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에너지

Search Result 1,11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Passive Solar Post Offices (자연형 태양열 우체국사 실태 조사연구)

  • Lim, Sang-Hoon;Auh, P.Chung-Moo;Jeon, Hong-Seok
    • Solar Energy
    • /
    • v.10 no.1
    • /
    • pp.80-91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aterials necessary for planning and designing of passive solar post offic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degree on old passive solar post offic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ost office pattern. In conclusion, passive solar systems are effective and economical when they are applied to post offices for heating systems.

  • PDF

A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Surface Radiation-Natural Convection Interactions in an Enclosure for Various Adiabatic Wall Thicknesses (단열벽체두께가 변화되는 밀폐공간에서 복사-자연대류열전달특성에 관한 연구)

  • Kwon, Y.I.;Yoo, J.O.;Kwon, S.S.
    • Solar Energy
    • /
    • v.15 no.3
    • /
    • pp.39-52
    • /
    • 1995
  • This study is investigated numericall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surface radiation-natural convection interactions in a two dimensional enclosure assumed Ondol cavity. Mean Nusselt number of the bottom surface with surface radiation is increased by increasing wall emissivity and by decreasing dimensionless thickness of adiabatic wall. and is greater than that without radiation. Mean Nusselt number of the bottom surface for convection only with surface radiation is slightly smaller than that without surface radiation with decrease dimensionless thickness of adiabatic wall.

  • PDF

리포트-자연자원정책과 행정조직

  • Lee, Jeong-Jeon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9 s.103
    • /
    • pp.26-27
    • /
    • 1989
  • 이 자료는 지난 8월 21일 한국종합무역센터 대회의실에서 한국자원경제학회 주최로 열린「2000년대의 자원ㆍ에너지환경과 합리적인 정책수립 방향에 관한 정책토론회」에서 이정전 한국자연경제학회 회장이 발표한 주제 내용을 옮긴 것이다. <편집자 주>

  • PDF

자연모사 표면을 이용한 공기 중 수분수집 기술동향

  • Park, Jun-Sik;Lim, Hyeon-Ui
    • 기계와재료
    • /
    • v.22 no.3
    • /
    • pp.50-65
    • /
    • 2010
  • 2001년과 10년 후인 2010년 Nature지에 나미브사막 딱정벌레와 거미줄이 특수한 표면 성질을 이용하여, 에너지의 사용 없이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고, 이를 식수로 활용하고 있다는 연구논문이 발표되었다. 자연을 고려하고 이들과 함께 하는 삶이 우리가 가야할 방향임을 틀림없는 현시점에서 이러한 연구들이 시사하는 바는 매우 크며, 자연의 지혜를 배운 고효율화되고 친환경적인 과학기술 발전이 절실하다. 이 글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에너지를 최소화하면서 물을 수집할 수 있는 기능성 표면을 이용한 공기 중 수분수집 기술에 대하여 연구동향과 특허동향, 응용분야 및 응용제품들의 시장성에 대해 간략히 기술한다.

  • PDF

Development of a New Heat Exchanger for the Super Cooling (HESC)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Heat Pump System for the Living Space by the Natural Energy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생활공간 냉난방용 열펌프의 성능향상을 위한 과냉 촉진 신개념 열교환기(HESC) 개발)

  • Song, Heo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31 no.6
    • /
    • pp.40-48
    • /
    • 2011
  • 과냉 촉진을 위한 새로운 열교환기(HESC)가 생활공간의 냉난방을 위한 공기-물 열펌프의 성능계수 향상을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되었으며 그 효과를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열교환기(HESC)는 여러 단계의 셀과 튜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펌프 시스템의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장착되었다. 실험 조건으로, 외기온은 $7^{\circ}C$에서 $-17^{\circ}C$, 입구 물 온도는 $7{\sim}10^{\circ}C$ 그리고 제 2열전달매체로서 물의 질량 유동율은 시간당 100에서 $300{\ell}$로 변화를 주었다. 본 실험에서 이 열교환기가 장착된 열펌프의 압축기에서의 냉매 입 출구 사이의 온도 차이는 열교환기가 장착되지 않은 열펌프보다 $15^{\circ}C$ 높았다. 이에 따라 이 열교환기가 장착된 열펌프 시스템은 외기온 $-10^{\circ}C$에서 COP가 0.8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 공기-물 열펌프 시스템은 최근 한국에서 실용화되고 있는 고비용이 요구되는 지열 열펌프 시스템을 대체하여 생활공간을 위한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Ocean Renewable Energy on the Ecosystem (해양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 Myung, Cheol-Soo;Yoo, Jeong-Kyu;Lee, Kwang-Soo;Koo, Bon-Joo;Choi, Joong-K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138-140
    • /
    • 2006
  • 해양 신 재생에너지 개발에 의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환경변화 사례와 예측하였다 해양에너지의 개발은 필수적으로 해양환경 및 생태계에 변화를 초래하여 조력발전시설의 경우 조간대에 서식하는 저서생물의 종다양성을 감소시키고 철새 등의 조류의 종수 및 개체수의 변화를 가져오고 조력 및 조류발전 터빈시설은 수생생물의 기계적 충돌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해양 신 재생에너지의 개발과 더불어 생태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사 및 연구가 병행되어야 개발 후 상용화단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자연보전의 방안을 제시하고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료를 도출 할 수 있다.

  • PDF

자연의 기능성 구조 및 표면

  • Im, Hyeon-Ui;Park, Seung-Cheol;Lee, Deok-Gyu
    • Journal of the KSME
    • /
    • v.56 no.12
    • /
    • pp.51-55
    • /
    • 2016
  • 자연의 뛰어난 슬기로움은 많은 부분 최적화된 자연물의 구조와 표면에서 기인한다. 이 글에서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기능을 극대화하며 환경에 대한 부담을 저하시키려 계속 진화하는 자연의 지혜로운 구조와 표면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과학기술의 개발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n Investigation on Quantity of Unused Energy Using Temperature Difference Energy as Heat Source and Its Availability (온도차에너지를 열원으로 하는 미활용에너지의 부존량과 이용가능성에 관한 조사연구)

  • 박준택;장기창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1 no.2
    • /
    • pp.106-113
    • /
    • 2002
  • While the demand for energy has shown a sharp increase recently, the supply seems to be limited by the fact that the conventional fossil fuel energy or nuclear energy has its own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for example, global warming or nuclear waste disposal. To overcome such limited supply of energy, the utilization of natural thermal energy such as river water and sea water as well as treated sewage can be a substantial supplement. The potential use of the unused energy has become more and more feasible these days as the heat pump technology has been advanced. In the present study, the unused energy reserves are estimated on regional and monthly basis for each resource based on the method developed here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e data for its utilization. The potential use of the unused energy is also discussed.

The Concept of Daylighting (자연 채광 방식의 개념)

  • Kim, Kwang-Woo
    • Solar Energy
    • /
    • v.13 no.2_3
    • /
    • pp.12-21
    • /
    • 1993
  • For the proper utilization of daylight in a building, an architect should be able to utilize the building enveloped as a filter to admit daylight into the building. The daylighting concepts commonly used in buildings are categorized as sidelighting, toplighting and atrium, and their lighting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The decision of the daylighting concepts for a building should b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quantity,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ality of daylight, and resulting contrast effect.

  • PDF

A Fundamental Study on the Daylighting Characters of Atrium Building (Atrium Builing의 자연채광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 Kim, Hwy-Sub;Choi, In-Chang;Seo, Juong-Ho
    • Solar Energy
    • /
    • v.12 no.3
    • /
    • pp.21-27
    • /
    • 1992
  • This study is presents model testing to evalute daylighting performance in Atrium Building. There are several methods fof the prediction of Daylighting level in a Atrium Building, But they are not sufficient to estimate intreior daylight level of each different hights onleaner Atrium Building. In this study provide with making the model to estimate the environmental effect for the daylight on leaner Atrium, measuring the model in 80 variable sky condition, building direction, interior length-width ratio through the variation of floor-hight and space rati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