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동차 해킹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블루투스를 통한 자동차 해킹 위협에 대한 예상과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and Countermeasure of Hacking Threat of Car using Bluetooth)

  • 권구환;이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77-479
    • /
    • 2015
  • 해킹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현 시대에는 컴퓨터 통신 장비만을 해킹 하던 과거와 달리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에는 컴퓨터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장비에 통신시스템이 설계되면서 해킹이 가능한 장비들의 범주가 증가하고 있고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통신장비를 해킹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 자동차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스마트 자동차에 대한 해킹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블루투스에 대한 보안적인 요소들과 보안 취약점 및 대응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자동차 내부망 통신네트워크 해킹범죄예방을 위한 융합보안적 대응방안: Bluetooth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Convergence Security Approach for Motor 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Hacking Attack Prevention: Focus on Bluetooth Cases)

  • 최관;김민지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6_2호
    • /
    • pp.99-107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Bluetooth를 활용한 자동차의 내부망 통신네트워크를 해킹공격으로부터 예방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자동차 통신네트워크의 정의와 내부망 통신네트워크의 종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자동차 내부망 통신네트워크 해킹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해 Bluetooth에 의한 해킹범죄사례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로서 첫째,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동법에서는 전자제어시스템의 정의 및 기준사항과 안전운행을 위한 제작 및 정비를 규정해 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전자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해킹범죄 예방 및 방어와 관련된 보안프로그램 혹은 펌웨어 등의 제작과 관련된 규정이 없는 실정이다. 둘째, 자동차의 전자제어시스템 기술의 복잡성에 기인된 자동차 통신네트워크를 보호하고자 자동차 통신네트워크 보호 법률이 신설되어야 한다.

해킹으로 인한 자율주행자동차 사고 관련 책임 법제에 관한 연구 -민사상, 형사상, 행정책임 중심으로- (Civil liability and criminal liability of accidents caused by autonomous vehicle hacking)

  • 안명구;박용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9-30
    • /
    • 2019
  • 최근 4차 산업혁명이 화두로 등장하면서 자율주행자동차의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시험 운행이 늘어나면서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사고도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이버 해킹 위협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 영국, 독일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은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자율주행자동차의 사이버 해킹에 대응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거나 기존의 법률을 개정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자율주행자동차의 제한적인 임시운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자율주행자동차 해킹으로 인한 사고 발생 시 적용할 법제가 미흡한 상태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관련 법률 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자동차 사이버 해킹으로 인한 민사, 형사, 행정 책임 문제를 살펴보면서, 자율주행자동차 특성에 맞는 사고 책임 관련 법률체계를 제안하고 각 법제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분석하여 이슈사항을 도출하며, 추가적으로 간략한 개선방안도 제시한다.

코드 분리 기반 스마트 자동차 소프트웨어 보안 시스템 (A Smart Car Software Security System based on Code Splitting)

  • 김경리;서혜민;태희지;이수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25-226
    • /
    • 2018
  • 최근 스마트 카가 발전하면서 물리적 키에서 스마트 키로 차량용 키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키에 대한 해킹 위협도 증가하고 있으며 스마트 키의 보안은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기존의 스마트키는 자동차 시스템이 부팅 된 후에 데이터 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은 시스템이 이미 부팅된 상태이므로 여전히 해킹의 위협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안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Python 코드 분리 기술과 APK 바이트 코드 분리 기술을 자동차 부팅 코드와 엔진 APK의 바이트 코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APK와 적용된 APK를 리패징하여 해킹에 대한 본 연구의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Periodic-and-on-Event 메시지 분석이 가능한 차량용 침입탐지 기술 (Periodic-and-on-Event Message-Aware Automotive Intrusion Detection System)

  • 이세영;최원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373-385
    • /
    • 2021
  • 운전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근 자동차에는 다수의 전자제어장치가 탑재되고 있다. 전자제어장치들은 차량의 상태를 서로 공유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CAN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현대의 자동차는 안전성 및 편의성과 관련된 최첨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이버보안 위협에 대한 Attack Surface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자동차 해킹의 경우에는 운전자 생명과 직접적 영향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차 보안 기술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차량용 침입탐지 기술은 자동차 해킹에 대응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는 가장 대표적인 자동차 보안 기술 중 하나지만, 현재 제품화 가능한 수준의 차량용 침입 탐지 기술은 모두 주기 메시지에 대한 침입 탐지 여부만 분석이 가능하고 주기 메시지와 이벤트 메시지가 혼합된 형태인 PE (Periodic-and-on-Event) 메시지에 대해서는 분석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PE 메시지를 이용하여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에 침입하는 공격자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탐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제 차량에서 제안하는 기법을 우리의 공격자 모델에서 평가한 결과 0%의 FPR과 FNR을 보여준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CoAP을 이용한 디바이스 해킹시나리오 및 대응방안 (Device Hacking Scenario and Countermeasures with COAP i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 최승현;서초롱;이근호;전유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89-291
    • /
    • 2016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사람-사람, 사람-사물, 사물-사물 각각을 연결하여 최대한의 시너지를 발휘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즉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자동차, 가전제품, 드론 등의 제품도 연결되어 통신하는 사물인터넷 시대가 도래 하고 있다. 머지않아 모든 기기가 연결되는 시대가 오면 물리적 보안 보다 논리적 보안이 중요해 질 것이다. 또한 사물인터넷 해킹은 정보보호라는 단위를 넘어 사람의 생명과 직결되는 해킹 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지능형 자동차의 사용자 인증에 대한 위협 및 대응 기법 (User Authentication Risk and Countermeasure in Intelligent Vehicles)

  • 김승환;이근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7-11
    • /
    • 2012
  • 지능형 자동차의 최종 목표는 사고 위험이 전혀 없는 무인 자동차이다. 지능형 자동차의 구현을 위해서는 무선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기술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통신 기술이 구현이 되었을 때를 가정하여 네트워크 침입 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자 인증 및 데이터 위 변조시 그에 따른 보안 취약점과 그에 따른 대응기법을 생체인식 알고리즘 통해 적용하고자 한다. 확실한 사용자 인증 기법과 데이터 전송 기술에 대한 암호화를 통해 더욱 더 안전한 대응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량간 보안 통신에서 융합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공격에 안전한 통신방법 검증 (Verification of a Communication Method Secure against Attacks Using Convergence Hash Functions in Inter-vehicular Secure Communication)

  • 이상준;배우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297-302
    • /
    • 2015
  • 자동차에 정보기술 도입비율이 높아짐에 따라서 최근 스마트 카, 커넥티드 카로 일컬어지기 시작했다. 스마트자동차 시스템이 적용되어 외부 네트워크에서 차량과 접속하게 되면서 통신보안 위협 또한 증가하고 있다. 차량에 다양한 보안 위협에 대한 모의시험 결과로 관련된 취약성이 사회적 이슈와 기사화 되고 있으며, 자동차 융합 보안통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 해킹이 일반적인 해킹보다 위험한 것은 운전자의 생명위협 및 사회적인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대 차량, 차 내부 통신 등에 안전한 통신을 위해 해시함수, 난수, 공개키, 타임스탬프 및 Password 등을 이용하여 융합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정형검증 도구인 Casper/FDR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제안한 프로토콜이 보안적으로 양호하게 동작되며 외부 공격자의 공격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CAN 버스 물리 계층에서 해킹된 노드의 대처 기법 (Counterattack Method against Hacked Node in CAN Bus Physical Layer)

  • 강태욱;이종배;이성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469-1472
    • /
    • 2019
  • 자동차에 사용하는 CAN 버스는 노드에 주소를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노드 중 하나가 해킹을 당하여 악의적인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여도 어느 노드가 해킹 당했는지 식별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러한 CAN 버스의 내부 공격은 자동차의 안전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CAN 버스의 물리 계층에서 신속하게 대처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CAN 버스 상에서 악의적인 데이터 프레임이 감지되면 침입 감지 시스템이 내부 공격 노드의 에러 카운터를 증가시켜서 버스에서 분리시킴으로서 악의적인 공격을 방어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을 탑재한 CAN 컨트롤러를 Verilog HDL을 이용하여 구현하였고, 이를 통해 제안한 기법이 CAN 버스의 악의적인 내부 공격을 방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차량용 스마트키 취약점 분석과 해킹공격 대응방안 (Vulnerability analysis of smart key for vehicle and countermeasure against hacking attack)

  • 김승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2-305
    • /
    • 2017
  • ICT 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자동차에도 신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차량용 스마트키도 ICT 신기술이 적용된 단말기이다. 따라서 차량용 스마트키에 대한 사이버 해킹공격이 가능하다. 스마트키에 대한 사이버 공격으로 차량제어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차량제어는 차량 탈취 및 차량 통제권의 위협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스마트키에 대한 취약점을 분석한다. 차량용 스마트키에 대한 사이버공격 사례를 분석한다. 그리고, 차량용 스마트키에 대한 실제 해킹공격을 실시하고, 대응방안을 제안한다. 대응방안을 강구한 차량용 스마트키에 대한 해킹공격을 실시하고, 사이버공격 보안에 대한 대응방안을 분석한다. 본 논문은 차량 탈취 예방과 안전한 국민생활에 기여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