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의 자생 복분자딸기 분포 및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ive Rubus coreanus in Korea

  • 안영희 (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과) ;
  • 김영화 (중앙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과)
  • 발행 : 2007.05.31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전체(울릉도와 제주도를 제외)를 대상으로 복분자딸기 군락의 자생지 조사를 수행한 결과이다. 복분자딸기의 전형적인 자생지에 24개 방형구를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식생지 유형은 사면 노방지, 2차 천이지, 사면 훼손지, 엄정 보호지 및 가혹한 환경지 등으로 조사되었다. 복분자딸기 자생지 일대의 소산식물상은 71과 155속 18변종 1품종 199종 총 218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그 가운데 80.74%가 다년생 식물로 나타났고 국화과 식물이 7.80%로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native Rubus coreanus community in Korea(Ulleung island and Jeju island excepted). The quadrates we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native Rubus coreanus habitats.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e patter of native habitats were found to be divided into mountain roadsides, second-transition rents, severely damaged rents in the mountain, strictly protected regions, and environmentally harsh regions. The research revealed 218 taxa in total, in which 71 families, 165 genera, 18 varieties,1 forma and 199 species were checked in the flora of the native Rubu coreanus habitats. In this flora, the perennial plants appeared in as much as 80.74% proportion and appearance-frequency of the compositae was highest, accounting for 7.80%.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창군 농업기술센터(2001) 복분자 재배기술개발 및 육종을 통한 가시 없고 과실 크게 만드는 기술개발. 농림부
  2. 기상청(2006) http://www.kma.go.kr/
  3. 김종원, 이율경(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 조사와 평가 방법. 월드사이언스, 서울
  4. 박필재(2004) 복분자딸기의 재배기술 확립, 우량계통 선발 및 생리활성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안경환, 김종원(2005) 대구지역 노상식물군락의 분류와 분포특생. 한국생태학회지 28: (1) 31-36
  6. 안영희, 신경미(2006) 제부도 갯벌식생과 소산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1): 52-69
  7. 오영주, 백원기, 이우철(2002) 자병취의 생육지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5(3): 145-152
  8. 이성제, 안영희, 김규식 통(2006) 울릉도 큰졸방제비꽂 자생지의 생태학적 특성 및 식물상- 한국녹지환경학회지 2(1): 13-18
  9. 이영노(2006)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0. 이우철(1996)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11. 이일구(1981) 우이도 식물상의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술지 25(2): 33-53
  12. 이창복(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13. 차환수, 이문경, 황진봉, 박인선. 박기문(2001) 복분자딸기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6): 1, 021-1,025
  14. 한국양치식물연구회(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서울
  15. 한국농업토양정보시스템(2006) http://asis.rda.go.kr/index.asp/
  16. Ahn, Y. H(2005) 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Distribution of Native Scrophularis takesimensis in Ulleung-do Islan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7. Braun-Blanquet(1964) Pflanzwnsoziologie. 3 Aufl. Springer, Wien, New York, 865pp
  18. Bray, J. R. and J. 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y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https://doi.org/10.2307/1942268
  19. Ecology research group(1967) Manual of Ecology Research. Asakura Publishing Co., Tokyo, PP. 238-246
  20. Lim, J. H. and C. K. Sang(1990) Growth condition of Hepatica asistica Nakai in the habitats for the cultivation as the floricultural crop. J. Kor, Hort, Sci. 31: 81-89
  21. Song, J. S. and Ahn, Y.H(2002) Phytosociological study on composition, distribution and habitat of Ussurian pear and Chinese pear, Korean wild species. Kor Evn, Eco 16: 160-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