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경험

Search Result 88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interaction design of digital device for analog-based experience -Focused on multimedia mobile phone- (아날로그 경험 중심의 디지털 기기 개발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멀티미디어 휴대폰을 중심으로-)

  • Sung, Won-Kyu;Yang, Seung-M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290-295
    • /
    • 2006
  • 지금까지 디지털 기기의 진화 과정을 볼 때 오직 기능적 발전만이 추구되고 그것을 사용하는 사용방식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부재하였다. 때문에 디지털 기기가 갖고 있는 버튼 위주의 획일적 사용방식은 사용자보다는 기기 중심의 디자인이 우선시되는 사회적 병리현상을 야기하고 있다. 반면 오랜 기간 인간이 다루어 온 전통적인 아날로그 도구들은 작업의 특성과 작업자의 상황에 맞도록 다양한 사용성을 고려하며 진화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아날로그적 경험을 디지털 기기의 인터랙션 디자인에 적용시켜 보다 인간 중심적인 디지털 도구를 제안 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표는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대표적 디지털 기기인 휴대폰에 아날로그 경험을 접목시킴으로써 전통적인 도구들과 같이 디지털 기기의 자연스러운 인터랙션 스타일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정된 디바이스로 다양한 기능들을 조작해야 하는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아날로그 경험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기호와 조합으로 이루어진 카드놀이 메타포에서 그 단서를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타포로 제시한 카드놀이를 하며 일어나는 행위와 경험을 멀티미디어 휴대폰에 접목시켜 새로운 사용 방식을 제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뉴 선택의 경우 카드를 펼쳐 원하는 카드를 뽑으면 되는데 아래로 펼치면 그 카드의 수직 메뉴가, 옆으로 펼치면 그 카드의 수평 메뉴가 나타난다. 또 메뉴 안의 내용을 찾을 때는 카드를 뒤로 넘겨서 보게 되고 자신만의 개인적인 내용을 보고자 할 때는 카드를 은밀히 보는 듯한 행위를 취하면 된다. 즉 멀티미디어 폰 안의 내용뿐 아니라 사용하는 행위 자체도 하나의 즐거움이 되도록 카드놀이 경험을 새로운 인터랙션 스타일로 개발하여 그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 PDF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Disability Acceptance and Recovery Experience for the Life-Care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장애청소년의 라이프 케어를 위한 장애수용과 회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Bak, Ah-Ream;Kang, Jin-Ho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2
    • /
    • pp.177-185
    • /
    • 2020
  • This Study us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recovery experience for the life care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four components: confusion and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disability, gradually accepting disability, strengthening motivation for recovery, overcoming disability, and returning to society. Psychological comfort was obtained through the support of the family and the psychological rapport between the therapists. The Youth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a change in their perceptions of disability and hoped for life after discharge, overcoming frustration and showing their positiv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disability acceptance and recovery experience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nd identify the components of acceptance and recovery. The derived components can be used to guide disability acceptance and recovery interventions for the care of youth with disabilities.

The Effects of Functional Task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Fall Experienced Elderly (기능적 과제훈련이 낙상경험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연구)

  • Woo, Ji Hee;Park, Hae Yean;Kim, Jong Bae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5 no.1
    • /
    • pp.43-54
    • /
    • 201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including functional task training on activities daily living of falls experienced elderly. Methods :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 with alternating treatment and reversal design. One participant who have had falls experience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completed. This study a total of 18 sessions were conducted. Fall Efficiency Scale(FES), Berg Balance Scale(BBS) and task modification scale were used to assess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ring each session, and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and 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AHA) were used to evaluate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t pre-and post-test. Results : The participan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FES, BBS scores. However, the improvement was greater when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was practised along with functional task training. COPM and AHA scores improved at post-test. Conclusions :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for occupational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falls-experienced elderly.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tudents' Experiences of Flipped Learning-Based Clas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Lee, Nahael;Jung, Hyerim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
    • v.15 no.2
    • /
    • pp.80-92
    • /
    • 2017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students'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flipped learning based instruction in sensory integration, and to understand the demand and introspection of participants. Methods : This study use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qualitativ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0 students in 3rd year of th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n K Univeristy. Data information was collected by one-to-one interview and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Results : Through the interview, 20 units of meaning, 8 central meanings, and 3 themes were drew. The information collected were analyzed into three themes; Learning Experiences in Online and Offline Courses, Request and Introspection of Learners on Flipped Learning. The result showed that online courses brought learners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with repeatable learning in every time and space the learner want. However, the learners appealed issues of communication and concentration due to the absence of face-to-face instruction by their instructor. For the offline courses, students showed interest in various practical classwork of sensory integration and changes in their attitude to actively engage in the practical classes. Conclusion : Flipped learning based instruction was effective for the sensory integration classes which require practice in terms of time securement and immersion in practice. The learners requested for adopting flipped learning based instruction to other subjects in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and introspected that they needed to actively engage in classes through the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based classes of sensory 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resource when flipped learning classes are planned in occupational therapy education.

사례분석을 통한 이동식 크레인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 Kim, Byeong-Seok;Yang, Yong-Gu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21-30
    • /
    • 2012
  • 이동식 크레인과 관련한 안전사고가 다발하고 있음에도 국내 대부분의 건설현장에서는 아직도 관리감독자와 크레인 운전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장비를 선정하고 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이동식 크레인 전도사고사례와 위험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한 안전한 자재 양중작업을 위하여 중량물의 무게 형상, 인양장비 제원, 정격하중, 작업반경 등을 고려한 중량물 취급작업계획을 작성 준수하고 이동식 크레인의 제작 설계기준 준수를 위하여 이동식 크레인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사용(취급)설명서를 준수하며 위험성 평가 결과가 실제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한 양중작업에 적용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관리 등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Review - A factor analysis on firefighter's workload (소방공무원의 작업강도 요인 분석에 관한 고찰)

  • Bang, Chang-Hoon;Huh, Man-Dong;Park, Eun-Ju;Kwan, Jung-Suk;Lee, Jun-Kyoung;Lee, Hyun-Jung;Shin, Jae-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309-31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 작업강도의 요인을 분석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소방공무원의 작업강도에 미치는 내 외적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내적요인으로는 직무와 관련된 정신적 스트레스, 탈수, 체온, 체력과 영양, 외적요인으로는 환경조건, 개인보호복, 작업율과 기간, 경험과 기술 등으로 구분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작업강도는 다양한 직무유형과 환경에 따라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각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규명이 어렵고, 요인들에 노출이 장기화 된 후에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이 발생하기도 한다.

  • PDF

대형 프레스 금형 생산을 위한 자동 공정계획 시스템 개발

  • 손주찬;백종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6.04a
    • /
    • pp.358-361
    • /
    • 1996
  • 공정계획은 숙련된 작업자의 경험의 경험과 지식에 의해서 작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컴퓨터를 활용하여 자동화함으로써 공정계획을 수립하는 시간은 물론 이와 연관된 설계변경, 설비선정, 견적, 재고관리 등 반복적인 업무의 스피드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숙련자라도 쉽게 공정을 파악하고 최선의 공정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자동차 외판제조용 대형 프레스 금형을 대상으로 자동화된 공정계획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비공식 또는 공식으로 일어나고 있는 공정에 관한 지식을 수집, 분석하여 금형의 패턴과 형구, 부품, 사양으로 분류하여 표준화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공정계획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공정에 관한 Knowledge를 Relational Data Model로 표현하였다. 자동공정계획 시스템은 단계별 Tree 방식으로서, 각 단계마다 시스템이 제공하는 질의에 대해 설계자 또는 공정계획자가 설계도면을 참고하여 이에 대응하면 해당 금형에 대한 적합한 공정계획과 작업공수가 제시되도록 설계 개발되었다.

  • PDF

Selection on Optimum Grinding Wheel Based on the Qualitative Knowledge and Fuzzy Multi-decision Making (정성적지식과 퍼지다기준 의사결정을 활용한 최적연삭숫돌선택법)

  • ;I. Inasa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2 no.7
    • /
    • pp.158-168
    • /
    • 1995
  • 연삭숫돌 선택은 공작물제거량, 숫돌의 소모량, 표면정도 및 공작물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연삭가공은 구성인자의 상호관계가 복잡하여 이중에서 어느한 요소만을 고려하여 설정하기 어렵고 정량적 기준 또한 정해져있지 않아 현실적으로는 숙련자의 정성적이고 경험적 지식에 따른 주관적 척도에 의존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연삭숫돌은 작업조건중에서 대량생산을 제외하고는 되도록이면 현장에 구비되어 있는 작업가능한 연삭숫돌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시스템에서는 이와같은 점을 고려하여 최적 연삭숫돌선택을 퍼지이론에 기초한 현장 숙련자의 지식을 활용하므로써 연삭숫돌선택의 효율성을 도모하는 동시에 현장에 연삭숫돌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도 고려하여 연삭숫돌설정에 우선순위를 제시하므로써 작업자에 연삭숫돌선택의 유연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실용성있는 전문가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정성적이고 경험적인 지식의 활용을 위한 지식표현으로 설문조사에서 얻은 테이타를 x$^{2}$-분포에 따른 추정신뢰구간을 구해, 이를 토대로한 비대칭 삼각퍼지함수의 결정법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해서 구축한 시스템의 실행결과의 타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 PDF

성이 아이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이미숙;이관석;전영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04a
    • /
    • pp.27-40
    • /
    • 1993
  • 컴퓨터는 다양한 사전 경험과 지식을 지닌 많은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이 에 따라 컴퓨터를 좀 더 사용자와 친밀하게 만들고자 하는 많은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다. 컴퓨터의 그래픽 처리능력은 User Interface Desinger들의 많은 관심을 모았으며, 아이콘 을 기초한 사용자 Interface는 많은 대중성을 확보해 왔다. 따라서 좀 더 효율적인 Interface를 위해서는, 아이콘의 의미가 사용자에게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아이콘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들이 그 설계단계에서 고려되어야만 한다. 컴퓨터는 작업 현장에서 다양한 계층의 작업자에 의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아이콘 설계에 있어 어떤 성적편향(Gender bias)을 줄이는 것은 컴퓨터 작업의 효율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 하다. 이 연구는 아이콘 인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특히 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 하여 연구한 것이다. 남성과 여성 피설험자에게 똑같은 지시어(Referents)가 제시되었으 며 피실험자는 각지시어에 해당하는 여러 아이콘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각 아이콘에 대해 그들 모드를 선택하거나 혹은 모드를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험의 결과로는 나이, 경험, 성별등이 결합된 요인일 경우 지각시간(Perception Time)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래의 아이콘 설계는 이러한 요인들에 의한 편향을 줄일 수 있도록 그것이 실제로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되기 이전에 시험되어야만 한다. 아이콘과 지시어들간, 반복적 시도(Trial)와 지각시간간에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지만, 성과 자각시간간에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실험의 결론은 여기서 사용된 아이콘에 대해서만 타당한 것으로 이것을 모든 아이콘에 대해 일반화시키기는 어려우나 이후에 행해질 Icon-based User Interface 분야의 많은 연구들의 기초가 될 것이다. 더불어 아이콘과 관련된 많은 요인들(문화적 영향, 아이콘 색깔, 크기, 아이콘의 위치등이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Vegetables Binding Machine (I) - Research scope and materials feeding mechanism - (채소 자동결속기의 개발(I) - 개발방향 및 재료의 공급장치 -)

  • Kang, C. H.;Han, K. S.;Yun, J. H.;Son, J. R.;Kim, Y. J.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7 no.2
    • /
    • pp.97-106
    • /
    • 2002
  • 이 연구는 채소의 생산에서 가장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고 단순ㆍ반복적인 결속작업의 기계화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논문은 이 연구의 제1보로서 채소의 결속작업실태를 조사분석하여 결속기의 개발방향을 설정하고, 채소의 이송 및 결속끈의 공급장치를 개발한 결과를 수록한 것이다. 채소의 결속작업은 철심이 내장된 끈을 사용하여 타원형으로 결속하고 있었으며, 작업자가 경험적으로 계량하여 결속된 단의 크기는 작물별 차이는 있으나 동일 작물에서 작업자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결속기는 작업자가 채소를 공급하면 일정 길이의 결속끈을 사용하여 타원형으로 결속하여 배출하는 방식으로 개발한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 결속기는 작업자가 채소를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결속장치까지 흐트러짐이 없이 이송하는 채소의 이송장치, 결속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공급하는 결속끈의 공급장치, 이송된 채소를 결속끈을 꼬아서 타원형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등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채소의 이송장치는 작업자가 채소의 일정량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폭의 조절이 가능한 트레이를 체인콘베이어에 부착한 구조, 결속끈의 공급장치는 압축력이 걸려 있는 우레탄 재질의 구동 및 종동롤러로 원하는 길이의 결속끈을 피딩하면 칼날로 절단하는 구조로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