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작은 도서관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학교 도서관의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s Mentoring Programs Supported by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Seoul)

  • 조인숙;김희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6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 북부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학교도서관 내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북부지역 5개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학교별 멘토링 현황을 분석하고 멘토, 멘티, 전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담임교사와 방과 후 교사를 포함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멘토링 후에 멘토가 작성한 멘토링 활동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교도서관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은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확대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받을 수 있는 대상아동에 대하여 독서를 통하여 더 넓은 세계를 접하도록 함으로써 책과 함께 한 작은 소통이 궁극적으로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한 하나의 계기를 만들어 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 방안 -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중심으로 - (Collaboration Among Libraries and Communities through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 이용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23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최근 국내외에서 확산되고 있는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통한 지역사회와 공공도서관의 협력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의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의미와 현황을 조망한 뒤,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방안을 첫째, 독서운동의 활성화, 둘째, 도서관 네트워크 구축, 셋째, 민관협력모델 정립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북미에서 '한 책, 한 도시' 운동은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에 효과적인 매개체로 작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도 확산되고 있는 이 운동이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에 기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여러 여건과 한계를 점검하였으며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통합검색 서비스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통합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Search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in Korea: Focusing on the Integrated Libraries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of Seoul City)

  • 이수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23
    • /
    • 2023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자체가 운영하는 통합도서관들을 대상으로 통합검색 서비스의 기능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대상은 서울시의 25개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통합도서관들이며, 분석항목은 통합검색과 관련된 12가지 영역의 서비스 기능들로 선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도서관은 자치구 내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연합체이며, 통합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제공되는 통합검색 서비스의 기능, 서지정보의 항목과 패싯의 유형이 다양하지 못하다. 둘째, 검색결과의 레코드는 타이틀 형식이 아니라, 대부분 아이템 형식이었다. 셋째, 도서정보를 보완하는 보강정보는 책에 대한 소개와 연관정보, 책과 관련된 키워드, 대출관련 정보 등으로 구성된다. 넷째, 통합검색이 디스커버리형 검색보다, 통합목록DB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OPAC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자치구 내 공공도서관이나 작은도서관들에 분산되어 있는 소장목록DB들에 대한 통합검색을 제공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다섯째, 대부분의 통합도서관은 유사한 서비스 형태를 제공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공공도서관들이 디스커버리형 통합검색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아동문학상 수상작 이용 현황을 기반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아동문학 장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ldren's Collection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y Based on Library Usage of Children's Book Awards)

  • 이제호;권선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75-199
    • /
    • 2017
  • 아동문학은 유아에서 초등학생에 이르는 아이들의 지능 및 정서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매체이다. 아동문학에 대한 관심은 국내 그림책들의 해외 아동도서상 수상, 아동도서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조명 등으로 높아져 왔다. 그 관심은 국내 아동도서 시장의 양적 증대를 불러왔으나 반대급부로 다양한 도서 사이에서 양질의 아동도서를 선택하는 것은 어려워졌다. 이러한 환경에서 아동문학상은 수상작에게 권위 있는 선택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아동도서를 읽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쉽게 양질의 도서를 선택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된다. 국민의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는 도서관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수상작에 대한 현황을 확인하고 새로이 장서개발정책에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아동도서 장서개발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서울시내 10개 공공 도서관을 선정하여 아동문학상 수상작 장서의 소장현황, 대출현황, 장서회전율, Bonn의 이용계수, Trueswell의 80/20법칙을 적용하여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의 장서개발 정책에 반영해야 할 사안을 제시하였다.

로컬 거버넌스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도서관서비스를 위한 협력을 중심으로 -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on the Possibility of Local Governance - Focu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Librar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Field -)

  • 박성우;홍소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99-224
    • /
    • 2019
  • 이 연구는 거버넌스에서 도서관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거버넌스는 사적 행위자가 정치행정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성립되는데,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주체의 협력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공동체는 공공성을 가진 사적 행위자로서 거버넌스가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게 돕는다. 또한 도서관은 공동체를 육성하는 기관이기도 하고 때로는 공동체 그 자체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체와 거버넌스의 관계, 도서관과 공동체의 관계를 규명한다. 그리고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여 도서관과 거버넌스의 관계를 규명한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에 따른 지역 간 교육격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Gap between Regions according to the Manpower Allocation under the 「School Library Promotion Act」)

  • 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31-24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투입지표와 산출지표의 지역 간 격차에 대한 논의를 통해 학교도서관 교육의 지역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진흥법」에서 규정하는 인력 배치 여부별로 학교도서관 투입지표와 산출지표의 차이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 여부와 장서 수, 자료구입비, 좌석 수, 대출자료 수, 그리고 학생 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는 성취도평가 최저 등급인 학생 비율이 2분의 1이상인 과목 수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지역 특성별로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수도권, 광역시, 도단위 순으로 배치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며 수도권과 광역시에 높게 배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역 특성에 따라 가계 당 순자산액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경제적 여건이 풍족한 대도시 지역에 도단위에 비해 더 높은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 배치율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간, 계층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도단위 지역, 작은 학교에도 균등하게 「학교도서관진흥법」 규정 인력이 조속히 배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제1회 우수IP시상식

  • 박민식
    • 디지털콘텐츠
    • /
    • 6호통권73호
    • /
    • pp.14-15
    • /
    • 1999
  • 제1회 우수 IP상의 수상작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의 문헌정보. 애플 87 정보통신사의 컴퓨터 가격정보, 한국사업정보의 유망사업정보, 앨트웰아앤씨의 러브팡팡이 선정되어 지난달 11일 정보통신부에서 남궁 석 장관 등 관련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시상식을 갖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