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과업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남북한 과학기술용어

  • Lee, In-Gy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6 no.7 s.290
    • /
    • pp.95-97
    • /
    • 1993
  • 남북한이 분단된지 반세기가 다 되었으므로 여러 영역에서 남북한간에 이질화가 일어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질화가 영역에 따라서는 차후 한민족의 동질성회복이라는 큰 일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치명적인 걸림돌이 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남ㆍ북한산 식물에 대한 국명의 이질화도 이러한 관점에서 매우 주목되어 마땅하다. 그 까닭은 이름의 혼란이란 그 분야의 교육과 학문발전에 중대한 장애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남한의 경우 한국산 식물에 대한 국명의 통일작업은 아직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진 정도여서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많지만, 북한의 경우 이미 1970~80년대에 국가적인 주요과업의 하나로 북한산 동, 식물에 대한 국명 통일작업이 완료되어 북한산 식물은 여러 가지 새로운 이름들로 불리워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필자는 1992년 과학재단의 방문연구를 통하여 헝가리자연사박물관을 방문하고, 그 곳에 소장된 북한산 식물명집을 입수한 바 있어서, 현재 남한에서 그 명명작업이 완료된 분류군을 대상으로 남북한에 함께 출현하는 식물에 국한시켜 식물명의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보고는 그 중 하등식물의 조류에 속하는 분류군인 녹조식물과 갈조식물에 대하여 남북한의 국명을 학명과 대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국명의 비교 검토는 차후 남북한의 식물명 통일작업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xploration on Tokenization Method of Language Model for Korea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한국어 기계 독해를 위한 언어 모델의 효과적 토큰화 방법 탐구)

  • Lee, Kangwook;Lee, Haejun;Kim, Jaewon;Yun, Huiwon;Ryu, Wo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197-202
    • /
    • 2019
  • 토큰화는 입력 텍스트를 더 작은 단위의 텍스트로 분절하는 과정으로 주로 기계 학습 과정의 효율화를 위해 수행되는 전처리 작업이다. 현재까지 자연어 처리 분야 과업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토큰화 방법이 제안되어 왔으나, 주로 텍스트를 효율적으로 분절하는데 초점을 맞춘 연구만이 이루어져 왔을 뿐, 한국어 데이터를 대상으로 최신 기계 학습 기법을 적용하고자 할 때 적합한 토큰화 방법이 무엇일지 탐구 해보기 위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데이터를 대상으로 최신 기계 학습 기법인 전이 학습 기반의 자연어 처리 방법론을 적용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토큰화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탐구 연구를 진행했다. 실험을 위해서는 대표적인 전이 학습 모형이면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모형인 BERT를 이용했으며, 최종 성능 비교를 위해 토큰화 방법에 따라 성능이 크게 좌우되는 과업 중 하나인 기계 독해 과업을 채택했다. 비교 실험을 위한 토큰화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음절, 어절, 형태소 단위뿐만 아니라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토큰화 방식인 Byte Pair Encoding (BPE)를 채택했으며, 이와 더불어 새로운 토큰화 방법인 형태소 분절 단위 위에 BPE를 적용하는 혼합 토큰화 방법을 제안 한 뒤 성능 비교를 실시했다. 실험 결과, 어휘집 축소 효과 및 언어 모델의 퍼플렉시티 관점에서는 음절 단위 토큰화가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나, 토큰 자체의 의미 내포 능력이 중요한 기계 독해 과업의 경우 형태소 단위의 토큰화가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PE 토큰화가 종합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 새로이 제안한 형태소 분절과 BPE를 동시에 이용하는 혼합 토큰화 방법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2인 들기 작업시 신장 및 근력 차이에 따른 작업 능력 평가

  • 이관석;이준한;고휘정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31-3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들기 작업 중 특히 2인이 행하는 들기 과업시 신장과 근력의 차이가 작 업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험을 통해 심리육체적(Physchophysical approach)/ 생리학적(Physiological approach)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은 건설 현장 작업의 Form 들기 작업을 시뮬레이션하였다. 남자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2인 작업팀을 신장/근력 차이가 있는 팀과 비슷 한 신장/근력 팀으로 설정된 기준에 따라 나누었고 20분간 심리육체적인 실험을 통해 이 두 그룹간 의 최대 허용 하중 (Maximum Acceptable Weight of Load, MAWL)과 생리적인 부하(Load)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생리적 부하는 K4를 신장과 관계없이 근력이 약한 피실험자에게 착용케하여 심박수와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여 두 그룹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최대 허용하중의 경우 다른 신장/근력 팀에 분당 2회의 빈도의 경우 각각 16.2kg, 14.0kg, 분당 4회의 경우 각각 12.6kg, 10.6kg으로 비슷 한 신장/근력 팀의 경우가 다른 신장/근력 팀의 경우보다 높은 최대 허용 하중을 보였고, 에너지 소 비량은 다른 신장/근력 팀과 비슷한 신장/근력 팀에 대해 분당 2회의 경우 각각 6.01 kal/분, 5.82 Kal/분, 분당 4회의 경우 각각 7.81 kal/분, 7.43 kal/분, 심박수는 분당 2회의 경우 98.62(회/분), 94.60(회/분), 분당 4회의 경우 122.00(회/분), 117.43(회/분), 으로 다른 신장/근력 팀의 경우가 비슷한 신장/근력 팀의 경우보다 높은 에너지 소비량과 심박수를 보였다.

  • PDF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Failure Reporting and Corrective Action System for Korean High Speed Train (한국형 고속열차 고장정보체계 구축 및 활용)

  • Lee, Tae-Hyeong
    • 시스템엔지니어링워크숍
    • /
    • s.4
    • /
    • pp.81-85
    • /
    • 2004
  • 시스템 엔지니어링은 시스템의 일생 주기동안 수행되며 고장정보체계(Failure Reporting and Corrective Action System)는 제작단계부터 수행되는 RAMS(Reliability, Availability,Manitani bility,safety)과업 중의 하나이다. 고장정보체계는 설계와 제작단계에서 생성된 고장원인을 제거하고 수정작업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 고속열차를 대상으로 고장정보 분석 및 관리, 신뢰도 평가를 위해 구축한 고장정보체계와 그 활용사례를 제시한다.

  • PDF

Job Analysis for Nursing Student in Pre-Service Health Education Teacher Practicum using DACUM Method (DACUM 기법을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학교현장실습 직무분석)

  • Seo, Yoh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0
    • /
    • pp.664-67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uties and tasks of pre-service health educa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using DACUM method. DACUM workshop was conducted for the fourth year nursing students located in J province who completed a health teacher teaching course and performed practical training course in elementary school. By carrying out DACUM workshop duties, tasks, task-specific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were analyzed, and were derived with the knowledges, skills, attitudes, tools, and future prospects on job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The derived job analysis information wa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from 6 field experts in school and 2 professors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DACUM chart was developed. DACUM chart was consisted of 6 duties and 24 tasks, knowledges, skills, and attitudes for job performance were derived.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health care in elementary pre-school health education teacher practicum was listed as the most important duty. Teaching and writing skills were presented to practice basically. Because the importance and role of the health teachers in school are considered necessary, it is considered to increase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A Method for Schedule Simulation Considering Rework and Uncertainty (재작업과 불확실성을 고려한 일정 시뮬레이션 방법론)

  • Kim, Chan-Mook;Park, 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2 no.1
    • /
    • pp.135-143
    • /
    • 2009
  • The majority of development projects fail to meet their target schedule and cost, with the overrun typically between 40 and 200 percent. These overruns happen because the planners underestimate the work or do not consider the need to rework at project planning. Representative schedule planning/management techniques such as Gantt Chart, PERT/CPM etc. that are used in domestic project planning are unable to reflect rework.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consider rework to provide more realistic estimates at schedule planning. Additionally, to prevent the underestimation of the work this paper proposes a simulation method that calculates a probabilistic estimated schedule and the associated variance based on the random variable modeling of individual task completion dates.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types on Drivers in Takeover period of automated vehicles (자율주행 자동차의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요구되는 정보 유형에 관한 연구)

  • Kim, Naeun;Yang, Min-young;Lee, Jiin;Kim, Jinwoo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1
    • /
    • pp.113-122
    • /
    • 2018
  • In level 3 automated vehicles, drivers are expected to encounter transition of control when the system reaches its limit. Drivers need to refocus their attention on the road ahead and gain situational awareness. Appropriate information should be conveyed during this period in order to prevent human errors. In this paper, we defined the takeover process as 'in-the-middle-of-the-loop' and conducted Task Analysis and Work Domain Analysis to find out information requirements. As a result, we specified required information types and interface considerations. Moreover, we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to find how the information types affect drivers on situation awareness, cognitive load and reaction time. Consequently, we found different information on system transparency should be conveyed depending on the urgency of takeover situation and driver guidance could help drivers with better situation awareness after the takeover.

신관리기법으로서의 PERT.CPM

  • 이승영
    • Cement
    • /
    • s.37
    • /
    • pp.4-11
    • /
    • 1970
  • 최근 급속히 팽창된 산업 구조와 이에 따른 업무량의 증가는 종래의 관리기술로서는 이를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없게 되었으며 아울러 인간의 미래조작능력의 증대와 기업구상력의 개발, 사회변동에 대비한 예측적인 계획의 수립 등 관리기능의 신장은 새로운 관리기법을 요구하게 되었으므로 PERT/CPM 수법이 신관리기법의 하나로 등장하게 되었다. PERT/CPM 이란 Program Evaluation Review and Technique, Critical Path Method 의 약자로서 우리말로는 계획수립 집행 및 평가로 번역되는데 이의 직역은 종속 및 총합 $\ulcorner$시스템$\lrcorner$ 과업의 동시진행 및 집중관리라 할 수 있는 것으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려는 기법인 것이다. 또한 PERT 기법은 복잡한 작업형태를 상호관련성있는 Network로 구성하고 제종속작업을 하나의 통일된 목표로 진행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PERT/CPM 기법은 제한된 자원의 효율적인 투자 및 관리와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제거하여 준다. 현재 정부(경제기획원)는 PERT/CPM 제도를 도입하여 건설공사에 대한 예산관리제도를 설정중에 있으며 민간 및 정부투자기관으로서 현대건설주식회사와 한국전력주식회사와 이미 PERT/CPM 제도화방책을 연구기관에 위촉하여 제2단계적용을 시도하고 있는 것은 시대적 당위성에 따른 타당한 전망이라 하겠다. 거금 한국양회공업협회가 본제도의 도입 적용을 추진하기 위한 일련의 조사활동을 시작한 것은 시멘트 공업계의 새로운 경영관리체제를 모색하고 업계를 선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리라 믿는다.

  • PDF

Work Management Model to Integrate Schedule and Bill of Quantit (산출내역서.공정 통합관리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박홍태;박찬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23-131
    • /
    • 2002
  • Recently our government operates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EVMS) for improving 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construction projects over specific scale. The EVMS is based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between construction cost and schedule, the existing systems, however, are focused on the cost management by using wort quantity. This study suggests a work management mode1 to integrate construction cost with activity information. The model introduces a work task concept as a tool that can connect construction cost to activity information. The suggested model in this study is verified by using actual data for the applicability to practical construction projects.

  • PDF

Work Management Model to Integrate Schedule and Bill of Quantity (산출내역서.공정 통합관리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Park, Hong-Tae;Park, Chan-Je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 no.4
    • /
    • pp.153-161
    • /
    • 2002
  • Recently our government operates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EVMS) for improving 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construction projects over specific scale. The EVMS is based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between construction cost and schedule. the existing systems, however, are focused on the cost management by using work quantity. This study suggests a work management model to integrate construction cost with activity information. The model introduces a work task concept as a tool that can connect construction rest to activity information. The suggested model in this study is verified by using actual data for the applicability to practical construction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