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소인식

Search Result 72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olution for Repairing Trees and Structure of Gwanghallu Garden (광한루원의 수목 및 구조물 정비 방안)

  • Paek, Chong-Chul;Kim, Hak-Beo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3
    • /
    • pp.1-11
    • /
    • 2011
  • Located in Namwon-si, Jeonlla Bukdo, Gwanghallu Garden is created around Gwanghallu, which was a government offic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shows its looks as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of the times. However, Gwanghallu Garden is recognized rather as a background site of Chunhyangjeon, representing a local culture, than the features and picture as a government office garden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because Gwanghallu appeared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in its Chinese character script and, after 1930s, Chunhyang Sadang was built up and Chunhyang Festival held, and it's recognized rather as a site for arousing national consciousness and cherishing Chunhyang for its integrity in the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than as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With it being more recognized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than an ancient government office building, Gwanghallu has been managed as a private house garden or event place of folk festival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than preserved and managed as ancient government office building, and now the looks and features as a garden of government office are hardly seen because of indiscriminate trees and making of structure and spaces. Therefore, to preserve and maintain Gwanghallu Garden as the garden of government offic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it's required to survey the trees, structure and spaces created in Gwanghallu Garden and compare the true condition with its original looks by studying its literature and it's suggested that the garden area created around Gwanghallu should be repaired and managed by separation from as the background of Chunhyangjeon. Such means of management may keep the looks of Gwanghallu as the ancient office garden while Chunhyangjeon can also settle down as a local culture in the background.

A Study on the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학교도서관에 대한 초·중등 학생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 Lee, Byeong-Ke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8 no.2
    • /
    • pp.73-97
    • /
    • 2017
  • School Library is both a space and a place. The difference between space and place is the same as in the difference between house and home. Space may be described in terms of physical shape. Place is concept that formulated by personal experience. The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different, so the placeness or sense of place may b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mative factors of placeness and examine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user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place value perception. The data are collected from 590 students and analyzed by SPSS 19 and AMOS 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hysical, activ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on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ignificantly affected more by physical factors, active behavioral factors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confirmed the process that those factors are connected to the results of the user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ce attachment, place value perception.

A Study on the Causal Model of Service Quality, Place Attachment and Destination Loyalty in the Cultural Festival (문화관광축제 개최지의 서비스 품질, 장소애착심과 충성도에 관한 인과관계 연구)

  • Kim Si-Joo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2
    • /
    • pp.315-330
    • /
    • 2005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quality, Place attachment and destination loyalty in the local festival field. Sampling was conducted at the Flower Blossom Festival in Juju, 2004.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site surveys by face-to-face interview for three days-between April 4th and April 6th. Data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wo hypotheses were tested to repres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exogenous and endogenous variables. The exogenous variable selected for this study is service quality Endogenous variables are place attachment and destination loyalty. The findings provided a supported structural model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quality, place attachment and loyalty. Festival visitors who perceive high service quality tend to have high place attachment that leads to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positive word-of-mouth to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estival managers need to understand visitor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place attachment in order to better predict their destination loyalty.

  • PDF

RFID and LANDMARK based Location-aware System of Unmanned Transport Equipment in Container Terminal (항만 장치장 내 무인이송장비를 위한 RFID와 LANDMARK기반의 정지위치 인식시스템)

  • Do, Dae-Man;Hyun, Maeng-Hwan;Choi, You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83-1185
    • /
    • 2012
  • 본 논문은 최근 항만 터미널 장치장 내 무인 자동화가 빠르게 연구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자동화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다. 우리는 장치장 내 효과적인 작업 효율을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무인이송장비(YT:Yard Tractor)의 정지위치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장치장내에서 YT의 정지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RFID의 신호와 LANDMARK를 이용하여 정지한다. 정지 위치 장소에 두 개의 RFID태그를 설치하여 작업영역 및 정지위치를 각각의 태그 정보에 포함시킨다. YT는 정지장소에 도달하면 지정된 작업 영역인지 태그 정보를 통해 확인하고, 확인 후 정지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태그와 LANDMARK를 통해 정확한 위치에 정지한다.

Sign Language Translation Wearable Device Using Motion Recognition (모션 인식을 이용한 수화 번역 웨어러블 기기)

  • Jun-yeong Lee;Hyeon-su Kang;Sung-jun Kim;Jun-ho Son;Dong-jun Yoo;Yang-woo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453-454
    • /
    • 2023
  • 현재 선천적인 청각장애인이나 언어 장애가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과의 대화에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 매장을 이용하기 어려움은 물론 언어전달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간단한 의사소통을 통한 서로 간의 교류 또한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현재는 따로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장치를 이용하여 지정된 장소에서 수화를 번역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당 문제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을 적용하여 수화를 인식하고 번역하여 디스플레이에 텍스트를 출력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AI 프레임워크 MediaPipe와 SVM 알고리즘을 라즈베리파이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제스처에 대한 번역 결과를 제공한다. 기존의 지정된 장소가 아닌 대화가 필요한 모든 장소에서 번역이 가능하도록 개선하여 청각장애인과 언어장애가 있는 사람들과 소통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PDF

Place Recognition Using Ensemble Learning of Mobile Multimodal Sensory Information (모바일 멀티모달 센서 정보의 앙상블 학습을 이용한 장소 인식)

  • Lee, Chung-Yeon;Lee, Beom-Jin;On, Kyoung-Woon;Ha, Jung-Woo;Kim, Hong-Il;Zhang, Byoung-Tak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1 no.1
    • /
    • pp.64-69
    • /
    • 2015
  • Place awareness is an essential for location-based services that are widely provided to smartphone users. However, traditional GPS-based methods are only valid outdoors where the GPS signal is strong and also require symbolic place information of the physical location. In this paper, environmental sounds and images are used to recognize important aspects of each place.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feature vectors from visual, auditory and location data recorded by a smartphone with built-in camera, microphone and GPS sensors modules. The heterogeneous feature vectors were then learned by an ensemble learning method that learns each group of feature vectors for each classifier respectively and votes to produce the highest weighted result.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for place recognition using a data group of 3000 samples in six place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a remarkably improved recognition accuracy when using all kinds of sensory data comparing to results using data from a single sensor or audio-visual integrated data only.

도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시마케팅 연구 -김포시를 사례로-

  • Kim, In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09-112
    • /
    • 2003
  •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지방분권화에 의한 도시들 간에는 도시행정에서 도시경영으로의 개념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우리나라의 도시들은 도시경쟁력을 갖추려는 도시마케팅 차원의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도시 마케팅이란 지리적으로 규정된 특정 장소(도시)를 하나의 상품으로 인식하도록 이미지를 개발하고 장소(도시)의 상품가치를 높이는 다양한 방식의 노력을 의미한다. (중략)

  • PDF

ITU-T SG17/Q.8 X.tpp-1 국제표준화 (텔레바이오메트릭스 환경의 바이오정보 보안대책) 현황

  • Jun, In-Ja;Kim, Ja-Son;Ha, Do-Yoon;Choi, Jae-Yoo
    • Review of KIISC
    • /
    • v.18 no.4
    • /
    • pp.54-60
    • /
    • 2008
  • 바이오인식기술을 이용하는 개인인증을 수행하는 바이오인식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물리적 접근제어, 인터넷 접근제어, 전자여권 등 다양한 장소에서 신원확인의 수단으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바이오인식 시스템은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므로, 바이오정보획득, 처리, 정합 등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분리되어 구축된다. 이때 각 시스템 및 시스템에서 사용/전달되어지는 정보의 변환, 도용, 훼손에 대한 보호 및 시스템에서 비인가자의 불법적인 원격침입 가능성이 발생한다. 이와같은 공격의 취약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텔레바이오메트릭 시스템에 대한 보호절차를 구성하였다. 개인인증을 위하여 생체정보를 수집하거나, 이용하는데 있어서 준수하여야 하는 바이오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사항을 제시하고, 안전한 이용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상에서 시스템이 수행될 때 발생하는 공격 취약점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구성하였다. 텔레바이오인식 시스템보호 절차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은 바이오정보 보호 정책 개발방법, 위험분석, 바이오인식 시스템 운영 및 기술 개발시에 활용할수 있다. 본고는 현재 ITU-T SG17 Q.8(Telebiometrics)에서 KISA가 추진하여 년내에 X.tpp로 제정이 예상되는 국제표준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곧 바이오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작은규모의 물리적 접근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국가적 규모의 바이오인증 시스템까지 응용가능한 텔레바이오인식 시스템 전반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The Implementation of an Assisitive Comunication System for the Mute and Language Disorder (언어장애인을 위한 통신보조기기의 구현)

  • 황인정;민홍기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6
    • /
    • pp.621-627
    • /
    • 1999
  • 본 논문은 언어장애인을 위한 통신보조기기의 구현에 관한 연구이다. 통신보조기기에 적용되는 어휘는 사용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환경에는 연령, 교육정도, 가족관계, 자주 이용하는 장소, 장애의 종류와 정도 등 사용자의 정신적, 육체적 능력을 모두 포함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손의 사용이 가능하고, 어휘와 의미심볼의 관게를 이해할 수 있으면서, 음성표현이 부자유스러운 어린이를 사용자로 한정하였다. 사용자에 의해 발훼된 어휘는 중심어휘와 특정환경을 나타내는 장소 도메인에서의 사용어휘로 나눌 수 있다. 중심어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어휘를 말하며, 장소 도메인에서의 사용어휘로 나눌 수 있다. 중심어휘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어휘를 말하며, 장소 도메인에서의 사용어휘는 특정 장소에서 빈번히 사용하는 어휘를 말한다. 발췌된 어휘는 휴대용 통신보조기기로서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어휘를 명사, 동사, 조사로 나누어 좀더 많은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적 시스템과 정적시스템의 장점을 고려하여 장소 도메인 별 어휘로 나누면서 의미함축의 원리를 도입하였다. 또한 어휘의 인식이 쉽도록 의미심볼과 어휘를 대응하여 표현하였고, 시스템의 기능 혹은 어휘분류에 따른 화면의 배경색을 다르게 설정하여 쉽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구성된 문장은 화면표시관에 보여진 후 음성으로 표현하였다.

  • PDF

온라인 문자인식기술

  • 이헌주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1 no.5
    • /
    • pp.23-32
    • /
    • 1994
  • 편입력 기능을 창작한 시스템의 문자입력 기능에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형태의 필기문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잇는 고성능의 인식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황과 장소에 따라서 변하는 필기형태를 학습할 수 있는 다이나믹한 인식기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국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국적(nationality)에 따라 다양한 자종을 인식할 수 잇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인식기 설계시 필요한 design issues와 philosophy를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학습기능, 국제화, 소형화의 특징을 갖는 학습기능 다중언어(multilingual) 인식기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