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수 개념의 역사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Analytic Study on the History of Natural Number Concept (자연수 개념의 역사에 관한 분석적 고찰)

  • Ko Jung-Hwa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18 no.2
    • /
    • pp.9-22
    • /
    • 2005
  • Natural numbers have not yet been studied adequately on the aspect of its historical development in spite of its mathematical and educational importance. This article studi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natural number concept, that is, its historical meaning in the mathematical development process and influence of cultural and social element in relation with way of understanding number. From these examinations, we identified some characteristics in the history of natural number concept.

  • PDF

A Study on Activistic Construction of Number Concept in the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School Age (학령 초의 활동주의적 수 개념 구성에 관한 연구)

  • Ko, Jung-Hwa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7 no.3
    • /
    • pp.309-331
    • /
    • 2007
  • Mathematics education starts from learning the concept of number. How the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school age learn the concept of natural number is therefore important for their future mathematics education. Since ancient Greek period, the concept of natural number has reflected various mathematical-philosophical points of view at each period and has been discussed ceaselessly. The concept of natural number is hard to define. Since 19th century, it has also been widely discussed in psychology and education on how to teach the concept of natural number to the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school age. Most of the works, however, were focused on limited aspects of natural number concept. This study aims to show the best way to teach the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school age the various aspects of natural number concept based on activistic perspective,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modern mathematics education. With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theory of the activistic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the construction of natural number concept through activity, and activistic approaches about instruction in natural number concept made by Kant, Dewey, Piaget, Davydov and Freudenthal. In addition, I also discussed various aspects of natural number concept in historical and mathematical-philosophical points of view. Based on this investigation, I tried to find out existing problems in instructing natural number to primary school childre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aimed to provide a new solution to improve present problems based on activistic approaches. And based on activistic perspective, I conducted an experiment using Cuisenaire colour rods and showed that even the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school age can acquire the various aspects of natural number concept efficiently. To sum up, in this thesis, I analyzed epistemological background on activistic construction of natural number concept and presented activistic approach method to teach various aspects of natural number concept to the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school age based on activism.

  • PDF

수 개념의 새로운 시각

  • Park, Yong-Beo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1
    • /
    • pp.251-258
    • /
    • 2001
  •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변화들을 인간의 지식으로써 표현하는 것이 여러 언어적인 표현이다. 그러나 인간이 무엇을 알고 있는가에 대하여, 표현하기란 그 누구도 결코 불가능한 것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인간의 지식을 표현하는 언어로서 자문자답한다고 하더라도 그 결과는 역시 알 수 없는 미궁으로 빠지게 됨을 그 누구나 공감하게 된다. 그렇다고 한다면 수를 보는 시각과 인류 문명에 대한 시각, 그리고 인간사고에 대해서도 이제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이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시각으로 수의 성질을 크게 존재 ${\cdot}$ 법칙 ${\cdot}$ 구조와 질서 ${\cdot}$${\cdot}$ 양과 질 ${\cdot}$ 통일로 분류하여 알아보았다.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의 수 개념 형성에 초점을 둔 Piaget이론을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경험주의 선구자인 Dewey의 수 개념을 소개하고 있다. 역사와 수, 인체와 수에서는 동이와 수리사상이 인체와 관련된다는 사실은 동 ${\cdot}$ 서양을 막론하고 확인되고 있다. 인체와 수에 대한 것을 동양인 중국 문화권에서 일(一)부터 십(十)까지의 기호를 인체와 연결시켜 소개하였다. 수의 본질을 알고 이해하는 것이 곧 자연현상의 이해이며 그 자연의 일부인 인간을 이해하고 동시에 역사를 이해하는 기본이라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수를 보는 시각이 달라지지 않으면 수학을 기피하는 현상은 계속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Design of Ontologies-Driven Design of Context-based Historical-Cultural of U-Service in U-City (U-City에 있어서 U-Service의 콘텍스트 기반 역사문화 온톨로지 설계 관한 연구)

  • Kwon, Cha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6
    • /
    • pp.379-387
    • /
    • 2011
  •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re digitized documents of records or evidences about changes of human society. The changes or evolvements are resul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society and environment. So the different feafures are appears by spatio-temporal observing locations Historical-cultural contents need to be designed so that the preserv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daptation to changes of the future are easy. So historical-cultural contents have structured to support the intelligent services based on context. This study propose context-based ontology-design method based on events, and we implemented web services of Bible contents by proposed method.

Lessons from the Landscape Architecture of Ulsan World Cup Stadium (울산월드컵경기장 조경의 교훈)

  • Hong, Kwang-Pyo;Lee, Sang-Yun;Lee, D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0 no.5
    • /
    • pp.78-88
    • /
    • 2002
  • 본 연구는 울산월드컵경기장의 조경현황을 분석함과 동시에 경기가 끝난 후에도 이곳을 찾는 이용자들의 요구를 수렴함으로써, 향후 경기장조경시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을 얻기 위한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조경현황에 대한 분석 자료는 월드컵경기장 조경을 위한 시공보고서와 도면 및 사진 그리고 현장에서 수집한 제반 자료이며, 이용자요구는 현장에서 조사한 이용행태이다. 연구결과 2002월드컵대회에 대비해서 만들어진 울산월드컵경기장은 건축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에 서 대규모의 정지작업을 실시하여 과다한 지형변화가 발생하였으나, 친환경적인 법면의 처리와 향토식생의 도입 및 대형목 등의 이식을 통해서 자연과 친화될 수 있는 경관을 조성하고 있었다. 특히 기존의 옥동저수지를 보전.활용하여 친수공간을 확보한 것은 울산월드컵경기장조경에서 주목할만한 특징으로써, 기회요소를 지혜롭게 활용한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 한편, 울산월드컵경기장은 시민들이 부담 없이 여가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원적 기능이 체육시설에 접목됨으로써 기존의 경기장과는 달기 체육, 문화, 교육기능이 복합적으로 기능하는 세계적 수준의 체육공원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울산이 가진 역사 문화적 요소를 상징적인 설계언어로 도입한 것은 역사적 장소성을 중시한 설계방법으로서 이것 역시 울산월드컵경기장조경의 특징으로 손꼽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울산월드컵경기장은 경기가 종료된 이후에도 시민들에게 적극적으로 개방되고 있으며, 시민공원의 성격으로 이용될 수 있는 다원적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주목되는 바가 컸다 이와 같은 경기장 건설의 개념은 공간의 이용을 시간적으로 확장하는 것으로서 향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할 현대적 개념의 공간이용으로 볼 수 있다. 연구결과 향후 울산월드컵경기장이 시민의 휴식과 문화공간으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경기장은 물론 공원으로 이용되는 공간에 대한 철저한 유지관리와 운영관리에 대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자연환경이 훼손된 부분에 대해서는 원래의 생태적 질서가 회복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Practices of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Type of Knowledge in Geography Education (지식의 유형에 근거한 지리과 수업 방법의 실제)

  • 심광택;김일기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2 no.2
    • /
    • pp.197-21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practices of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type of knowledge in geography educati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type of knowledge according to the five themes in guidelines for geographic education in america are as follows: the empirical-analytic knowledge-centered contents are suited for designing concepts inquiry-centered teaching. The historical-hermeneutic knowledge-centered contents are suited for designing problem solving-centered teaching. The critical knowledge-centered contents are suited for designing decision-making-centered teaching. In this shsdy, 1 emphasized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type of knowledge in Ceographv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ponses of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n practice l propose that teachers construct their lesson plans according to their various spheres of interest.

  • PDF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Evolution Concepts based on the History of Evolutionary Ideas (진화개념의 역사에 근거한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진화개념 수준 비교)

  • Ha, Min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4
    • /
    • pp.659-66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evolution concept depending on the major and the country. For this study, college students (both biology major and non-biology major)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swered evolution concept assessment developed by Ha (2007).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method of developed by Ha (2016). As a result of this study, Cronbach alpha for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MNSQ indices for item response fitness of the ordered multiple choice method providing 0 to 4 point scores to creationism, teleology, intentionality, use/disuse, and natural selection respectively, satisfied the benchmark. The level of Korean college students' evolution concepts was located in use/disuse and the level of USA college students' evolution concepts was located in teleology. No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the difference of conceptual progressions of evolution concept by major and country and evolution contexts (human, animal, and plan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al stages of evolution concept and their religios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volutionary concepts.

Forming and Changing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befor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전 '문화재' 개념의 형성과 변화)

  • OH Chunyo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6 no.4
    • /
    • pp.288-318
    • /
    • 2023
  • This work began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concept "cultural property" that is expected to disappear, and the main subject of research was the history that preceded the spread of this notion throughout society. The phrase "cultural property" first appeared in the 1920s, and wa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history, music, and philosophy in the context of cultural resources. Until immediately following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eaning of cultural assets was widely applied in the range of "cultural resources," and during this period, it was often used to help supplant the reality and history of Japanese occupation.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 it was also employed for the purpose of 'restoration of cultural resources through war'. Recognition of cultural property directly influenced by Japan's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has occurred since 1950s. In the early 1960s, the enactment of various laws related to cultural proper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aused the meaning of cultural property to be limited to 'cultural heritage'. In this way, the definition of state-led cultural property has continued to apply to this day. It has not been clearly confirmed whether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ies was imported from Japan through means such a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Cases in which several Japanese students endorsed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within Korea serve to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the concept was indeed imported from Japan. However, "coined language using multiple Chinese characters," "the phenomenon of cultural complex words in the 1920s,", and "cases of non-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using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also open up the possibility of their own occurrence. Apart from the general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intellectuals at the time used this concept to promote internal development and the overcoming of colonial Joseon. In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ual word cultural property was older and had a wider history than the general perception had indicated previously. The history of the conceptual term "cultural property" may appear to be more than 60 years old based on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but in fact it is nearly 100 years old when traced back to on 1925, as established here. In general, the creation and disappearance of terms may proceed naturally with social change, but such terms may alternatively be created or erased through national policy. Identifying the origins of a phrase that is about to disappear represents a significant task for purposes of establishing its historical meaning.

Historical Significance and Didactical Implications of Stevin's (Stevin의 '소수'의 수학사적 의의와 수학교육적 함의)

  • Chang, Hye-W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1 no.2
    • /
    • pp.121-134
    • /
    • 2011
  • Stevin is known as the inventor of decimal fractions, even though many mathematicians had the concept of decimal fractions and used it before Stevin. Why? To respond to such a question, we studied about its significance which 'La Disme' had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These can be summarized as its notational aspect, the manner of developing the book, the conceptual revolution and the practical purpose. And the chapter and verse of are little known when compared to its reputation. So in this paper we considered its contents in detail and discussed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in relation to teaching and learning of decimal fractions in elementary school : importance of place values, similarity of calculation to natural numbers, using common fractions to justify, emphasis on the applications of decimal fractions, relation to measuring units, necessity of teaching number sense, using notational aspects.

  • PDF

The enhanced definition of terrorism and disaster for better Counter-terrorism strategies in the future (대테러 대비 전략을 위한 테러와 재난정의 이해)

  • Oh, Hangil;Kim, Dae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99-301
    • /
    • 2016
  • 현대 사회에서 테러는 국제적으로 매우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대한민국도 더 이상 테러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뉴스가 보도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에 테러의 인식에 따른 시각은 다소 편협하여 성별, 나이, 직위, 장소등 많은 부분에서 갈등을 갖으며, 또한 한반도는 남북한의 갈등으로 인한 특수성은 게릴라 전을 테러라고 인식하는 시각이 있다. 국내 특수성으로 인해 테러를 전쟁의 영역으로 보고 테러대응 전략은 국가 안보로 많이 치우쳐져 있다. 역사와 정치적으로 또한 테러는 이념대립으로 인한 전쟁으로 치우쳐 전쟁의 전략에 한 부분으로 인식 되어 왔다는 것이 사실이다.(Rumyana G., 2014) 이는 전쟁의 시각에서 테러를 잘 설명하고 있다. 한편, 테러의 개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존의 안보의 개념뿐 아니라 재난의 개념에서도 찾을 수 있다. "불평등한 사회에 대한 민중의 분노로 이해하여야 한다"고 스위스 진보적 사회학자 장 징글러(Jean Ziegler) 는 말하며 무고한 사람들을 타겟으로 한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비합법적 무력 사용으로 보았다. 즉, 비합법적 무력사용으로 무고한 다중(Innocent people)에게 폭력을 행사한 것이다. 젠킨스와 라쿼르의 정의를 살펴보면 "테러리즘이란 폭력 혹은 폭력의 위협이다"라고 정하였다.(Jenkins 2004) 폭력이란 형법에서는 다른 사람에게 상해를 입히거나 협박하거나 하는 등의 행위와 함께 다른 사람을 감금하는 행위, 주거에 침입하는 행위, 기물의 파손 등에 대해서도 폭력이라 표현한다. 철학, 정치학 등의 학문에서는 다른 사람 또는 국가나 세력을 제압하는 힘을 일반적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힘자랑이나 힘겨루기가 이에 속한다. 무력의 사용으로 사회에 심리적인 영향을 끼치며 사회적 파괴를 일으키는 것을 보편적 테러의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테러는 국가 통치 질서와 사회질서 안정에 큰 위협과 혼란을 초래하는 파괴행위의 무력행사로 국가의 재난 상황을 유발하는 인류가 만든 재난으로 볼 수 있다. 자연현상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인류의 시점에서 재난으로 해석된다. 마찬가지로 사회현상으로 발생하는 폭력적 파괴행위에 대한 피해는 인류의 시점에서 재난의 현상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첨단기술을 이용한 폭력행위와 파괴의 두려움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두려움의 전파 속도도 빨라 질 것이다. 따라서 테러행위의 극복을 위해서는 테러를 인적재난(Man-made Disaster)로 보고 재난의 범주로 포함하여 미래의 테러를 위한 대비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학계의 학자들과 기관 및 민간 의 전문기관들에 따른 테러의 정의를 분석하고 재난정의를 고찰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 대테러 대비 전략의 방향에 기틀을 마련하고자 테러정의를 도출하였습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