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경훈, 이병기 (2015). 지방자치단체 안전관리 역량강화 방안 연구-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369-391.
DOI
|
2 |
김봉철 (2014).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상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그 강화방안.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24-327.
|
3 |
김영미 (2017).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방정부 재난안전 거버넌스: 서울시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1), 61-67.
DOI
|
4 |
남궁근 (1995). 재해관리행정체제의 국가간 비교연구. 한국행정학회보, 29(3), 957-979.
|
5 |
박동균 (2007). 시민보호를 위한 세계 재해구호 거버넌스와 재난관리 협력 체계. 충북대 국가위기관리연구원 학술세미나 자료집, 84.
|
6 |
박동균, 장철영 (2018). 제천화재참사 사례를 통해 본 한국 위기관리행정의 문제점. 한국지방자치연구, 19(4), 133-156.
|
7 |
안혁근 (2010).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한 민관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방안.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17-130.
|
8 |
양기근 외 (2006). 지방정부의 재난관리조직의 개선방안-통합형 재난관리 조직설계.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25.
|
9 |
유병태, 오금호 (2013a). 재난관리 공시체계를 통한 지방자치단체 재난역량강화 방안. 한국위기관리논집, 9(5), 58-63.
|
10 |
유병태, 오금호 (2013b).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자체 역량분석 프로그램 개발.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9(3), 267-268.
|
11 |
유은지, 엄영호 (2017). 지방정부간 재난관리의 차이는 왜 발생하는가?: 지방정부 재난관리기금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4), 89-113.
|
12 |
이재은 외 (2005). 미래사회의 환경변화와 재난관리시스템 발전전략 : 국가핵심기반 위기를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15(3), 53-83.
|
13 |
이호동 (2011). 지방자치단체의 위기관리 역량강화 방안 : 일본의 지방위기관리체계 사례분석과 시사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3), 25-48.
|
14 |
이훈래 (2015).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5(4), 129-130.
|
15 |
조석현 (2017). 재난관리의 민관협력체계에 대한 폐기학습 이론의 도입가능성 모색.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3(1), 43-62.
|
16 |
채 진 (2012). 다조직 재난관리 협력체계 분석. 한국행정학보, 49(2), 57-59.
|
17 |
윤필환 (2017).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8 |
최용호 (2005). 지방정부의 사전대비 재난관리체제 효율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76-679.
|
19 |
Karwan, K. R., & Wallace, W. A. (1984). Can We Manage Natural Hazard? : Book Review.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4, 177-181.
DOI
|
20 |
McLoughlin.Peter F. M. (1985). Subbiah Kannappan: employment problems and the urban labor market in developing nations. Journal of Economic Issues, 19(4), 1022-1026.
DOI
|
21 |
http://m.knnews.co.kr/mView.php?idxno=1217673&gubun, 2018.12.01 검색.
|
22 |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223359, 2018.12.02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