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대비훈련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f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Industry (재난안전 현장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 Kim, Ku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79-18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훈련은 실제 재난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형식적인 훈련으로 재난유형 및 발생상황에 부적합한 훈련장소 및 시간에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사전 공개된 훈련시나리오에 따른 연출된 보여 주기식 훈련으로 실제 재난상황이 발생할 때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지휘권자가 훈련에 불참하는 조직문화가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훈련이 범국가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안전한국훈련'을 에너지부분에서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필요하다.

  • PDF

A Study of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Energy Industry (에너지 산업현장에서의 재난안전 현장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 Park, Nam-Hee;Yeo, Wo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95-19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훈련은 실제 재난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형식적인 훈련으로 재난유형 및 발생상황에 부적합한 훈련장소 및 시간에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사전 공개된 훈련시나리오에 따른 연출된 보여 주기식 훈련으로 실제 재난상황이 발생할 때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지휘권자가 훈련에 불참하는 조직문화가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훈련이 범국가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안전한국훈련'을 에너지부분에서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 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f Introducing Virtual Reality for Fire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화재재난 대비훈련을 위한 가상현실의 도입방안 연구)

  • Kim, Jong Kouk;Han, Dong-Ho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1
    • /
    • pp.299-306
    • /
    • 2018
  • As recent Jecheon and Milyang fire cases show, the need for fire disaster training to prepare for a fire disaster continues to grow. In the event of a disaster, people become mentally confused and are called disaster personalities. In order to survive in a disast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ower to overcome the disaster personality by experiencing the disaster situation in advance. Therefore, training to overcome disaster personality is needed, and virtual reality can be a good training means in that it can experience without physical space. In addition, periodic actual disaster evacuation drills should be carried out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virtual reality. In order to introduce fire disaster drill using virtual reality and to spread it to the public, the Korea National VR project should be introduced which benchmarked national PC project which succeeded in the past informatization project. Besides, the Korea National Safety Point system should be integrated to cover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and building reinforcement. If the national VR project and the national safety point system are introduced successfully, Korea will be the basis for escaping the disgraceful nickname of 'disaster republic'.

A Study on Training Tools for Scenario of Disaster Response Capacity (재난유형별 재난대응역량 위한 훈련 툴에 관한 연구)

  • Lee, Jin-Ho;Choung, Hyouk-Jin;Oh, Seok-Jin;Baek, Jeo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618-1621
    • /
    • 2015
  • 본 훈련 시스템은 재난유형별 국가재난대응시나리오 기반의 대응체계를 바탕으로 재난의 종류나 규모, 복잡성 등과 무관하게 유관기관의 재난관리 관계자를 위한 교육 평가를 통해 표준화된 교육 훈련 평가체계를 확립한다. 이를 위해 국내와 해외의 사례에서 조사된 내용의 특 장점 및 표출형태를 고려하여 재난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재난 발생 시나리오 기반의 텍스트 위주의 훈련용 웹 시스템을 개발한다. 무엇보다도 현실적으로 지역의 위험과 위협을 대표하는 검증된 유형별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예방(Mitigation) 대비(Preparedness) 대응(Response) 복구(Recovery) 단계의 복잡 다양한 재난상황에 대한 재난대응역량 및 상황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지원 교육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용자 확장성이 유용한 훈련용 웹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사전에 유관기관과의 협력강화를 위한 원활한 재난대응 협력체계 강화방안을 수립하고 재난현장 협력업무와 관련된 필요역량을 도출하는 등의 활동과, 이에 대한 실효성 있는 평가로 재난현장의 기관간 상호협력 능력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대응기관의 역량수준을 점검하고, 대응역량에 대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효율적 재난대비태세 구축하여, 재난피해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aster Training System in Disaster Response Safety Training in Korea (에너지산업현장에서의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시 재난훈련시스템 적용성 검토 사례조사)

  • Park, Namhee;Yeo, Wookhyun;Kim, Taehwa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2
    • /
    • pp.211-21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use the disaster drill system that can be used in the training in the required situation in the safety training situation in the safety industry to prepare for the disaster in the energy industry field by utilizing the developed system. Method: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 investigated the papers, reports, statistical data, and visited the site to investigate the training situation. Results: Disaster response safety Korean training is not only responding to disasters but also cooperating activities with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The contents are complex, diverse, and multifaceted. Conclusion: The disaster training system should be applied to the self training of the organization to prepare for the disaster and the safety training for disaster response in Korea.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about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Nam-Hee;Yeo, Wook-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78-280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대응훈련시 훈련의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전 국민이 참여하는 훈련으로 재난대응 행동요령 숙지는 물론, 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토록 추진하고 범국가적 재난대응체제 확립을 위한 발생가능한 모든 재난유형을 대비한 국가종합훈련이다.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발에는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의 평가분야별 평가지표 분석 및 적용, 최종점수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결과 3등급(A, B, C) 부여, 중앙평가위원회에서 기관별 평가결과 및 협력도를 종합적으로 검토, 우수기관 선정 및 포상 추진, 미흡기관(C등급 하위 10%) 역량교육 및 재훈련, 기관별 미적용 평가지표는 해당 배점을 제외하는 것 등으로 지표 개발을 고려한다.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선을 위하여 개발된 표준훈련절차와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테스트베드를 통한 문제점을 도출한 후 운용 및 적용성을 보완하여 시스템 운영을 하도록 한다.

  • PDF

Disaster Risk Analysis of Domestic Public Institutions 1 - Focusing on Simulation Training and An Attitude Survey - (국내 공공기관의 재난위험성 현황 분석 1 - 모의훈련과 의식조사를 통하여 -)

  • Seo, Gwangduck;Kim, Dongheon;Choi, Yuncheul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3
    • /
    • pp.337-345
    • /
    • 2015
  • As the modern society becoms industry acceleration and urbanization, disaster and safetry education becoms important to educate and exercise the people for the disaster response and safety. This study suggests safety management method by simulation training and an attitude survey. The researchers of the study suggest as followers: First must be about strengthening eduation that accords to responsibility and part. The second need about manual build and simulation training for expansion disaster and crisis management. The last must be consideration to reconstitute of organization which of be not up to the disaster and crisis management.

Improvement Direction on the Assignment of Safety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Site (건설현장 안전관리자 선임기준의 개선방향 연구)

  • Lee, Ji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9-22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 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of Safe Korea Exercise Model based on ISO 22398 and HSEEP (ISO 22398과 HSEEP에 기반한 안전한국훈련 모델의 개선방안 연구)

  • Cho, Jong-yeu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82-18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안전한국훈련의 체계적은 포괄적 훈련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국제표준인 ISO 22398과 미국의 국토안보훈련(Homeland Security Exercise and Evaluation Program, HSEEP)의 훈련 모델에 기반해 국내 안전훈련을 위한 훈련 모델을 개발하였다. ISO 22398에서는 훈련 프로그램, 훈련 프로젝트, 그리고 지속적 개선을 통한 환류 구조를 제시하고 있었고, 미국의 국토안보훈련에서는 대비 순환과 훈련 순환 구조를 서로 엮는 것으로 포괄적인 훈련 환류 구조를 완성하였다. 한국의 안전훈련이 연속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두 훈련 모델을 통합해 지속적으로 환류지속이 가능한 훈련 모델의 개발이 필요해 이를 제시하였다.

  • PDF

The Study of Key Elements to Establish Natural Disaster Preparedness Plan in Libraries and Archives (도서관과 기록관의 자연재난 대비 계획수립 핵심 요소 고찰)

  • Lee, Sangbaek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0 no.1
    • /
    • pp.101-119
    • /
    • 2019
  • This study reviewed important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natural disaster plan in libraries and archives. In Korea, research on natural disaster planning in libraries and archives was rarely conducted.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tudy and analyse overseas literature for natural disaster preparedness planning. The key elements for establishing a natural disaster preparedness plan commonly identified in overseas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six factors. 'The disaster preparedness committee and roles of staff' should be designated for starting disaster preparedness, and 'Risks' vulnerable to disaster should be assessed and managed in advance. A 'Handbook for immediate response' should be produced for all employees to respond promptly in the event of disaster, and 'Recovery and business continuity plan' should be reviewed for strategic recovery based on disaster scale and return to work after disaster. Also,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all staff related to disaster preparedness and to improve plan for disaster, 'Training' is needed, and 'Cooperation activities' between related organisation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obtain various perspectives for disaster preparedness and to cope with and recover from large-scale disasters. This study can help Korean libraries and archives to establish natural disaster preparedness plan for serious natural disaster that can likely occur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