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잔류염소 농도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5초

광주(光州)근교 경작지(耕作地) 토양(土壤)의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살충제의 잔류수준(殘留水準) (Levels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the Cultivating Soils in the Suburbs of Gwangju - City, Jeollanam-Do)

  • 서용택;박노동;심재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3-88
    • /
    • 1982
  • 광주근교 경작지 토양 53점의 유기염소계 살충제 8종의 잔류분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Dieldrin을 제외한 7종(種)의 유기염소계 살충제(有機鹽素系 殺蟲劑)의 잔류분(殘留分)이 60% 이상(以上)의 시료(試料)에서 검출(檢出)되었다. 특히 ${\alpha}-BHC$는 거의 모든 시료(試料)에서 검출(檢出)되었으며 p,p'-DDT의 잔류수준이 가장 높았다. 2) 논 토양보다는 밭 토양에서 높은 오염률(汚染率)과 높은 잔류수준(殘留水準)을 보였다. 3) 경지정리답과 미정리답의 유기염소계 살충제의 잔류수준은 차이가 거의 없었다.

  • PDF

다목적 최적화기법을 활용한 상수도 공급계통 잔류염소농도 최적운영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optimization model for booster chlorination in water supply system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ethod)

  • 김기범;서지원;형진석;김태현;최태호;구자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11-321
    • /
    • 2020
  • In this study, a model to optimiz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s in a water supply system was developed using a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Moreover, to quantify the effects of optimized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management and to consider customer service requirements, this study developed indices to quantify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most economical operational method to manage booster chlorination was derived, which would supply water that satisfies the service level required by consumers, as well as the cost-effectiveness and operation requirements relevant to the service providers. A simulation model was then created based on an actual water supply system (i.e., the Multi-regional Water Supply W in Korea). Simulated optimizations were successful, evidencing that it is possible to meet th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demanded by consumers at a low cost.

국내정수장의 잔류염소농도에 대한 조사연구 (Statistical Analysis of Chlorine Residual in Korean Drinking Water)

  • 손진식;강효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81-287
    • /
    • 2006
  • Maintaining adequate chlorine residual is crucial in water treatment facilities, Treatment technique, newly promulgated regulation, requires sufficient disinfection in order to control more resistant microorganisms such as Viruses and Giardia lamblia. Each water treatment plant should report various water qualities including chlorine residual and disinfection by-products, thus plenty of data has been generated. Even though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se data are forced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effect of water qualities in water facilities very few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in korea. This study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of chlorine residual during three years in Korean drinking water. The average chlorine residual concentrations were 0.701mg/L, 0.738mg/L, 0.763mg/L in 2002, 2003, 2004, respectively. Monthly variations of chlorine residual was not significant. ANOVA result showed that yearly variance of chlorine residual is different in only less than $5000m^3/day$ of water treatment capacity. The statistical analysis can help government to establish new regulation with scientific basis.

정수처리 공정에서 잔류의약물질 제어 효율 평가 (Evaluation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pharmaceutical compounds in conventional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es)

  • 서희정;박용훈;강인숙;명화봉;송양석;강영주
    • 분석과학
    • /
    • 제29권3호
    • /
    • pp.126-135
    • /
    • 2016
  • 상수원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은 잔류의약물질 대상으로 정수처리공정의 단위 공정별 잔류의 약물질 제어 효율을 평가하였다. 응집 공정에서는 Sulfonamide계 항생제는 22.6~42.1 % 제거 되었으며, Naproxen 28.2 %, Acetaminophen 20 %가 제거되었다. Trimethoprim은 4.4 %, Erythromycin은 2.4 %로 낮은 제거율을 보여 주었으며, Aspirin은 전혀 제거되지 않았다. 염소처리와 응집 혼합 공정을 적용하였을 때, 염소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제거율이 증가되었다. 염소주입농도 3 mg/L일 때 Sulfonamide계 항생제, Acetaminophen, Naproxen은 100 %, Trimethoprim은약 98%로높은제거효율을나타내었으며 Erythromycin은 약 55 %, Aspirin은 약 10 %로 낮은 제거율을 보여 주었다. 분말활성탄 흡착 공정을 적용하였을 때, 분말활성탄 주입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율이 증가되었다. Sulfonamide계 항생제의 경우 1 mg/L에서 약 18~50 % 제거율을 보였으며, 25 mg/L에서는 약 80 % 이상으로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정수처리 공정에서 잔류의약물질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염소처리와 흡착, 응집 공정의 적정 주입농도를 평가한 결과 염소 3 mg/L, 분말활성탄 10 mg/L, 응집제 15 mg/L을 적용했을 때 약 90 % 이상이 제거되었다.

송·배수시스템의 최적 잔류염소농도 관리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Optimal Operation Model of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in Water Supply System)

  • 김기범;형진석;서지원;신휘수;구자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87-597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ethod to optimiz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s in the process of providing water supply. To this end,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capable of optimizing the chlorine input into the clearwell in the purification plant and the optimal installation location of rechlorination facilities, and chlorine input. This study applied genetic algorithms finding the optimal point with appropriate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s and deriving a cost-optimal solution.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SN purification plant supply area.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meet the target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with the minimum cost. Also, the optimal operation method in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and volume of supply was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derived the most economical operational method of coping with water pollution in the process of providing water supply and satisfying the service level required by consumers in the aspects of cost effectiveness. It is considered possible to appropriately respond to increasing service level required by consumers in the future and to use the study results to establish an operational management plan in a short-term perspective.

급배수시스템에서 잔류염소 농도 균등화를 위한 재염소 처리 (Rechlorination for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equalization in distribution system)

  • 김진근;한지안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101
    • /
    • 2014
  • Three water treatment plants(WTPs) in Jeju island whose source water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ose of the mainland of Korea were investigated. Coefficients of bulk water decay($k_b$) of free chlorine at $5^{\circ}C$ for ES, GJ, NW WTPs were $-0.003hr^{-1}$, $-0.002hr^{-1}$ and $-0.001hr^{-1}$ respectively based on bottle tests. To simulate the free chlorine variations in the distribution system using EPANET, ES WTP was chosen. Free chlorine concentrations of several sites were less than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i.e., 0.1 mg/L); E5(0.03 mg/L), E6(0.02 mg/L), W21(0.02 mg/L) and W25(0.03 mg/L). To maintain more than 0.1 mg/L of free chlorine in the distribution system, at least 1.9 mg/L of chlorine was needed at the WTP, which suggested rechlorination was needed to supply palatable tap water to customers. Two sites, one that diverged into E5 and E6 in the east-line and another located before E21 in the west-line were selected for the appropriate rechlorination locations. The recommended rechlorination dosages were 0.42 mg/L for the east and 0.27 mg/L for the west. The simula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free chlorine could be reduced to 0.4 mg/L at the WTP with rechlorination, and taps with excessive free chlorine could be more stabilized(i.e., 0.1~0.4 mg/L).

인천연안 퇴적물 중 PCB의 분포 (The Distributions of PCBs in Inchon Coastal Sediments)

  • 이동훈;김교근
    • 분석과학
    • /
    • 제15권3호
    • /
    • pp.287-299
    • /
    • 2002
  • 인천연안지역 표층퇴적물의 PCBs 잔류농도는 우리 나라의 다른 연안지역 보다 비교적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고, 전지역에 걸쳐 Aroclors 혼합표준액 (1016+1232+1248+1260)과 유사한 패턴으로 배출되었으며, 염소조성비율 변화에 따라 A(Kanghwa), B(Yellow) 및 C(Jangdo) 등 3개의 지역군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외해에 근접한 B 지역은 2, 3 염화물이, 매립지 침출수 처리수가 방류되는 C지역은 7, 8염화물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염소 조성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대상지역 주상퇴적물의 PCBs 잔류농도는 강화수로에서 1.60~3.00 ng/g, 장도수문에서 0.34~9.20 ng/g으로 나타났으며, 두 지역 모두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올라갈수록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음용 원수의 염소소독에 의한 소독부산물 생성패턴에 관한 연구 II (A Study on Formation Pattern of DBPs by Disinfection of Drinking Raw Water II)

  • 이강진;홍지은;표희수;박송자;유제강;이대운
    • 분석과학
    • /
    • 제17권1호
    • /
    • pp.69-81
    • /
    • 2004
  • 한강과 낙동강에서 채취한 원수에 염소소독제인 hypochlorite를 $10{\mu}g/mL$의 농도로 투여한 후 1시간 ~ 14일까지 TOC (total organic carbon), 잔류염소량 및 14종의 염소소독부산물 생성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TOC 및 탁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잔류염소량은 한강에서 투여 후 1시간 경과 시 $6{\mu}g/mL$ 이상에서 14일째에 $1.23{\mu}g/mL$으로 감소한 반면 낙동강의 경우 3일 이후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7일 후 발생한 총 소독부산물의 농도는 한강의 경우 101.3 ng/mL (789.6 nM)이며 이 중 THMs (trihalomethanes)가 6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외에 HAAs (haloacetic acids, 19%), chloral hydrate(10%)가 검출되었으며, 낙동강의 경우 총 소독부산물의 농도가 98.4 ng/mL (678.6 nM)이며 이 중 HAAs가 5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외에 THMs (34%), HANs (haloacetonitriles, 5%) 및 chloropicrin등 질소화합물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낙동강의 경우 한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된 암모니아성 질소가 소독제인 염소와 반응하여 클로라민을 생성함으로써 염소에 의한 소독효과와 클로라민에 의한 소독효과를 함께 나타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전체적인 소독부산물들의 생성비율 경향을 살펴보면 소독제의 종류에 따라 소독부산물의 생성패턴에 차이가 있으나 산성도가 큰 HAAs의 초기 생성농도가 높고 점차 THMs의 생성속도가 증가하였다.

광양만내 지속성유기염소계화합물의 잔류농도 및 분포특성 (Environmental Occurrence of Persistent Organochlorines in Gwangyang Bay)

  • 홍상희;임운혁;심원준;오재룡
    • 환경생물
    • /
    • 제22권
    • /
    • pp.30-37
    • /
    • 2004
  • PCB 화합물 및 유기기염소계농약류는 난분해성이며 독성이 높은 대표적인 유기오염물질로서 환경 중에 배출되면 오랜 시간 잔류하게 된다. 대부분의 유기염소계화합물은 우선적 관찰 및 규제 대상물질로 분류되어 지구적 관심을 모으고 있다. 광양만은 대단위의 공업단지가 밀집해있고 반폐쇄적인 지형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유기염소계화합물의 오염이 우려되는 대표적인 해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 모니터링에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퇴적물과 부착성 이매패류를 채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광양만내 지속성유기 염소계화합물의 잔류현황을 파악하고 각 화합물의 분포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퇴적물 및 생물에잔류하는 유기염소계화합물은 전반적으르_ 낮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독성학적 관점에서 볼 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퇴적물 및 이매패류 모두에서 PCB화합물은 만의 안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는 만의 안쪽에 PCB오염원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광양만 퇴적물층에서의 PCB화합물은 Low-chlorinated PCB (Di-, Tri-, Tetra-PCBs)가 우세한 조성을 나타냈다. 이는 대부분의 연안해역의 퇴적물 층에서 전반적으로 Mid- 혹은 High-chlorinated PCB가 우세한 점을 고려할 때 광양만의 독특한 패턴으로서 PCB 화합물의 오염원의 종류 및 유입경로와 관계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차후의 연구가 필요하다. DDT 화합물 및 기타 유기염소계농약류의 조성비는 광양만내로의 유기염소계농약의 최근 유입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어졌음을 나타냈다.

실리콘 웨이퍼 절단공정(切斷工程)에서 발생(發生)하는 실리콘 카바이드 슬러지로부터 철(鐵), 실리콘 제거(除去) (Removal of Fe, Si from Silicon Carbide Sludge Generated in the Silicon Wafer Cutting Process)

  • 박회경;고봉환;박균영;강태원;장희동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2호
    • /
    • pp.22-28
    • /
    • 2013
  •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원심분리에 의해 1 단계로 실리콘(Si)을 분리 한 후 남게 되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농축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철과 잔존하는 실리콘을 추가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실리콘 카바이드의 순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실리콘 카바이드 농축물을 대상으로 하여 염산(HCl)/수산화나트륨(NaOH)에 의한 액상 침출법과 염소 가스에 의한 기상 염소화법을 비교해 보았다. 실리콘 카바이드 농축물을 1 M 염산 수용액에서 $80^{\circ}C$에서 1 시간 동안 침출시킴으로써 회수된 실리콘 카바이드에 잔류하는 철의 농도를 49 ppm 까지 제거하였으며, 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 $50^{\circ}C$에서 1 시간 동안 침출시킴으로써 실리콘 카바이드 내 잔류하는 실리콘의 농도를 860 ppm 까지 제거하였다. 기상 염소화 반응은 직경 2.4 cm, 길이 32 cm의 전기로에 의해 가열되는 알루미나 튜브의 중심에 실리콘 카바이드 농축물을 위치시키고, 질소와 염소의 혼합가스를 흘려보내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반응온도 $500^{\circ}C$, 반응시간 4 시간, 가스유량 300 cc/min, 염소 몰분율 10%의 조건 하에서 실리콘 카바이드 내 철과 실리콘의 잔류 농도를 48 ppm과 405 ppm 까지 낮출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