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경보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8초

신뢰성 있는 재난경보 방송을 위한 지능형 이동 로봇의 협업 기법 (A Collaborative Technology of Intelligent Mobile Robots for Reliable Emergency Alert Broadcast)

  • 장석진;이용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95-400
    • /
    • 2019
  • 이동통신 시스템과 T-DMB는 재난경보 방송을 위한 CBS와 AEAS 기능이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재난 발생으로 실내 공간의 통신 인프라가 불능이 될 경우 실내 공간의 거주자들은 재난경보 수신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능형 이동 로봇의 협업 기법을 제안한다. 재난경보 메시지 수신에 성공한 지능형 이동 로봇들은 협력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에 실패한 지능형 이동 로봇들에게 재난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협력통신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지능형 이동 로봇들은 각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

5G 이동통신 기반 재난 방송의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한 부가 서비스 기법 (A Supplementary Service Technology for Enhanced Receiver Performance of Emergency Alert Broadcast Based on 5G Cellular Communications)

  • 장석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97-207
    • /
    • 2021
  • 이동통신 시스템 기반의 재난경보 방송으로 CBS가 정의되어 있다. 이 CBS는 제한된 텍스트 문자만을 전송한다. 따라서 외국인 등 국내 문자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재난경보 기능을 충분히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을 보인다. 또한 CBS 프로토콜은 방송 기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송 기법은 채널 환경의 심각한 열화가 발생할 경우 재난경보 수신에 실패하는 사용자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 기반 재난경보 방송인 5G CBS의 수신 성능 향상을 위한 부가 서비스 기법을 제안한다. 그 수신 성능의 향상을 위해 제안된 방식은 5G CBS가 제공 가능한 수신기 기반 지역맞춤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재난정보전달을 위한 예·경보 시스템 통합 연동 및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interworking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warning system for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 오승희;정우석;이용태;김경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92-49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서 관리하는 다양한 예·경보시스템들이 별도의 서버로 관리되어 다원화 운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공하는 정보의 내용과 범위도 통일되지 않았던 문제점과 중앙 정부에서 재난정보 전달에 대한 결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어려웠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및 시스템에 대해서 제안한다. 제안하는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은 웹서비스 형태로 접속하여 부여된 권한에 따라 재난정보를 한 번의 클릭을 통해 다양한 매체로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난정보 전달에 대한 결과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예·경보시스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차세대 통합 예·경보 플랫폼의 구조 및 전달하는 재난정보 프로파일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기존 예·경보 시스템을 통합 연동 및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 PDF

부산광역시 재난취약지역의 홍수 예·경보 발령을 위한 단계별 기준수위 산정 (Estimation of phased warning water level for flood warning in disaster prone area in Busan)

  • 윤의혁;이재혁;이영곤;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6-266
    • /
    • 2016
  • 2014년 8월 25일 시간당 130mm 이상의 폭우로 인하여 부산시 중구를 제외한 부산 전역에 걸쳐 인명 및 막대한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는 부산광역시의 지형특성상 고지대에 주택 등이 조밀하게 개발되어 불투수층의 증가 및 배수처리의 한계로 침수지역이 다량 발생하였고, 절개지 및 옹벽 등이 많은 지역, 소하천 및 산업단지 조성 후 지반이 약화된 지역 등에서 주로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부산지역에서 도시홍수로 인한 막대한 피해를 입은 기장군과 부산광역시 일부 유역에 대하여 홍수 예보 시설을 설치 운영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재해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재난취약지역으로 선정된 기장군 일대와 부산광역시 일대의 총 10개 지점(14개소)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여 수위관측시스템 설치를 위한 적절 지점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각 지점에 대하여 수리모형(HEC-RAS)을 구축하였다. 수리모형에서 산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 하천의 현실에 맞는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각 각의 4단계 기준수위(둔치위험 수위, 주의보 수위, 경보 수위, 하천범람 위험 수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각 지점별로 산정된 단계별 기준 수위를 이용하여 재난취약지역으로 선정된 기장군 6개 지점과 부산광역시 4개 지점에 대하여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기준 수위 산정 결과"를 도출하였고, 위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에 홍수 예 경보 발령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도심 재난 예방에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위 지점에 대하여 지속적인 하천 정비 등의 사후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부산광역시의 다른 재난취약지역에 대하여 보다 개선된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재 국가하천에 대하여 시행되고 있는 홍수 예보와 같은 재난 예방 시설의 구축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PDF

재난 관련 표준매뉴얼의 위기경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risis Alerts of Disaster-related Crisis Management Standardized Manuals)

  • 김용순;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6호
    • /
    • pp.126-133
    • /
    • 2018
  • 우리나라는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가 필요한 30여개의 재난유형을 선정하여 체계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위기관리 표준매뉴얼을 작성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례와 관련된 표준매뉴얼 2종의 위기경보 수준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국가위기관리 기본지침의 내용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위기경보는 위기 또는 재난발생 이전에 발령하게 되어 있는데, 두 매뉴얼의 판단기준에는 심각단계에서 이미 국가위기상황이 발생하고, 해양선박사고로 인하여 재난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기경보 발령 시기를 검토한 결과 징후를 식별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황발생 이전에 위기경보를 발령할 수 있지만, 징후 없이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위기경보를 발령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징후 없이 상황이 발생한 경우지만 국가적 차원의 재난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는 경우는 재난관리주관기관이 위기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고 보았다.

바이오 애드 혹 네트워크를 이용한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 설계 및 분석 (Design and Analysis of Fire Detection and Alarm System using Bio-adhoc Network)

  • 이동은;이구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A)
    • /
    • pp.33-38
    • /
    • 2006
  • 인프라가 필요 없는 특성을 갖고 있어 임시 구성용 네트워크나 군사용 망에서 많이 개발되어온 애드 혹 네트워크는 산악과 같은 고립된 지역에 설치하여 산불과 같은 재난의 조기 경보 시스템에 이용한다면 효과적이다. 그러나 넓은 산악지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애드 혹 노드들을 설치 운영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인포스테이션은 전송지연에 민감하지 않는 정보들을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동물들에 애드 혹 노드들을 탑재한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와 인포스테이션을 결합하여 화재와 같은 재난에 조기 대처할 수 있는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을 제안한다. 동물들의 이동성이 노드들간의 연결성을 향상시키므로서, 합리적인 수의 동물 노드로서 원하는 조기 경보의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우리는 또한 제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수식으로 분석하여 이를 시뮬레이션과 비교해 보았고, 실제 시스템 구축시 필요한 비용을 분석해 보았다. 이는 시스템 구축 시 필요한 파라미터를 제공할 것이다. 이 제안된 시스템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면 산악지역에서의 화재등의 재난에 조기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재난경보 표시 방법 연구 (Research for Display Guidelines of Disaster Alert Using Digital Signage)

  • 조경섭;조범준;이용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7-199
    • /
    • 2015
  •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나 지진 등의 자연재난이 증가하고 그 피해도 대형화되고 있으며, 선진 여러 나라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신속한 재난 경보 전달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재난이 발생한 경우 광고매체로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사람들에게 재난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대피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정보 제공을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재난경보 표시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DGPS 정보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송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Emergency Alerting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DGPS)

  • 권성근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8-62
    • /
    • 2012
  • DMB 재난 경보 방송은 재난 발생 상황을 국민들에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T-DMB 망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고, DGPS 보정 정보는 GPS 수신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보편적인 사용을 위해 T-DMB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연구되고 있다. DGPS 보정 정보가 T-DMB 방송망을 통해 전송되므로 동일한 매체로 전송되는 재난 경보 메시지에 DGPS 보정 정보를 적용한다면, 재난이 발생한 지역을 보다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고 단말기에서는 재난 발생 위치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DMB AEAS 메시지의 구조와 수신기에서 재난의 발생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DGPS 정보를 이용한 T-DMB 재난 경보 방송 시스템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지리 기반 재난경보서비스의 국가별 동향 분석 (Service Trends by Country in Geography-based Public Warning Using Commercial Mobile Network)

  • 강현주;주상임;오승희;정우석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8권3호
    • /
    • pp.66-77
    • /
    • 2023
  • Governments intend to use the public warning system to deliver timely and accurate information using accessib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protecting the population and reducing damage to life and property. In particular, many countries implement system interworking with smartphones to notify of disasters or emergencies. In Korea, since 2020,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oronavirus disease, frequent emergency text messages led people to turn off related notifications, and complaints for receiving irrelevant messages from nearby warning areas have increased. Therefore, technical improvements for issuing more accurate disaster information to a specific region should be devised through a geography-based emergency disaster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We analyze development trends of public warning systems and service cases of geography-based emergency text transmission services in various countries.

재난 약자의 재난 경보 취약성과 기술적 해결 방안 (Problems and Technological Solutions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Disasters)

  • 변윤관;이현지;최성종;조용성;배병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8-150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현 재난 경보에서 재난 약자가 가질 수 있는 취약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해당 취약성에 대한 해결 방안과 해결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요구사항도 함께 알아보았다. 재난 약자는 경보 수신 공백, 맞춤형 서비스 부족, 단독 대응 불가 등과 같은 공통적 재난 경보 취약성과 함께 어린이, 노인, 외국인, 장애인 집단 별로 차별적 취약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이동통신 수신 모듈과 ATSC 3.0 수신 모듈 모두 탑재, ATSC 3.0 방송망을 통해 재난 약자 유형에 맞춘 복수의 메시지 전송, 단말기의 수신자 프로파일 설정에 의한 메시지 표출, 기존의 AEAT 개선 등이 공통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어린이, 노인, 외국인, 장애인 집단 별로 차별적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는 차별적 기술도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