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치위치

검색결과 2,753건 처리시간 0.029초

통신기지국과 모바일장치간의 수신신호강도를 기반으로 하는 신경망과 푸쉬-풀 평가를 이용한 위치추정 (Localization using Neural Networks and Push-Pull Estimation based on RSS from AP to Mobile Device)

  • 조성진;이승룡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9D권3호
    • /
    • pp.237-246
    • /
    • 2012
  •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의 기술이 점점 발전하고 있으나, 그 정확성은 건물의 내부나 지하도로에서의 위치인식이 아닌, 실외에서의 위치인식에서만 적합하다. 건물의 내부나 지하도로에 대한 위치 인식의 응용분야에 대하여,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은 빌딩의 내부나 지하도로에서 정확한 위치인식을 요구 받을 경우, 건축구조물들로 인하여 정확성을 달성할 수 없다. 왜냐하면 사람이 필요로 하는 공간은 건물의 내부나 지하도로에서 수 평방미터에 불과한 매우 작은 공간이기 때문이다. 위치추정에 기반을 둔 수신신호강도(RSS)는 거의 모든 건물과 지하도로에서 수신이 가능한 무선 근거리통신망, IEEE 802.11, WiFi 전파신호 위치추정을 이용한 방안으로서, 특별히, 매우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추정시스템들의 근본적인 필요성은 특정 위치에서 수신신호 강도를 이용하여 통신기지국으로부터 모바일장치에 이르는 위치의 평가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중 경로 페이딩 현상들은 위치추정에서 불확실성의 원인으로서, 수신신호강도를 예측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경망과 푸시-풀 평가 방법의 결합은 건물의 내부나 지하도로에서 모바일장치들을 이용하여 위치의 결정을 학습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적용된다.

추측항법과 RFID 기반의 위치결정 시스템의 정확도 분석 (The Accuracy analysis of Dead Reckoning and RFID based Positioning System)

  • 김정환;허준;손홍규;윤공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0-394
    • /
    • 2007
  •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시대가 도래함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대상물의 위치를 알아내는 기술은 가장 근본적이며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추측항법(Dead Reckoning)은 움직이는 대상물에 외부의 도움 없이 자신의 방향각과 가속도, 시간을 관측할 수 있는 관성항법장치(Inertial Navigation System)를 장착하여 이전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의 위치를 관측하는 방법이다. 또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이러한 유비쿼터스 근거리무선통신의 핵심 기술로서 본 논문에서는 RFID에 기반한 위치 결정 시스템에 실시간 변화하는 대상물의 위치를 예측하기 위해 추측항법과 칼만필터(Kalman-filter)의 개념을 적용시켰다. 또한 RMSE(Root Mean Square Error)값을 통해 칼만필터의 적용에 따른 정확도의 향상과 각 디자인 요소들의 변화에 따라 위치의 정확도가 어떠한 변화를 갖는지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칼만필터를 적용했을 때 이전보다 RMSE값이 현저히 작아지는 결과를 통해 위치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FID의 탐지 범위는 정확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된 요소가 아니며, RFID 탐지 범위의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위치 정확도는 높아지고, RFID 태그의 탐지 확률이 높을수록 RMSE 값의 변동이 작은 안정된 시스템을 갖으며 위치의 정확도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관성 센서를 이용한 위치기반 가상 멀티 타악기 (A Position-based Virtual Multi-Percussion using Inertial Sensors)

  • 최은석;손준일;방원철;김연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79-385
    • /
    • 2007
  • 관성 센서는 외부 장치의 도움 없이 3차원 공간상에서 움직임 측정이 가능하다. 최근 MEMS 기술의 발달로 소형 저가 관성 센서(가속도 센서 혹은 각속도 센서) 제작이 가능해져 관성 센서를 소형 휴대 기기에 내장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의도 파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성 센서가 내장된 휴대 기기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서 6가지 위치에 따라서 각기 다른 6가지 소리를 발생하는 가상의 멀티 타악기 시스템을 제안한다. 즉, 휴대 기기를 상/하로 흔들면 가상 타악기의 타점 위치에 왔을 때 비트 음을 발생하고, 6개의 다른 위치를 구분하여 다른 타점의 위치에서 휴대 기기를 흔들면 각각 그 위치와 미리 지정된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가상의 멀티 타악기 시스템을 위해서 3차원 공간상에서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휴대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가의 관성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휴대 기기를 움직이는 동작이 있는 상황에서 실시간으로 휴대 기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움직임 동작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가 가상의 멀티 타악기를 상/하로 흔드는 동작을 감지하고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구분하였다. 개발된 동작 감지 알고리즘과 위치 구분 알고리즘을 휴대 기기에 적용되어 실제로 가상의 타악기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체외 순환 보조 장치 위한 공기방울 감지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Bubble Detector for Extracorporeal Circulation Support System)

  • 이혁수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98-302
    • /
    • 2010
  • 체외 순환 보조 장치는 호흡부전 및 심부전 등에 사용하는 장치이며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 개발과 임상에의 사용이 계속되고 있다. 이 장치들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할 사항중 하나는 공기 색전증이다. 공기 색전증은 정맥혈내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여러 가지 수술 과정 및 진단 과정의 합병증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수술부위가 심장보다 위치, 수술 과정 중 체강, 체외 순환 보조 장치를 사용할 때 공기의 유입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비유전율 상수의 변화를 이용한 공기방울 감지 장치를 개발했다. 모의순환 장치에서 실험해본 결과 튜브 안의 공기 양에 따라 신호의 차를 분명하게 보여주어 공기방울을 감지할 수 있었다.

항력증가장치 (1-D Trajectory Correction Device)의 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Drag Improvement Device(1-D Trajectory Correction Device))

  • 정수인;김귀순;홍경명;백기봉;윤원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4년도 제23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6-15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탄의 정밀타격을 위한 항력증가장치의 항력특성에 관한 전산해석을 실시하였다. 전산해석에서는 항력증가장치의 부착에 따른 항력증가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항력증가장치의 펼침 각도와 위치가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항력증가장치 펼침각이 $20^{\circ}$일 때 항력은 항력증가장치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약 3.5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이때 필요한 항력증가장치의 무게는 약 26g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브라켓 제거에 따른 입술과 주위 연조직의 변화 (Changes in lip and periornl soft tissue after bracket removal)

  • 이정섭;최광철;박영철;김경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5-136
    • /
    • 2007
  • 교정치료에 따른 연조직 변화 양상은 개개인의 차이가 심하므로 교정치료 중 흔히 재평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고정식 교정장치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의 입술의 위치와 교정치료 종료 후의 위치에 대한 비교 예측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교정치료가 종료되어 고정식 교정장치를 제거하는 52명을 대상으로 T1(장치제거 전), T2(장치제거 직후), T3(장치제거 1.5개월 후)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입술과 그 주위 연조직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장치제거 직후(T2-T1) 하순이 후퇴하며 장치제거 직후부터 1.5개월 후 (T3-T2)까지도 계속 후퇴하였다. 장치제거 1.5개월 후 (T3-T1), 기준선(G-perpendicular line)에 대한 입술의 평균 후퇴양은 상순(Ls)에서 0.38mm, 하순(Li)은 0.88 mm를 보였다. 주로 장치제거 직후(T2-T1)에 하순이 후퇴하는 여자군과 달리 남자군은 장치제거 직후부터 1.5개월 후(T3-T2)가지 하순이 주로 후퇴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장치제거 1.5개월 후 (T3-T1)에는 남자군과 여자군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설계 모델을 이용한 $UO_2$ 펠릿 20 kg HM/batch용 분말화 장치 제작 (Manufacture of the vol-oxidizer with a capacity of 20 kg HM/batch in $UO_2$ pellets using a design model)

  • 김영환;윤지섭;정재후;홍동희;엄재법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55-263
    • /
    • 2006
  • $UO_2$ 펠릿 20 kg HM/batch용 분말화 장치는 차세대관리 공정의 금속전환로 안으로 균질화된 분말을 공급하기 위하여 $UO_2$ 펠릿을 산화하여 $U_3O_8$으로 분말화하는 장치이다. 본 연구에는 $UO_2$ 펠릿 20 kg HM/batch용 분말화 장치 설계모델을 제시하고, 실증용 분말화 장치를 제작하여 검증실험을 수행한다. 분말화 장치 설계모델은 내부구조, 성능, 가열로 위치와 크기 등이 고려된다. 실험 방법은 $UO_2$ 펠릿 20 kg HM/batch용 분말화 장치 설계 모델에 따라 기존의 3단 메시 분말화 장치를 이용하여 분말의 메시 투과시험과 온도변화 특성 실험을 하여 장치 내부구조를 결정한다. $UO_2$ 펠릿 20 kg HM/batch의 산화 반응도 실험과 가열로 위치별 온도 분포를 측정하고 장치의 성능과 가열로의 영 역 위치를 결정한다. 장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산화전의 20kg의 $UO_2$ 펠릿과 산화후의 $U_3O_8$ 부피를 측정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실증용 분말화 장치를 설계. 제작하고, 검증을 위하여 산화도, 분말특성 및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산화반응 실험결과 에서 기존장치에 비하여 분말의 메시 투과율이 향상되었으며, 기존의 3단 메시 장치의 $UO_2$ 펠릿산화시간이 13시간 소요된 것에 비하여 8시간으로 단축되었다. $U_3O_8$ 분말 특성 분석결과, 평균 입도가 $40{\mu}m$이었다. 제작된 $UO_2$ 펠릿 20 kg HM/batch용 분말화 장치 성능과 설계모델 예측 값은 대체로 잘 일치되었다.

  • PDF

Mobile uDA와 Zigbee Network 기반의 Smart Class 구현에 관한 연구 (Study On Implementation Of Smart Class Based On Mobile uDA And Zigbee Network)

  • 서재길;안종찬;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83-386
    • /
    • 2007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위치한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서비스가 제공이 되어야 한다. 특정 서비스를 요청할 때 이에 해당하는 서비스 기능을 가진 장치가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들 중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장치가 무엇인지를 발견 해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 여러 사용자가 같이 존재할 때 어떤 우선순위에 의해 동작되어지는지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obile Platform과 Zigbee Network 기반에서 교수와 학생들이라는 계층이 다른 여러명의 User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능동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Smart Class를 구현하여 보았다.

  • PDF

기동표적 추적을 위한 상호작용다수모델 추적필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arget tracking filter using interacting multiple model for tracking maneuvering target)

  • 김승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37-144
    • /
    • 2007
  • 함포의 사격통제장치 성능은 크게 하드웨어(H/W)적인 오차와 소프트웨어(S/W)적인 오차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중 S/W 오차에 해당하는 표적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추정하는 추적필터 오차는 탄도계산장치의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함포의 정확한 예상탄착점 형성과 사격시 명중률 향상을 위하여 정확한 미래위치의 표적 상태정보가 필요하다. 표적 추적필터 알고리즘은 Single Singer Model, Fixed Gain 필터 알고리즘, IMM, PBIMM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 함정에 적용예정인 IMM 추적필터를 설계하였다. IMM 추적필터를 위해 CV모델, Song 모델, CTR모델을 사용하여 동역학 모델을 만들었으며, 추적성능을 Monte-Carlo 시뮬레이션을 통해 해석해 보았다.

  • PDF

2중 오류정정 Reed-Solomon 부호의 부호기 및 복호기 장치화에 관한 연구 (On the Implementation of CODEC for the Double-Error Correction Reed-Solomon Codes)

  • 이만영;김창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0-17
    • /
    • 1989
  • Reed-Solomon(RS) 부호의 복호에서 오류위치다항식을 구하기 위한 알고리듬 중 Peterson에 의해 제안되고 Gorenstein과 Zierler가 개선한 알고리듬은 오류정정능력 t가 비교적 작을 경우 BerlekampMassey의 반복 알고리듬, Euclid 알고리듬을 이용한 복호, 변환영역에서의 복호보다 오류위치다항식의 계산이 간단하고 장치화에 이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Peterson-Gorenstein-Zieler의 알고리듬 RS부호의 부호화와 복호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하고 실제로 통신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도록 유한체 GF($2^5$)의 심볼로 이루어지는 2중 오류정정(31,27)RS 부호의 부호기와 복호기를 설계하여 TTL IC로 장치화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