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자

Search Result 3,96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nalysis of Production speed of workers with maximum profit of workers and cooperators (작업자 및 회사의 이익이 최대가 되는 생산속도 분석)

  • 이상복;이재현;성락근;이승호;이형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32-35
    • /
    • 2000
  • 이 논문에선 작업자와 회사 모두 이익이 최대가 되게 작업자의 생산속도를 정하는 문제를 연구하였다. 작업자의 이익은 생산량에 비례하고, 불량률에 반비례한다. 회사의 이익은 작업자의 생산량에 비례하고 작업자의 불량품만큼 감소한다. 또한 회사에서는 검사 등에 비용이 들어간다. 이 논문에서는 작업자의 이익을 나타내는 함수를 수식으로 모델링하였다. 또한 회사의 이익을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작업자와 회사 모두가 최대 이익을 갖는 경우의 생산속도를 해석적으로 여러 경우로 나누어 해를 구하였다.

  • PDF

Study on Ways to Improve Risk Assessment of Unskilled Foreign Workers (Based On Shipbuilding Industry Workers) (비숙련 외국계 작업자의 위험성평가 개선방안 연구 (조선업 종사자를 기준으로))

  • Jung, woo-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49-150
    • /
    • 2023
  • 많은 인원을 필요로 하는 조선업은 선박을 건조하는 현장의 제품들이 복합 공정이면서도 중후장대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선박을 건조할 때는 종사하는 작업자 간의 작업 내용에 대한 의논과 방법의 결정에 따른 경험기술의 활용도가 높다. 그래서 작업자별 작업 방법이나 기능의 차이가 많고 그 차이만큼이나 공정 진척이나 품질에 대한 결과도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하지만 인력 집약도가 높은 조선소 작업인력이 퇴직이나 이직 등으로 발생되는 공백을 내국인으로 채우지 못하고 경험이 없고 소통도 어려운 외국인 작업자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계 작업자의 경우 인건비가 낮은 중소기업이나 대기업의 하도급 업체에 고용이 되는데 중소기업의 특성상 기술력의 축적이나 안전작업을 위한 사전 직무교육 등에는 여유가 없어 제한된 기간 동안의 고용이나 단순 업무에만 종사토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 활용해왔다. 그러나 외국계 작업자의 고용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생산성의 한계와 불안전 작업에 대한 우려로 그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외국계 작업자의 경우 생산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안전관련 교육이나 행사, 동료간의 소통등에 소외되면서 불안전이 가중되고있고 비자종류에 따라 체류기간이 한정되어 기술력의 유지는 어려운 현실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외국계 작업자에게 안전에 대한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무별 위험성평가도 작업자의 논높이에 맞게 해야 한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4가지 위험성평가 방법을 일부 보완하여 안전수준에 맞게 실시하여 작업자 개인별 직무 수행상의 위험성에 대한 이해도가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여 안전을 유지시키는 방안을 연구한다. 위험성평가의 취지가 기본적으로 해당 작업자 전원참여라는 중요 요소임을 감안할 때 외국인 작업자의 직무 이해도 점검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 PDF

Health Assessment of Shift Workers in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자동차공장 교대작업 근로자들의 건강상태평가)

  • Lee, Jung-Jeung;Chung, Jong-Ha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8 no.1 s.49
    • /
    • pp.103-121
    • /
    • 1995
  • An investigation on psychophysiological health and social well-being of shift workers been carried out on workers of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in Ulsan, for 1 month from April, 1993. This cross-sectional survey compared shift workers(n=544) with day workers(n=115). Each subject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his personal habit, background, shift schedule, sleep and eating patterns, subjective digestive sympto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using the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 by self 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for the U.S.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HANES I). Chi-square analysis was used for discontinuous data and the t-test was used for continous data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no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leep quality, a great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frequently had trouble getting back to sleep once awakend(p<0.01), and a great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awakend tired or sleepy frequently more often than day workers(p<0.05). In rating the quality of their sleep, more shift workers rated their sleep fair to poor than day workers, and great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felt tired or sleepy at work two or more times per week(p<0.01) and a much higher percentage of shift workers felt tired or sleepy after work every days(p<0.01). In terms of sleep patterns, a much higher percentage of day workers reported uninterrupted sleep per 24hours than shift workers. The shift workers reported different eating patterns from day worker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rate of their appetite. Thirteen percent of day workers reported the best appetite but only 6.6% of shift workers had the best appetite. The gastric complaints is more frequent in shift workers than day workers(p<0.01). Among subscores in General Well-Being Schedule, anxiety, depression, positive well-being and vitality subscale of shift workers were lower than those of day workers(p<0.05) and general health and self control subscale of shift workers were lower than .those of day worker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se study result,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shift work has significant effects on some psychophysiological conditions of the workers.

  • PDF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 시 위치인식 기술을 이용한 작업자 안전 지침(안)

  • Lee, Sun-Seop;Yu, Seu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32-32
    • /
    • 2018
  • 이 지침은 조선소의 선박 선박 및 해양플랜트 건조공정 중에 선내 의장 및 도장공사가 이루어지는 안벽공사 등과 같이 실내 위험 작업환경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간 작업자의 추적 및 확인 가능한 위치인식 기술에 대한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시한다. 이 지침은 조선소의 안벽공사 등과 같이 실내 위험 작업환경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작업하기에 매우 열악한 환경을 가지고 있고 작업자들이 선박 내에 어디에 위치하는지, 위험상황에 노출되었는지 등에 대해서 전혀 정보를 알지 못해 작업자들이 작업 중 사고(화재, 공간차단 등)에 직면하였을 경우에도 바로 조치할 수 없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 PDF

Deep Learning based Behavior Analysis System for High Rise Worker at Industrial Field. (딥러닝 기반 산업현장 고소작업자 행동분석 시스템)

  • Lee, Se-Hoon;Moon, Hyo-Jae;Yu, Jin-Hwan;Kim, Hyun-Woo;Yeom, D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51-52
    • /
    • 2018
  •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잘못된 작업행동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현재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작업자의 위험행동 여부를 관리하고 있지만, 모든 작업자를 관리자 한명이 관리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소 작업자의 안전벨트에 IoT 장치를 부착하여 행동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업로드하고, 딥러닝을 통해 작업자 위험행동 여부를 분석한다. 분석한 결과를 관리자가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Behavior Monitoring System of Worker at Height based on Cloud Web Services (클라우드 웹 서비스 기반의 고소작업자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

  • Lee, Se-Hoon;Kim, Hee-Seok;Kim, Hyun-Woo;Park, Geun-Yeong;Tak,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59-26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건설 현장이나 발전소 등의 고소 작업이 많은 곳에서 작업하는 근로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클라우드 웹 서비스에 기반에 고소작업자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 저장하여 그 데이터를 통해 관리자가 작업자의 행동을 모니터링 하고 위험경고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작업자가 하는 행동을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통해 고소 작업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경각심으로 예방이 가능하다.

  • PDF

A Study of the Determination of External Workload Imposed on a Human Operator in Man-machine Systems

  • Hwa Shik Jung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2 no.1
    • /
    • pp.41-57
    • /
    • 2000
  • 작업부하 산정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인간-기계 시스템 환경에서 작업자의 작업성 취 및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외적 작업부하 요인들을 발견하여 이를 모델개발 에 고려하였다. 이들 작업부하 요인들이 작업자에 감지되는 정도에 대한 반응을 5점 척도를 도입하여 숫자가 아닌 자연어로 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렇게 작업자에 의해 주관적으로 판단된 작업스트레스 요인들은 각기 다른 가중치를 판단하기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느끼는 작업부하 스트레스 정도를 비교판단 하게 하였고 이렇게 개념화된 모델을 실제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를 통한 시험적인 작업부하 분석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실제 산업체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인간공학적 작업부하 모델을 적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작업자의 생리학적인 변화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본 결과 본 논문에서 개발된 모델은 작업부하 스트레스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앞으로 산업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연구로 판단된다.

  • PDF

Worker's Behavior Monitoring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이용한 작업자 행동 모니터링)

  • Lee, Se-hoon;Kim, Kim-woo;Yu, Jin-hwan;Tak,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57-5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앞서 진행한 연구들과 딥러닝을 이용한 고소작업자 행동 모니터링 논문에 이어 작업자 위험 행동분류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비교, 설명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작업자의 행동에 따른 고도계 센서의 데이터를 추가로 수집하여 작업자의 더 다양한 행동을 분류하고 위험 행동 패턴 분석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 PDF

Deep Learning and IoT Standards based High Rise Fieldworker's Behavior Analysis System (딥러닝과 IoT 표준을 이용한 고소 작업자 행동분석 시스템)

  • Lee, Se-hoon;Kang, Gun-ha;Sim, Gun-wu;Tak, Ji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47-24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해 고소 작업장 등의 위험지역에서 작업자 추적 및 확인과 안전 벨트고리를 체결했는지 여부와 작업자의 행동에 따른 데이터를 추가로 수집하여 작업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였다. IoT 국제 표준인 oneM2M을 기반으로 IoT Device와 Application을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로 모비우스 플랫폼을 사용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본 연구팀의 선행 연구에서 작업자 위험 행동분류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비교하였다.

  • PDF

Research on smart hard hats (스마트 안전모에 관한 연구)

  • Ye-Chan Lee;Seung-Min Kim;Kyung-Beom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858-859
    • /
    • 2023
  • 작업자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라즈베리 파이와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작업자의 건강상태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작업자의 건강상태를 케어하고 카메라와 마이크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현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GPS를 이용하여 작업자 위치도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를 개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