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기발전계획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태양광발전

  • 송진수
    • 전기의세계
    • /
    • v.41 no.6
    • /
    • pp.18-24
    • /
    • 1992
  • 태양광 발전기술에 관한 선진국의 개발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의 연구실적 및 태양광 범국가적 연구사업의 1단계 연구성과를 토대로 현재의 기술수준을 파악하였으며, 앞으로 추진될 대체에너지 개발사업과 HAN Project중에서 태양광 발전분야에 관한 개발목표와 주요연구 대상과제, 그리고 추진일정에 관한 장기계획을 요약 하였다.

  • PDF

발표요지

  • 한국어항협회
    • Monthly Newsletter
    • /
    • no.210
    • /
    • pp.4-5
    • /
    • 2005
  • 문화산업과 접목한 어항어촌의 새로운 역할 - 어촌어항 관광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 어항의 새로운 역할$\cdot$기능과 발전방향 - 일본의 어항어장정비 장기계획

  • PDF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in Regional Planning : Case of Jecheon Citizen Group for Urban Planning (시민참여형 지역계획 수립의 가능성과 과제 - 제천시 시민계획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 Kim, Tae Hwan;Kim, Eun Jung;Lee, Soo Ah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0 no.1
    • /
    • pp.101-11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lanning from the case of the Jecheon Citizen Group for Urban Planning(JCGUP). The JCGUP was composed of 4 subdivisions including industry/economy, urban regeneration/infra, health/welfare, and environment/tourism. The operation period was from October 16 to November 30, 2012, and the 67 citizens and 25 staffs participated in the JCGUP. The plenary sessions were scheduled to be held three times. Topics of 1st, 2nd, and 3rd sessions were pending issues of Jecheon, vision and goals for 2025, and strategies for accomplishing those vision and goals, respectively. Policy implications of the JCGUP was as follows. It functions as a tool to bring interests in civic planning and policies, and be an effective way to collect public opinions. Moreover, those opinions could be used as strategies and action plans in regional planning of Jecheon. This study can offer insights into how to manage and develop the citizen group for urban planning to help promote collaborative planning process in practice.

  • PDF

장기전력수급계획

  • 나기용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17 no.9
    • /
    • pp.9-14
    • /
    • 2000
  • 전력은 국가경제의 활력을 유지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필수재로서 공급 부족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즉시 공급되어져야 한다. 전력은 수요에 대응하여 다른 에너지로 대체공급이 곤란하며 양수발전을 제외하고는 상용화 수준의 전력저장이 곤란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력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는 전력설비 건설이 불가피하다.

  • PDF

원자력발전과 연료수급 2025 - OECD-NEA보고서에서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no.7_8 s.8
    • /
    • pp.39-44
    • /
    • 1982
  • 경제협력개발기구${\cdot}$원자력기관 (OECD${\cdot}$NEA)은 5월 14일 $\lceil$원자력 발전과 연료사이클-2025년까지의 전망$\rfloor$이란 제목의 보고서(Yellow Book)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세계 각 지역의 우라늄, 토륨, 중수, 농축, 연료가공, 사용후 핵연료저장, 재처리등의 핵연료사이클 서비스의 수급전망으로 단기(현재$\~$1990년), 중기(1990$\~$2000년), 장기(2000\~2025년)의 3기간으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있어 원자력 장기계획을 검토할 때 대단히 유익한 자료가 되고 있다.

  • PDF

기동장비 발전 동향과 국내 현황

  • Jeong, Hak-Ji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2 s.300
    • /
    • pp.48-55
    • /
    • 2004
  • 전차와 같은 복잡한 무기체계의 경우 요구성능에 따라 적용되어야 할 기술 및 부품의 원천 확보가 개발성패를 좌우하므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무기체계뿐만 아니라 핵심기술과 부품을 확보하기 위한 계획의 수립도 병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부는 일관성 있는 방위산업정책을 유지하고 업체에게 발전방향과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업체는 중/장기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사용군에서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성능의 장비를 공급할 수 있다. 우리 나라 방산업체들도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높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방위산업 구조 재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Strategic Plans of National Libraries (국가도서관의 전략적 계획 비교연구)

  • Lee, Yong-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2
    • /
    • pp.71-7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development pla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omparing development plan of the Library and strategic plans of national libraries in western countries, China and Japan. For this purpose, plans of national libraries in Korea and Oversea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a rubric evaluation was applied to the case plans. The findings indicate that pla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written for analyzing present problems, setting practical activity-centered detailed plans. On the other hand, plans of national libraries overseas present distinct mission and vision statement, and set up goals, objectives, concrete activities in the framework, which function as milestones for developing libraries. As 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need mission and vision statement, links among mission, vision, goals, objectives, activities, and ongoing library marketing. This study can contribute for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o develop plan with the concept of strategic plan.

연료 공급 및 저장 제약 하에서의 Long-Term Profit-Based Unit Commitment Problem 최적화를 위한 Explicit Column Generation 알고리즘

  • Lee, Gyeong-Sik;Song, Sa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75-89
    • /
    • 2006
  • 한국전력산업의 탈규제화의 영향으로 각 개별 발전회사들은 자사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한발전계획 수립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발전계획은 주어진 연료제약 하에 발전수익과 유지보수비용을 고려하여 시간대별 발전기의 기동, 정지 및 발전출력을 결정하는 문제로서Profit-Based Unit Commitment (PBUC) 문제로 알려져 있다. PBUC 문제는 문제 자체의 복잡성과 비선형 제약식의 특성으로 인하여 과거 연구는 대부분 비선형 제약식 처리를 위한 Lagrangian Relaxation (LR) 기반 휴리스틱 접근법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하지만, 실제현업 적용에 있어 계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알고리즘의 구현에 많은 기간이 소요되어 실용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연료도입 및 저장제약을 고려하기 위한 1년 단위 장기 발전계획 수립은 문제의 범위가 더욱 넓어짐으로 인하여 복잡성이 매우 크게 증가하고, 이에 따라 기존 접근법에 한계가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가스발전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발전패턴개념의 도입 및 다양한 발전패턴 생성을 통한 Explicit Column Generation 기반 최적화 접근법을 제안한다. 발전패턴은 Column Generation 접근법의 각 Column에 해당하는 각주별 발전기 기동정지계획을 의미한다. 즉, 미리 유효한 발전패턴의 Pool을 최대한 확보한 후 Explicit Column Generation Formulation을 통하여 주별 최적의 발전패턴을 찾아내는 알고리즘으로 구성이 된다. 본 알고리즘은 실제 가스발전소의 장기 발전계획 수립과정에 적용되어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연간 수십억원의 추가적인 이익을 실현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알고리즘을 확장 적용할 경우 PBUC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해법으로도 그 효용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자료이기 때문에 통계적 활용의 범위가 방대하다. 특히 개인, 가구, 사업체 등 사회 활동의 주체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는 자료를 생산함으로써 다양한 인과적 통계분석을 할 수 있다. 행정자료를 활용한 인구센서스의 이러한 특징은 국가의 교육정책, 노동정책, 복지정책 등 다양한 정책을 정확한 자료를 근거로 수립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Gaasemyr, 1999). 이와 더불어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는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덴마크나 핀란드에서는 조사로 자료를 생산하던 때의 1/20 정도 비용으로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의 모든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모든 행정자료들이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바뀌고, 인터넷을 근간으로 한 컴퓨터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각 부처별로 행정을 위해 축적한 자료를 정보통신기술로 연계${cdot}$통합하면 막대한 조사비용을 들이지 않더라도 인구센서스자료를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근간이 마련되었다. 이렇듯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가 많은 장점을 가졌지만, 그렇다고 모든 국가가 당장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통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행정부서별로 사용하는 행정자료들을 연계${cdot}$통합할 수 있도록 국가사회전반에 걸쳐 행정 체제가 갖추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모든 국민 개개인에 관한 기본정보, 개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하는 단위인 개별 주거단위에 관한 정보가 행정부에 등록되어 있고, 잘 정비되어 있어야 하며, 정보의 형태 또한 서로 연계가 가능하도록 표준화되어있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인구센서스에서 표본조사를 통해 부가적으로 생산하는 경제활동통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속한 사업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모든 사업체가 등록되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