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난경보방송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3초

지상파 방송을 이용한 재난경보방송

  • 류관웅;백명선;이유석;박소라;김흥묵;이용태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5호
    • /
    • pp.43-50
    • /
    • 2013
  • 2012년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의 종료 및 디지털 TV 전환에 따라 디지털 TV를 활용한 차세대 방송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05년 전국 방송을 시작으로 현재 5000만대 이상의 수신기가 보급되어 있는 지상파 DMB(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중 안전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면서 재난 발생시 최단시간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재난 시 방송을 시청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재난상황을 인지하여 Wake-up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기존의 국내 및 해외의 재난 경보 방송시스템에 대해 검토하고 지상파 디지털 TV와 T-DMB를 통한 차세대 방송서비스로 연구되고 있는 자동인지 Wake-up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국내외 재난방송관련 규정 분석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gulations for Emergency Alert)

  • 변윤관;류신욱;최성종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90-291
    • /
    • 2018
  • 최근 우리나라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재난경보 전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시스템 연동 및 자동화에 있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미국의 관련 규정을 조사 분석한다. 미국은 능동적 재난방송을 법으로 규정하지 않고, 수동적 재난방송만 연방정부 규칙으로 정한다. 이러한 규칙은 시스템 간의 연동을 위한 표준, 수신기 재난경보 수신을 위한 요구사항 등 기술적인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반면 국내 규정은 주로 관련 인적 행정 조직의 운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향후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고도화된 재난방송을 위해, 우리나라도 이러한 기술적인 요구사항을 법령에서 규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미국 사례 분석은 ATSC 3.0 재난방송의 기술적 규칙 작성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NB-IoT 기반의 재난문자 서비스 (A Cellular Broadcast Service Based on NB-IoT)

  • 변윤관;장석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81-482
    • /
    • 2020
  • 다양한 재난경보 전달 매체 중 재난문자 서비스는 재난 발생 시 재난 지역과 관련된 대국민 대상으로 재난경보를 빠르고 신뢰성 있게 전송할 수 있는 보편 매체이다. 현재 국내 재난문자 서비스는 2G/4G 셀룰러 환경에서 셀룰러 이동 단말기에 재난문자를 전송한다. 특히 4G 이상의 셀룰러 시스템은 재난문자 전송을 위하여 SIB를 이용한다. 그러나 현 재난문자 서비스는 셀룰러 이동 단말기만 수신이 가능한 한계를 보인다. 재난경보 수신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수신 단말기의 재난문자 서비스 지원이 필수적이다. 현재 NB-IoT는 4G 셀룰러 환경을 기반으로 광범위한 지역에 저전력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NB-IoT가 재난문자 수신을 위하여 필요한 프로토콜 규격과 NB-IoT 기반의 재난문자 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다.

  • PDF

지상파 DMB 재난경보방송 내비게이터형 수신기 요구사항 분석 (Requirement analysis for emergency warning receiver of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ntegrated in navigator)

  • 전인찬;정현철;최성종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1-324
    • /
    • 2009
  • 지상파 DMB는 이동 수신이 가능한 방송 서비스로 개인용, 휴대용, 이동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매체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특징은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 내비게이션 결합형 지상파 DMB 수신기가 널리 보급되었다. 현재 차량 운전자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재난경보전달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DMB 기능을 내장한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재난경보 전달 체계를 서둘러 도입해야 하는 분야 중 하나다. 이 논문의 목적은 내비게이터형 DMB 수신기에 필요한 기능적 요구사항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내비게이터형 DMB 수신기로 활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본 수신기와는 별도로 추가되어야 할 내비게이터형 수신기를 위한 고유의 기능을 도출하고, 기본 수신기에서 도출한 기능 중 필요 없는 기능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의 내용은 내비게이터형 DMB 수신기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신뢰성 있는 재난경보 방송을 위한 지능형 이동 로봇의 협업 기법 (A Collaborative Technology of Intelligent Mobile Robots for Reliable Emergency Alert Broadcast)

  • 장석진;이용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95-400
    • /
    • 2019
  • 이동통신 시스템과 T-DMB는 재난경보 방송을 위한 CBS와 AEAS 기능이 정의되어 있다. 그러나 재난 발생으로 실내 공간의 통신 인프라가 불능이 될 경우 실내 공간의 거주자들은 재난경보 수신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능형 이동 로봇의 협업 기법을 제안한다. 재난경보 메시지 수신에 성공한 지능형 이동 로봇들은 협력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에 실패한 지능형 이동 로봇들에게 재난 메시지를 재전송한다. 협력통신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지능형 이동 로봇들은 각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다.

JMS를 활용한 통합재난경보시스템 참조모델의 게이트웨이 구현 (Implementation of a Gateway of Reference Model for Integrated Emergency Alerting System using JMS)

  • 변윤관;이재호;최성종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62-164
    • /
    • 2015
  • 사회의 발전과 그에 따른 인구의 증가로, 다양한 사회적, 자연적 재난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 대응을 통해 인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표준화된 재난 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지는 이러한 연구 과정의 일환으로, 통합경보시스템의 경보 발령에 사용되는 통신 방식과 그 흐름에 대해 제시한다. 또한, 통합경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통합경보시스템 참조모델의 구현과 경보발령에 대한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검증하였다.

  • PDF

재난문자서비스를 위한 이미지 표출 앱 기법 (An App Method for Image-Display in Korean Public Alert System)

  • 변윤관;장석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
    • /
    • 2021
  • 재난문자서비스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셀 안의 모든 가입자에게 재난경보 메시지를 신속하게 전달한다. 국내 재난문자서비스는 2G 와 4G 이동통신망에서 재난경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5G SA 망에서 고도화된 재난문자 서비스를 계획 중에 있다. 그러나 현 재난문자서비스는 제한된 글자 수의 국내문자 메시지만을 전송한다. 따라서 외국인 등 취약 계층에게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일본의 재난문자서비스는 번역 앱을 이용하여 외국인에게 번역된 재난문자 메시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번역 서비스는 오역 등의 위험을 내포한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등이 직관적으로 이해 가능한 이미지 등을 표출하는 앱 방식을 소개한다. 재난문자서비스와 이미지 표출 앱의 연계를 통하여 외국인 등 취약 계층에게 효율적인 재난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PDF

스마트 시티 용 IoT 단말기를 위한 셀 방송 기반의 경보 전송기법 (An Emergency-Alert Delivery Approach Based on Cell Broadcast for Smart-City IoT Devices)

  • 장석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762-772
    • /
    • 2022
  • 이동통신 시스템 기반의 현 재난경보 방송1)은 스마트폰 등 개인 휴대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스마트 시티는 스마트 홈, 스마트 오피스 등 IoT 기반의 서비스를 필수로 한다. 따라서 지진 등 심각한 재난이 발생하면 스마트 시티는 건물, 공장 등에 적절한 제어 및 대응을 신속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시티 용 IoT 단말기를 위한 재난경보 방송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시티 용 IoT 단말기를 위한 4G/5G 이동통신 기반의 재난경보 전송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셀 기반 방송 서비스인 CBS를 위한 이미지 표출방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보여준다.

AT SC 3.0 전송 방식에 기반한 재난방송 송수신 시스템 설계 (Design of Emergency Alert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ATSC 3.0 transmission method)

  • 라상중;현은희;조용성;배병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06-207
    • /
    • 2019
  • 최근 들어 지진이나 국지적 폭우 등 자연재해로부터 발생하는 재난뿐만 아니라 미세먼지나 화재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사회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재난경보서비스에 대한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SC 3.0 전송방식에 기반한 지상파 UHD 방송망을 통하여 신속하게 재난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송시스템의 구조에 대하여 설계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능사항을 제안한다. 제안한 내용은 이미 서비스되고 있는 지상파 UHD 방송망을 통하여 국가 재난경보를 위한 중요한 매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재난 약자의 재난 경보 취약성과 기술적 해결 방안 (Problems and Technological Solutions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Disasters)

  • 변윤관;이현지;최성종;조용성;배병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8-150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현 재난 경보에서 재난 약자가 가질 수 있는 취약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해당 취약성에 대한 해결 방안과 해결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요구사항도 함께 알아보았다. 재난 약자는 경보 수신 공백, 맞춤형 서비스 부족, 단독 대응 불가 등과 같은 공통적 재난 경보 취약성과 함께 어린이, 노인, 외국인, 장애인 집단 별로 차별적 취약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이동통신 수신 모듈과 ATSC 3.0 수신 모듈 모두 탑재, ATSC 3.0 방송망을 통해 재난 약자 유형에 맞춘 복수의 메시지 전송, 단말기의 수신자 프로파일 설정에 의한 메시지 표출, 기존의 AEAT 개선 등이 공통적으로 필요하다. 그리고 어린이, 노인, 외국인, 장애인 집단 별로 차별적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는 차별적 기술도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