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생분포 및 생태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onservation strategies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Echinosophora koreensis of Korean endemic plants in DMZ (DMZ 일원 특산식물 개느삼의 생태적 특성 및 보전 방안)

  • An, Jong-Bin;Bak, Gippeum;Park, Jinsun;Jung, JI-Young;Kim, Jun-Il;Shin, Hyun-Tak;Park, Wan-Ge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7-27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특산식물이고, IUCN Red List의 EN(위기종) 등급에 속하는 개느삼(Echinosophora koreensis)을 대상으로 자생지 분포, 식생구조 등의 생태적 특성과 현지 내외 보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개느삼의 자생지 분포 조사 결과 강원도 양구군 13곳, 인제군 3곳, 춘천시 2곳, 홍천군 1곳 총 19곳에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느삼 자생지의 해발고도는 169-711m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 해발고도는 375m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느삼 자생지의 면적 조사 결과, $8,000-734,000m^2$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평균 $202,789m^2$으로 조사되었다. 개느삼 자생지의 입지환경 분석을 수행한 결과, 자생지 내 우점종은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대부분 우점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목층은 생강나무가 우점하였고, 초본층은 모든 조사구에서 개느삼이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느삼 자생지의 식생군집분석 결과, 신갈나무, 소나무, 굴참나무 우점 군집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개느삼 자생지를 대상으로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총 82과 204속 289종 4아종 43변종 5품종 34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개느삼의 출현지점을 이용하여 자생지 분포역 예측 model 중 하나인 MaxEnt 분석을 통하여 잠재 분포지 분석을 수행한 결과, AUC값은 0.9762로 분석되었다. 분포예측 자생지는 강원도 양구군, 인제군, 춘천시, 화천군 지역에 집중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racteristics of Natural Habitats to Allium monanthum in South Korea (한국 달래의 자생 특성)

  • Kim, Kyung-Min;Park, Soon-Ki;Kim, Chang-Kil;Oh, Jung-Youl
    •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 /
    • v.42 no.4
    • /
    • pp.381-389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breeding and/or cultivation materials by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natural habitats of Allium monanthum in South Korea. Natural habitats of sunny, half-shady, and shady conditions were 13 (10.7%), 66 (54.6%), and 42 (34.7%), respectively. Natural habitats were located around upland (45.4%), around Buddhist temple area (28.1%), on mountain area (18.2%), along roadside (2.5%), and along riverside (5.8%), respectively. Natural habitats ranged widely in all areas of Korea by $33^{\circ}N{\sim}38^{\circ}N$ and $126^{\circ}E{\sim}129^{\circ}E$. In Chungbuk and Gyeongbuk natural habitats were more than in Jeonbuk and Jeonnam. Distribute pattern were formed densely. Sprout stage was from September till March of next year. Grew from March to April, and there was no plant formed flower stalk in natural habitats.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Disturbed area in DMZ(Demiltarized zone)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

  • Jung, JI-Young;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Bak, Gippeum;Park, Jinsun;Song, Jin-Heon;Yun, Ho-Geun;Jung, Su-Young;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6-26
    • /
    • 2019
  • DMZ 일원은 정전협정으로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가 설정된 이래 민간인의 출입이 엄격히 금지된 채로 외부의 간섭에서 벗어난 독보적 공간으로 보전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은 자연재해 및 군사적 목적으로 훼손되어 생태적으로 교란된 지역이 발생하여 생태적 건강성이 저하되고 있다. 무엇보다 군사분계선 남쪽 2km에 설치된 남방한계선은 군사적 목적에 따라 시계확보를 위해 불모지작전을 수행하여 생태적 교란 및 토양침식에 의해 생태계가 열악한 실정이다.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는 DMZ내 생태교란지를 하나의 특수한 생태계로 간주하여, 향후 DMZ내 생태교란지에 특화된 식생복원 체계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MZ 155마일(248km)에 대해서 위성영상분석을 수행하여 생태교란지 유형화분류 연구를 수행하여 7개 유형(저지대초지, 서부저지대산지, 저습지 및 수공간 지역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DMZ 생태교란지에 적합한 식물종 선정을 위하여 DMZ 전역을 대상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여, 분포가 확인된 종을 대상으로 도입 가능종의 검토, 종자 수집 및 채종원 조성을 실시하였다. 추후 DMZ 생태교란지 식물복원에 적합한 공법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시계확보를 위해 수행되는 불모지 작전에 적합한 종의 선정, 선정된 종을 대상으로 유사환경 조성에 따른 공법 적용, 적용된 공법에 따른 관리 방안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DMZ 일원에 특화된 공법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불모지 작전 및 관리 최소화가 이루어지고, 무엇보다 우리나라 종자 및 야생화 산업의 활성화와 현재 파편화 되어 있는 생태축이 하나의 축으로 연결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PDF

DMZ 155 Miles - Characteristics of natural environment and plant distribution - (DMZ 155마일 자연환경 및 식물분포특성연구)

  • Jung, Su-Young;Park, Jinsun;Bak, Gippeum;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Song, Jin-Heon;Yun, Ho-Geun;Jung, Ji-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5-25
    • /
    • 2019
  •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이후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DMZ (Demilitarized zone: 비무장지대)가 설정되었다. DMZ에 출입은 군사정전위원회의 허가가 있어야 가능하기에 군사시설 및 군작전지역을 포함하여 DMZ 및 민간인통제선 이북은 민간인 접근의 제한으로, 단절된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DMZ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동고서저의 지형 및 다양한 생태환경을 두루 갖추고 있어 중요한 생태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다. 산림지역은 민간인통제지역까지 합치면 40여개의 산지가 분포하고 있으며, 하천은 크게 15개의 크고 작은 하천이 위치하고 있다. 남방한계선 수계를 따라 일부지역들은 하천 배후습지, 묵논습지 등 습원형태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런 습원지역들은 대부분 미확인 지뢰지대로 접근이 제한적인 만큼 지난 세월의 흔적들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1965년 한국자연보존연구회는 30여명의 국내학자를 동원하여 서울에서 가까운 DMZ 인접지역에 대한 예비적인 학술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1966년 10월부터 1968년 9월까지 2년간에 걸쳐 한국자연보존위원회 34명의 국내학자와 미국 스미소니언연구소(Smithsonian Institution) H. K. Buechner 박사를 대표로 5명의 국외학자가 공동으로 종합적인 학술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는 DMZ 연구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남북관계나 시대여건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다양한 조사 및 연구들이 이어져오고 있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 DMZ 철책주변 현장조사를 통해 확인된 식물현황은 964분류군이다. 군시설로 인해 식물서식환경이 제한적인 상황이지만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고 있는 식물은 다양하다. DMZ와 맞닿아 있는 7개 지역에 대한 식물현황은 철원 638분류군, 연천 631분류군, 양구 525분류군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중동부 지역에 높은 식물종수가 나타났으며, 서부와 동부의 식물들이 고르게 나타나는 결과로 보인다. 큰잎쓴풀, 봉래꼬리풀 등 희귀식물도 있는 반면, 잠재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침입외래식물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양구지역에 새롭게 발견된 Macleaya cordata (Willd.) R.Br.(양귀비과)는 독성이 포함된 식물이며, 인제에서 2014년에 발견된 미역취아재비는 DMZ일원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종이였으나 현재 연천에서 발견되는 등 확산에 대한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 PDF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Rubus coreanus in Korea (한국에서의 자생 복분자딸기 분포 및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 Ahn, Young-Hee;Kim, Young-Hw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1 no.2
    • /
    • pp.176-185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native Rubus coreanus community in Korea(Ulleung island and Jeju island excepted). The quadrates we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tive Rubus coreanus habitats.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patter of native habitats were found to be divided into mountain roadsides, second-transition rents, severely damaged rents in the mountain, strictly protected regions, and environmentally harsh regions. The research revealed 218 taxa in total, in which 71 families, 165 genera, 18 varieties,1 forma and 199 species were checked in the flora of the native Rubu coreanus habitats. In this flora, the perennial plants appeared in as much as 80.74% proportion and appearance-frequency of the compositae was highest, accounting for 7.80%.

금강산 희귀 특산식물 버들개회나무 남한에서 자생지 발견

  • Jeong, Jae-Min
    • 산림경영
    • /
    • s.189
    • /
    • pp.20-21
    • /
    • 2008
  • 국립수목원(원장 박종서) 보전 복원 연구팀은 그 동안 금강산에서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버들개회나무(물푸레나무 과(科))의 자생지를 강원도 남부지방에서 발견하였다고 밝혔다. 국립수목원은 현재 버들개회나무의 생태학적 및 유전적 도태 가능성에 대비하여 현지내 외 보존을 위한 대책 마련을 추진중에 있다.

  • PDF

The Study on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and species selection determining to establish priority species monitoring system in DMZ (DMZ일원 중점관리종 모니터링체계 구축을 위한 평가지표개발 및 종선정 연구)

  • Park, Jinsun;Bak, Gippeum;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Song, Jin-Heon;Yun, Ho-Geun;Jung, Su-Young;Jung, Ji-Young;Kim, Il-Kwon;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77-77
    • /
    • 2019
  • 본 연구는 DMZ일원에서 생육하고 있는 자생식물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DMZ일원 종다양성의 지속적인 건강성 유지 및 보전을 위한 중장기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중점관리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DMZ지역과 북방계지역에 대한 생물자원을 연구할 수 있는 기본틀을 마련하고 생물권보전지역을 지정함으로써 국제교류 및 이해에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DMZ일원의 관속식물상은 157과 754속 2,047종 12아종 340변종 105품종 총 2,504분류군이 생육하고 있다. 이 중 희귀식물은 총 285분류군, 특산식물은 총 124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130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 전체 2,504분류군 중 희귀식물, 특산식물, 침입외래식물을 대상으로 전국분포정보 및 DMZ일원 분포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희귀 특산식물에 해당하는 보호종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는 IUCN 적색목록기준 의 국내수준 및 DMZ일원의 희귀 특산식물의 등급을 CR종 3점, EN종 2점 VU종 1점으로 점수를 평가한 뒤 국내 분포 지역수(IUCN red list criteria B)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호우선순위를(I$10,576.9km^2$) 대비 종 분포면적의 0~20% 1점, 21~40% 1.5점, 41~60% 2점, 61~80% 2.5점, 81~100% 3점으로 분포등급을 평가한 뒤 생태교란종(14분류군) 및 산림침입종(181분류군)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관리우선순위를(I

  • PDF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한반도에 자생하는 침엽수의 종 구성과 분포)

  • Kong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4
    • /
    • pp.528-543
    • /
    • 2004
  • The biogeographical approach on the species composition, distributional range, and life form of native Korean conifers suggests that the Korean Peninsula harbors 4 families 10 genera 30 species. Early-evolved conifers maintain high species diversity and broad distribution. During the glacial periods, the ranges of cold-tolerant conifers expanded, on the other hand, those of warmth-tolerant ones reduced. Presence of endemic subalpine conifers might be the result of long-term isolation of conifers on high mountains. Horizontal and vertical ranges of native Korean conifers are classified into alpine, subalpine, montane, coastal, insular and disjunctive types, and then subdivided into twelve sub-types. Typical life form of native Korean conifers is evergreen tree, blooms in spring, and fruits ripe in autumn or following autumn. Oval and elliptical seeds with wing might be beneficial for their dispersal. Further works on the migration, dispersal, genetics, ecology of native Korean conifers are require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iogeography of conifers.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Adonis amurensis Reger et Radde native to South Korea (남한에 자생하는 복수초의 형질특성에 관한연구)

  • 안영희;여성희;이남숙;이상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3
    • /
    • pp.203-208
    • /
    • 1999
  • 본 연구는 남한에 자생하는 한국산 복수초를 원예용 경제작물로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남한의 21개 자생지를 대상으로 분포지역에 따른 개체군의 형질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식물체의개체군 특성에 의해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강원도의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자생하는 복수초군은 개화시기가 가장 빠르고 초장은 15cm이하로 작았으며 꽃받침이 꽃잎에 비해 큰 것이 특징이다 . 화경은 2.73cm 로 다른 복수초들에 비해 소형이다. 중부지방의 광릉 등지에 자생하는 복수초군은 개화시기가 3월 15일경으로 상대적으로 개화시기가 늦다. 화경은 3.67cm로 나타났다. 충청도 및 서해안 등지에 자생하는 복수초군은 개화시기가 빠르고 화경이 6,82cm 로 꽃이 크며 초장이 길어 관상가치가 뛰어나므로 금후 원예금후 원예작물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 제주도에 자생하는 복소초군은 잎과 꽃이 동시에 발달하고 화색은 밝은 황색이며 엽색도 다른 복수초들에 비해 엷은 빛깔의 초록색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복수초의염색체는 자생지에 관계없이 2n=16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