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현장 대응체계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afety Leader - 구미 119화학구조센터 주영국 센터장

  • Kim, Seong-Dae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5
    • /
    • pp.16-17
    • /
    • 2014
  • 2012년 9월 27일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 일으켰던 구미 불산 사고와 이후에도 꾸준히 발생한 각종 화학물질 누출사고를 계기로, 산업현장의 각종 화학사고에 대한 선제적이고 일사분란한 대응, 그리고 현장 중심 예방대책의 중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 정부는 지난해 7월 안전정책조정회의에서 '범정부 화학재난 안전관리체계 개편방안'을 내놓고, 시흥, 익산, 구미, 서산, 여수, 울산지역 6개 산단 내에 환경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소방방재청 등이 참여하는 합동방재센터를 운영하기로 했다. 그리고 지난해 12월 5일 구미 국가산단 내에 합동방재센터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개소하게 된다. 합동방재센터 중 '구미 119화학구조센터'는 예방 활동은 물론, 신속한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곳 119 화학구조센터 주영국 센터장을 만나 방재센터가 지향하는 궁극적인 목표와 운영방침 등을 들어봤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ational Fire Investigation Data (국가 화재조사 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 Kim, In-Tae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0 no.4 s.64
    • /
    • pp.105-109
    • /
    • 2006
  • Fire station is a response agency of disaster management. Its various field experience and materials could build up to database to support fire prevention and fire fighting, but it has not been worked out efficiently. To overcome this inefficiency,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NEMA) has made total improvement in "National Fire Investigation Data Classification System" mainly done by its Fire Investigation and Analysis Team. This study reviews existing fire investigation and data accumulation and analysis process so that it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National Fire Investigation Data Classification System" operation.

Establishment of Corresponding Criterion for Flood Damage Mitigation Considering Dam Operation (댐운영을 고려한 지자체 홍수대응기준 수립)

  • Cho, Wan Hee;Park, Tai Hyun;Kim, Hyeon Sik;Lim, Dong Jin;Kim, Kwang Cho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52-452
    • /
    • 2018
  •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집중 호우, 가뭄 등 기상 이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서 물 관리의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중소하천은 하천의 경사가 급하고 하천길이가 짧아 홍수파의 이동시간이 짧기 때문에 홍수대비를 위한 시간이 매우 짧다. 국회예산정책처(2012)에 따르면 과거 5개년간(2007~11) 발생한 자연재해 피해 중 87%가 집중 호우 및 태풍에 의한 피해이며, 이 중 98.7%가 중 소규모 하천에서 발생하였다. 그러나, 중소하천 관리를 담당하는 지자체는 열악한 재정 여건으로 인해 예방보다 사후복구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또한 최근 하천 고수부지에 주차장, 위락시설 등 공간적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홍수발생시 위험성도 증가하고 있어 예방 및 대응 중심의 홍수대응기준 수립이 시급하다. ICT 인프라를 이용하여 유관기관의 실시간 수문자료를 공유하고, 수집된 실시간 수문자료를 활용한 홍수분석 및 홍수대응 기준 대응기준 수립을 통한 예방적 재난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지자체를 대상으로 홍수분석 모형을 구축하고, 구축된 모형의 계산결과를 활용하여 예상강우별 도달시간, 수위상승 등을 예측하고, 하천수위별 홍수대응기준을 수립하였다. 수위별 대응기준은 현장에서 계측되는 수위값을 기준으로 홍수예보기준, 하천기본계획의 제방고 및 주변 제약 사항을 고려하여 직접알람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A지자체는 상류에 B댐이 위치하여 홍수시 B댐 수위 및 운영의 영향을 반영하는 홍수대응기준의 수립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 시나리오별 모형분석을 통하여 예상되는 호우사항에 대한 홍수대응기준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로 산정된 홍수대응기준의 지속적인 보완, 실시간 수문자료 공유체계 확대, 재해관련 책임기관과의 유기적인 기술교류 등을 통해 지자체 및 중소하천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능동적인 홍수대응 체계 구축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phased warning water level for flood warning in disaster prone area in Busan (부산광역시 재난취약지역의 홍수 예·경보 발령을 위한 단계별 기준수위 산정)

  • Yoon, Eui Hyeok;Lee, Jae Hyeok;Lee, Yeong Gon;Shin, Hyun Sh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6-266
    • /
    • 2016
  • 2014년 8월 25일 시간당 130mm 이상의 폭우로 인하여 부산시 중구를 제외한 부산 전역에 걸쳐 인명 및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부산광역시의 지형특성상 고지대에 주택 등이 조밀하게 개발되어 불투수층의 증가 및 배수처리의 한계로 침수지역이 다량 발생하였고, 절개지 및 옹벽 등이 많은 지역, 소하천 및 산업단지 조성 후 지반이 약화된 지역 등에서 주로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부산지역에서 도시홍수로 인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기장군과 부산광역시 일부 유역에 대하여 홍수 예보 시설을 설치 운영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재해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재난취약지역으로 선정된 기장군 일대와 부산광역시 일대의 총 10개 지점(14개소)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수위관측시스템 설치를 위한 적절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지점에 대하여 수리모형(HEC-RAS)을 구축하였다. 수리모형에서 산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하천의 현실에 맞는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각 각의 4단계 기준수위(둔치위험 수위, 주의보 수위, 경보 수위, 하천범람 위험 수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각 지점별로 산정된 단계별 기준 수위를 이용하여 재난취약지역으로 선정된 기장군 6개 지점과 부산광역시 4개 지점에 대하여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기준 수위 산정 결과"를 도출하였고, 위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에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도심 재난 예방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위 지점에 대하여 지속적인 하천 정비 등의 사후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부산광역시의 다른 재난취약지역에 대하여 보다 개선된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재 국가하천에 대하여 시행되고 있는 홍수 예보와 같은 재난 예방 시설의 구축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Countermeasure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of Pohang, Korea (우리나라 포항지진 재난관리에 대한 중앙·지방정부 간 대책 방안 연구)

  • La, Hong 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2 no.3
    • /
    • pp.25-34
    • /
    • 2019
  • Modern disasters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and recover after accidents are very important. Our government's current response to these accidents is not appropriate. As for disaster management so far, it has been the center of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efforts, and has been led by the government against it. The reality is that most private organizations and agencies have only subsidized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Korea is no longer a safe zone for earthquakes. Now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earthquakes in the diagnosis is very urgent and the problems of the operational disaster management, which the problems of the nation.Policies to improve academic efforts to seek alternative proposal is also at a time when volume can be said to be very big need to mine. This study from 2016 to 2019, about the earthquake that took place betwee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based on analysis of data to. First of all, research 1: What was the government's plan on Pohang earthquak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idents' evacuation of Pohang was important in the Pohang earthquake, but for the sake of students' safety, they were directly assigned to the test site to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Therefore, the research and analysis shows that the nation should continue to think about the causes and responses of the damage at the disaster site and strive to develop technologies and methods to minimize the damag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Content Scenarios for On-Site Commanders Engaged in Firefighting Activities (소방활동 현장지휘관 훈련용 콘텐츠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 Chun, Woo-Young;Lee, Ji-Hee;Kim, Hyung-J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4 no.2
    • /
    • pp.141-146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content scenarios to facilitate the training of on-site commanders in firefighting activities. To establish the training content scenario system, the three core competencies of the on-site commanders were set as situation judgment,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A system of scenarios was established to actively reflect these three core competencies when designing the scenarios. All the contents of these scenarios are based on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 The scenarios comprise 14 stages that are divided into four steps with the exception of stages 1 and 14, which mark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training. It consists of the situation setting stage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decision-making stages. Specifically, situation judgment and communication are important factors in each stage.

For Making an Efficient Disaster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for Public Safety in South Korea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긴급통신망시스템 통합구축 방안)

  • Choi, Kwan;Kim, Min-Ji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44
    • /
    • pp.169-198
    • /
    • 2015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provide an efficient 'Disaster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below DECS) to deal with serious disaster situations in national levels. Currently, DECSs such as the VHF, UHF, and TRS are worked to control some disaster situations in the world. However, new system such as for sending the correct image and big data is more likely to need than current the DECSs in the comtemporary societies. Several serious disaster events such as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Collapse, Daegu Subway Fire, and Sewol Submerge event, nevertheless, there was not the DECS based on the field in South Korea. In July 2014, finally, South Korean government started to provide a PS-LTE system which is the new and one system with fire fighting, police, army, railway. however, there are no many academic studies for DECSs to deal with disaster situations in South Korea. The present research highlights to explore an efficient DECS of Korean styles to fix some national security and public safety. The paper provides three key findings: first is how to make a unified Korean DECS based on PS-LTE. Second is how to make sure the frequency of 700MHz levels to communicate in the shady areas. Three is what kinds of communication facility is adequate for fixing PS-LTE DECS.

  • PDF

The Study on the Derivation of Performance Guidelines for Indoor·Outdoor Temporary Housing Facility (실내·외 임시주거시설의 성능 가이드라인 도출에 관한 연구)

  • Ju, Jaeseong;Park, Jiyong;Gwak, Donghwa;Park, Mij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3
    • /
    • pp.271-27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to develop performance guidelines for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to improve the residential habit of the victims caused by a disaster. Method: Performance items were set up by analyzing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prior study for eliciting performance guidelines and conducting field surveys of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and interviews of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eliciting relevant performance guidelines. Results: The performance of temporary housing facilities in and out of the country was largely classified as technical, environmental and social, and each presented performance guidelines. The derived performance guidelines were generally similar, although some were similar due to indoor/outdoor characteristics. Conclusion: The performance guidelines presented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residential habit of the victims are applied in practice, and continuous improvement through feedback of results is required.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the Installation of Urban Flood Sensors (도심지 침수센서 설치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

  • Sung Uk Kim;Kye Wo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10-410
    • /
    • 2023
  • 최근 한국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집중호우의 발생 빈도와 강우강도 증가 및 지속적인 도시침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침수 예측은 수치모델링, 강우기반의 침수예측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정량적인 침수계측데이터를 활용한 분석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침수지도, 침수예측 결과 검증과 더불어 센서기반의 정량적인 침수심 계측 결과를 활용한 도시침수 관리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개발된 침수센서는 개발 주체에 따라 센서 관리 규정이 각각 상이하며, 정해진 규격과 기본적인 성능기준이 부재함에 따라 예산, 유지관리 등 비효율적인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침수센서의 설치시 효율화와 시행착오 등을 방지하기 위해 침수센서의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성능기준과 설치방법 등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기 위해 도심지 침수센서 관련 설치절차, 설치위치 선정방안, 측정주기, 점검 및 관리 방안 등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사례 분석을 통해 침수센서 가이드라인 목차를 도출하였다. 가이드라인 목차로는 침수센서 세부구성 및 작동원리를 기술한 표준모델 구축 방안과 지표, 지표하 등의 계측지점별 센서 설치방안, 현장설치 절차도, 시운전지침으로 구성하였다. 향후 가이드라인을 통해 침수센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도시침수 발생시 선제적 대응체계 강화 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id to Long Term R&D Direction of UAV for Disaster & Public Safety (재난치안용 무인기 중장기 연구개발 방향)

  • Kim, Joune Ho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4 no.5
    • /
    • pp.83-90
    • /
    • 2020
  • Disasters are causing significant damage to the lives and property of our society and are recognized as social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nationally and globall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affecting society as a whole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IoT), Artificial Intelligence(AI), Drones(Unmanned Aerial Vehicles), and Big Data are continuously absorbed into the disaster and safety industries a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ools for solving social problems. Very soon, twenty-nine domestic UAV-related organizations/companies will complete the construction of a multicopter type small UAV integrated system ('17~'20) that can be operated at disaster and security sites. The current work considers and proposes the mid-to-long term R&D direction of disaster UAV as a strategic asset of the national disaster response system. First, the trends of disaster and safety industry and policy are analyzed. Subsequently, the development status and future plans of small UAV, securing shortage technology, and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are analyzed. Finally, step-by-step R&D direction of disaster UAV in terms of development strategy, specialized mission, platform, communication, and control and operation is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