등을 통하여 유사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을 설계하고, 재난관리 대응매뉴얼을 활용하여 재난시 국민들이 슬기롭게 대처하여 재난피해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 PDF

Reliability and Validation of the Measurement Tool of SSEIT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for Construction Worker (건설현장 근로자 SSEIT감성지능모델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검증)

  • Moon, Y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99-100
    • /
    • 2023
  • 최근 중대재해처벌법의 목적은 건설업 주체 구성원들의 안전불감증을 방지하기 위해 CEO의 안전참여 문화를 강조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리더의 감성 수준이 높을수록 업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감성능력을 요구하는 추세라고 주장하였다4). 본 연구에서 경영자 (CEO) 리더십 및 안전관리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감성안전 측정으로 건전하고 간단한 EI 측정개발도구에 대해 신뢰도를 검증한다. Schutte Self-Report Emotional Intelligence Test (SSEIT)의 감정 조절 모델을 적용하면 리더와 안전관리자의 EI가 안전업무 수행과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야 한다. 또한 건설 안전관리 직업의 재해피해가능성스트레스 감정 노동이 EI-활용훈련 결과 감정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 PDF

Study on Recognition Attitudes of Residents on Safety Management against Disasters of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Chungcheongbuk-do (지방자치단체의 재난안전 관리에 대한 주민 인식태도 연구 - 충청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

  • Lee, Sang-Yeol;Nam, Jae-Sung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58
    • /
    • pp.81-106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safety management system against disasters perceived by local residents of Chungcheongbuk-do and then examined the policy directions to be considered in order for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 safety level of residents and build an effective safety management system against disaste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ir recognition of risks of safety against disasters, recognition on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natural disasters was higher than that of social disasters or safety accidents. Secondly, also in the aspect of the importance of category of safety management against disasters, they recognized that of natural disasters far higher than others. Third, they showed satisfaction higher than average with basic job performance of local governments related with safety management, whereas they showed relatively less satisfaction with the aspects of check and publicity of risk factors, and short-term restoration system out of phased job performance. Fourth, in the aspect of capability of local governments for safety management against disasters, they rated positively capability of the responsible departments and the professionality, whereas they relatively underestimated the scale or budget of safety-related organizations. Fifth, the policy directions to be taken for safety against disasters by local governments included strengthening of regular education like experience-based training, expansion of education among local residents, more support for relevant facilities and resources, activation of residents-participating campaigns, improvement of apparatus and personnel treatment related with firefighting and security, frequent patrol and oversight, more exercises against disasters. So, to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system against disasters in local governments and build a effective responding system may need to extend programs assisting vulnerable class to safety against disasters, build a community-friendly safety management system, extend the cooperation system by participation of residents, enhance collaboration and support system with safety-related bodies like police, firefighters.

A Study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Policy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CBMS (4차 산업혁명과 ICBMS를 활용한 재난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Kang, Heau-J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6
    • /
    • pp.1213-1216
    • /
    • 2017
  • Recently due to the increasing uncertainty of the disaster environment caused by climate change the effects of disasters have become larger due to the confluence and solidification diversification into disaster type and secondary damage. In this paper, we apply ICBMS through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g data analysis to all processes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to minimize human,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 damage from accidents or disasters, and prevention by control technology preparation by education and training expansion to remember by body, response by advanced technology of disaster response unmanned technology restoration by creation of local community environment ecosystem, investigation and analysis by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learn about disaster safety management 4.0. In addition, technical limitation and problem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pplication of big data were analyzed and suggested alternatives and strategies to overcome.

Development of Scenario for Utilization in Education of Disaster Response Robots and Effective Analysis of its Application (재난안전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및 그 활용의 효과분석)

  • Kang, Ung 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4
    • /
    • pp.160-166
    • /
    • 2021
  • In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a scenario for educational utilization of disaster response robots that can be used at fire sites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cenarios according to robot utilization education. Our scenarios were developed based on direction, reality, and rationality determined through the use of a questionnaire survey distributed to current firefighters. In additi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disaster response robots and training effectiveness were analyzed through repetitive robot control training by a robot development team, current firefighters, and college students. Robot control was divided into direct control, monitor control, and simulation control, and tests were carried out five ti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obot control test, the average time spent for each group was 28 seconds for college students, followed by development teams (30second) and incumbent firefighters (38secon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alysis results, firefighters (maximum 35second) in direct control, the development team (maximum 14second) in monitor control, and firefighters (maximum 22second) in simulation control showed the effect of shortening control time. These results show that robot control education and training is necessary for robots to be used more effectively at disaster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