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aboration Among Libraries and Communities through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 방안 -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중심으로 -

  • 이용재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llaboration among public libraries and communities through 'One Book, One City' reading campaign. This study introduced the meaning and trend of 'One Book, One City' program on the world. And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ideas for the collaboration among public libraries and communities making use of this reading campaign; activation of reading campaign, building library network, establishing partnership model between private and public sectors.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최근 국내외에서 확산되고 있는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통한 지역사회와 공공도서관의 협력 방안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의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의미와 현황을 조망한 뒤,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방안을 첫째, 독서운동의 활성화, 둘째, 도서관 네트워크 구축, 셋째, 민관협력모델 정립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북미에서 '한 책, 한 도시' 운동은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에 효과적인 매개체로 작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도 확산되고 있는 이 운동이 도서관과 지역사회의 협력에 기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여러 여건과 한계를 점검하였으며 구체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세익. 도서-인쇄-도서관사. 서울 : 종로서적, 1982.
  2. 김세훈 외.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방안(국립중앙도서관 연구보고서, 2006. 11. 4).
  3. 김영석. "'도서관의 친구'에 대한 고찰 : 도서관도 이제 친구가 필요하다."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5. 3), pp.279-294.
  4. 김영석. "영국 공공도서관의 운영 및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2호(2009. 6), pp.233-251. https://doi.org/10.4275/KSLIS.2009.43.2.233
  5. 김해시 주민생활지원국. 김해시 도서관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워크숍 : 책 읽는 도시 김해 (2008.11.6, 김해시립장유도서관 시청각실).
  6.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09-2013. 서울 : 대한인쇄사, 2008.
  7. 백린. 한국도서관사연구.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1981.
  8. 서창호. 1993년 이후 한국 독서운동의 전개양상 분석.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2008.
  9. 신남희. 새벗도서관 이야기 : 새벗도서관 발전의 내면적 동력.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7.
  10. 윤정옥.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동향과 의의 :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3호(2004. 9), pp.45-66.
  11. 윤정옥.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진흥활동 : 다른 나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2007. 6), pp.165-184. https://doi.org/10.16981/kliss.38.2.200706.165
  12. 윤정옥. “'한 책, 한 도시' 독서운동의 실천적 과제 : '책 읽는 청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2권, 제1호(2008. 3), pp.63-81.
  13. 윤정옥. “미국의 지역사회 대중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 The Big Read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2호(2009. 6), pp.311-333.
  14. 이수진. 한국 북스타트 운동에 관한 연구 : ‘부산북스타트 운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15. 이연옥.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사.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2.
  16. 이용재. “부산북스타트운동의 전개방안과 발전 방안 : 국내외 도서관운동과 독서운동의 지평과 관련하여." 민족문화연구, 제25집 (2005. 4), pp.429-460.
  17. 이용재. "'책 한 권, 하나의 순천' 효과적인 추진방안." 책 읽는순천 심포지움(2005. 9. 27, 순천문화예술회관 소극장), pp.7-27.
  18. 이용재. "민족의 정신과 기록을 수호하고 도서관을 개척한 영웅, 박봉석 선생." 도서관계, 제142호(2006. 5), pp.21-23.
  19. 이용재. "한국 독서운동의 현단계와 전망 : '한 책, 한 도시'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7권, 제1호(2006. 6), pp.5-25.
  20. 이용재. "책읽는 서울, 미래를 여는 동력 : ‘한 도서관, 한 책 읽기’ 운동을 중심으로." 2006년도 서울시 공공도서관협의회 세미나 자료집(2006. 10. 26, 서울 정독도서관 시청각실), pp.3-12.
  21. 이용재. "'원북 원부산(One Book One Busan)’독서운동의 역할과 전망." ‘원북원부산’ 연합독서토론회(2006.12.5,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시청각실), pp.42-56.
  22. 이용재. "작은도서관 활성화 지원 정책 :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의 지평에서." 제1회 대한민국 도서관축제 작은도서관 워크숍 자료집(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국립중앙도서관, 2007.9.11, 서울올림픽파크텔).
  23. 이용재."'한 책, 한 도시' 운동의 현단계와 발전전략 : ‘원북원부산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3호(2008. 9), pp.247-265.
  24. 이용재 외. 작은도서관 선진형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국립중앙도서관 작은도서관 진흥팀.한국도서관문화진흥원 연구보고서, 2007. 11. 7).
  25. 이용재.황은주. "'한 책, 한 도시' 운동의 특성과 실천방안 연구 : 독서토론도움자료를 중심으로." 도서관, 제63권, 제2호(2008. 12), pp.48-70.
  26. 이진우. 작은도서관의 설립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 전공, 2006.
  27. 최준화. 우리나라 ‘작은도서관’의 현단계와 발전전략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7.
  28. 한국도서관협회 편. 2008년 한국도서관연감.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008.
  29. 홍미선. 김해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0. 스가야 아키코 지음. 미래를 만드는 도서관. 이진영.이기숙 공역. 서울 : 지식여행, 2004.
  31. Boff, Colleen, Robert Schroeder, Carol Letson, and Joy Gambill. "Building uncommon community with a common book : The role of librarians as collaborators and contributors to campus reading programs." Research Strategies, Vol 20(2007), pp.271-283. https://doi.org/10.1016/j.resstr.2006.12.004
  32. Lee, Yong-jae, and Jae-soon Jo. The modern history of the library movement and reading campaign in Korea, World Library and Information Congress : 72nd IFLA General Conference and Council(20-24 August 2006, Seoul, Korea). [cited 2009. 8. 20].
  33. McCabe, Ronald B. 도서관, 세상을 바꾸는 힘. 오지은 역. 서울 : 이채, 2006.
  34. Palmer, Liza and Elizabeth Peterson. "Grass Roots Collaboration : Growing Community with the ‘One Book One Community’ Program." Technical Services Quarterly, Vol.24, No.3(2007), pp.51-65. https://doi.org/10.1300/J124v24n03_05
  35. Robertson, Deborah A. Cultural Programming for Libraries : Linking Libraries, Communities & Culture. Chicago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2005.
  36. Siess, Judith A. 눈에 띄는 도서관 마케팅. 이우정.박수희.김태훈 공역. 서울 : 이채,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