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화

Search Result 1,56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Magnetization loss characteristics at arbitrary directional magnetic field by perpendicular magnetization loss in YBCO CC stacked conductors (YBCO CC 적층선재의 수직자화 손실 값을 이용한 임의 방향 자화손실 평가)

  • Lee, Ji-Kwang;Lim, Hyoung-Woo;Cha, Guee-Soo;Park,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655-656
    • /
    • 2006
  • 대부분의 초전도 전력기기의 경우, 초전도 테이프를 솔레노이드나, 팬케�� 형태로 권선해서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권선을 구성하는 테이프들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는 권선내의 각각의 테이프에 임의 방향의 외부 인가자계로 작용하여 자화손실을 발생시키므로 초전도 코일에서의 교류손실을 평가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임의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수직 자화손실에 대한 측정값으로서 임의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을 알 수 있다면 코일의 교류손실 평가는 훨씬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된 자화손실 값들로부터 각 방향 인가자장에 의한 자화손실과 인가된 자장을 분리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성분에 의한 자화손실 측정값의 합과 비교하여 각도별로 두 자화손실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 PDF

Magnetic Properties of Magnetites at Low Temperatures (자철석의 저온 자화특성)

  • Hong, Hoa-Bin;Yu, Yong-Jae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1
    • /
    • pp.37-42
    • /
    • 2011
  • Magnetic properties at low-temperatures can diagnose the presence of certain magnetic minerals in rocks. At the Verwey transition temperature ($T_v$, ~105~120 K), magnetite transforms from monoclinic to cubic structure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At the isotropic point ($T_i$, ~135 K), magnetocrystalline anisotropic constant of magnetite passes through zero (from negative to positive) as the temperature decreases so that its optimal remanence acquisition axis changes from [111] to [001]. A sharp remanence drop was observed at $T_v$ during warming of LTSIRM (low-temperature saturation isothermal remanent magnetization). For cooling of RTSIRM (room-temperature saturation isothermal remanent magnetization), the remanence decreased on passing $T_i$ and $T_v$. On warming of RTSIRM, remanence recovery becomes more prominent as the average grain size of magnetite increases. In summary, the SIRM memory decreases with increasing grain size of magnetite. A similar, but rather gradual, remanence transition occurs for natural samples due to contribution of cations other than Fe. As a non-destructive tool, low-temperature magnetic behavior is sensitive to unravel the magnetic remanence carriers in terrestrial rocks or meteorites.

Estimation of magnetization loss st arbitrary directional magnetic field by perpendicular magnetization loss in BSCCO tapes (BSCCO 선재의 수직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 값을 이용한 임의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 평가)

  • Lee, Ji-Kwang;Park, Myung-Jin;Lim, Hyoung-Woo;Cha, Guee-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101-1103
    • /
    • 2005
  • 초전도 전력기기에서는 선재를 이용하여 권선한 코일 형태로 적용되므로 코일을 구성하는 각각의 초전도 선재에서는 코일 여자시 임의 방향의 자장이 발생한다. 초전도 코일에서 발생하는 주 교류손실인 자화손실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임의 방향 외부자장에 의한 초전도 선재의 자화손실을 알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BSCCO선재에서 측정된 임의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과 수직방향 자장에 의한 자화손실값을 이용하여 초전도 선재에서 자화손실의 자장방향 의존성 및 임의 각도의 인가자장에 의한 자화손실 예측방법을 살펴보았다.

  • PDF

Effect of Cooling-rate Dependence on the Magnitude of Thermoremanent Magnetization (냉각률이 자화에 미치는 영향)

  • Yu, Yong-Jae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0a
    • /
    • pp.43-45
    • /
    • 2010
  • Acquisition of thermoremanent magnetization follows a Boltzman statistics, as such long reaction time in a slowly cooled environment allows more chance to align individual magnetic particles parallel to the external magnetic field. Hence it has been proposed that the slowly cooled rocks often acquire stronger magnetization than the rapidly cooled ones. Such a proposition has been experimentally validated to be true for the fine-grained magnetite- or titanomagnetite bearing basaltic rocks collected from the mid-ocean ridges. However, the effect of cooling-rate on the remanence intensity appears to be insignificant for nominal grain ranges.

  • PDF

Magnetization Behavior of CoB/Ru/CoB Thin Film (CoB/Ru/CoB 박막 재료의 자화 거동 특성 분석)

  • Kim, Dong Young;Yoon, Seok Soo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23 no.5
    • /
    • pp.154-158
    • /
    • 2013
  • We have analyzed the magnetization curves measures by using VSM and MOKE in synthetic antiferromagnetic coupled CoB/Ru/CoB thin film. The measur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calculated ones by Stoner-Wohlfarth model based on the magnetization behavior of two ferromagnetic layers ($M_1$, $M_2$). The calculated total magnetization ($M_{tot}=M_1+M_2$) and single layer magnetization($M_1$) behavior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results by using VSM and MOKE, respectively. The total magnetization curve ($M_{tot}=M_1+M_2$) showed reversible magnetization behavior with flopping field of about 50 Oe. While single layer magnetization ($M_1$) behaviors showed irreversible magnetization behavior in the field range of $H_F$ < H < $H_F$. These magnetization behaviors were explained by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magnetization directions of two ferromagnetic layers in SAF sample.

Analysis on the Magnetization of the Permanent Magnet by Using Preisach Model (Hysteresis 특성을 고려한 영구자석의 자화량 해석)

  • Won Hyuk;Park Gwan 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968-970
    • /
    • 2004
  • 자성체의 자화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자성체가 가지고 있는 포화 현상과 Hysteresis 현상을 고려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자화 특성 해석에서는 Hysteresis 현상을 무시하고 포화 현상만을 고려한 해석을 진행하거나 Hysteresis의 메이저 루프 특성만을 고려한 비선형 문제 해석만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자성체의 Hysteresis 특성은 메이저 루프적 특성 뿐만이 아닌 마이너 루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 두 특성에 따라 많은 자화량적 변화를 가지게 된다. 또한 같은 재료적 특성을 가진 자성체라고 해도 그 형상에 따라 다른 자화 특성 분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두가지 특성을 전부 고려한 해석이 되어야 만이 정확한 자화 특성 해석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멀티브렌치적 특성과 자성체 형상에 따른 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Preisach 모델링을 이용하여 자성체의 형상에 따른 자화적 특성을 해석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Magnetization Reversal Behavior of Submicron-sized Magnetic Films in Response to Sub-ns Longitudinal Field Pulses Along the Easy Axis (1 ns 이하의 자화 용이축 펄스 자기장에 의한 자성박막의 자화 반전 거동)

  • Lee, Jin-Won;Han, Yoon-Sung;Lee, Sang-Ho;Hong, Jong-Ill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17 no.5
    • /
    • pp.188-193
    • /
    • 2007
  • We simulated the magnetization reversal behavior of submicron-thickness magnetic films by applying pulses of sub-ns-long durations and amplitudes along the easy axis. The films were rectangular and elliptical $Ni_{80}Fe_{20}$, and their thickness was 2 nm and 4 nm. We observed different behaviors depending upon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films and found a normal non-switching in regions in which we expected complete switching after relaxation. In the elliptical film, the non-switching regions were found to be random and to b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witching map. The strong demagnetization field along the z-axis,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is likely responsible for this abnormal behavior. In the rectangular film, the abnormal non-switching regions were less distributed than they were in the elliptical film due to edge domains resulting from the small $M_z$ or demagnetization field during the switching. Our simulation confirms that large demagnetization is detrimental to the ultra-fast magnetization reversal of magnetic ultra-thin films.

A Study to Increase Strength of Concrete using of Magnetic Water (자화수를 이용한 코크리트 내구성(=강도)증진에 관한 연구)

  • 한상묵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1998.10c
    • /
    • pp.25-29
    • /
    • 1998
  • 일반적으로 동일한 배합에서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진시키는 방법중에서 혼화재를 넣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는 첨가된 혼화재의 양만큼 생산비용이 증가하며, 본 실험에서 콘크리트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한 자화수는 자석을 통과시켜 만든 물이며 제작방법 이 매우 간편하고 자석이라는 비소모성 및 무동력의 장치를 사용하여, 또한 화학물질을 사 용하지 않고 얻을 수 있다. 이때의 자화수는 외관상으로는 보통물과 아무런 차이가 없으며 무색무취이다. 즉 강력한 자장속에 보통 물을 통과시켜서 이온화된 자화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실례로 러시아 "샤프스쿠스크" 철근 콘크리트 제품공장에서는 자화수를 사용해서 매년 약 15%의 시멘트절약에 성공하고 있고, 모스크바의 철근콘크리트연구소에서 자주 자 화수의 전문회의가 열리며, 매번 좋은 결과를 서로 보고하고 있다고 한다. 본 실험에서는 자 화수에 의한 강도증진효과를 보기 위해서 동일배합에서 보통물과 자화수를 배합수로 하여 각각의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해 압축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보통물을 사용해 제작한 공시체 보다 4~13% 가량 강도증진효과를 보았다. 따라서 다른 혼화재를 사용하지 않고 오 직 자화수를 배합수로 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강도를 높임으로써, 동일한 배합강도를 얻기 위해서 보통물을 배합수로 제작된 콘크리트에 비해 시멘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 이에 따 른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여러 가지변수에 따라 자화수 가 콘크리트 강도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는지를 알아보았다.

  • PDF

Sputering Pressure and Temperature Effects on Magnetization Reversal Behaviors of $Co(2\AA)/Pd(13\AA)$ Multilayers (스퍼터링압력 및 온도 효과에 의한 $Co(2\AA)/Pd(13\AA)$ 다층박막의 자화반전 거동)

  • 김성봉;정순영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6 no.4
    • /
    • pp.199-203
    • /
    • 1996
  • To study the magnetization reversal behavior of Co/Pd multilayers, we first demagnetized the samples by the field-demagnetized method and then measured initial curves and minor loops. The coercivity and the perpendicular magnetic anisotropy were obtained from the perpendicular and parallel magnetization curves measu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We interpret our experimental results by applying several qualitative and semiquantative approaches. From these study, we found that the magnetization reversal behavior is dominated by the domain wall pinning for all samples and the coercivity incremental tendency can be explained by Kronmuller's formula $H_c(T)\;{\propto}\;r_0.K_u$.

  • PDF

Magnetism of Ferric Iron Oxide and Its Significance in Martian Lithosphere (화성 암권의 진화해석을 위한 예비연구: 3가철 산화물의 자화특성)

  • Jeong, Doo-Hee;Yu, Yong-Jae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3
    • /
    • pp.189-194
    • /
    • 2011
  • Martian satellite missions indicate that Martian equatorial plains are covered by ferric iron oxide. As a non-destructive technique, low-temperature treatment of remanent magnetization is effective in identifying magnetic minerals in rocks. In the present study, four sets of ferric iron oxides were prepared by aqueous alteration of ferrihydrite at warm conditions and four others by dehydration of goethite. As the amount of aluminous trivalent cations increases, crystallographic lattice parameters and N$\acute{e}$el temperatures decrease. Such declines originate from lattice distortion as the smaller aluminous trivalent cations substitue the larger terric irons. Whilst high remanence memory was observed for aqueously produced ferric iron oxide, low remanence memory was observed for dehydrated ferric iron oxide. In the future. magnetic remanence memory would be powerful in diagnosing the origin of ferric iron ox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