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동차충돌사고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7초

타이어 펑크 차량의 주행 및 충돌후 거동 (Coasting and Post-impact Motion of a Vehicle With Tire Blowout)

  • 한인환;임상현;박종찬;최지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03-51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펑크 타이어 힘 시험 연구 결과들을 다양하게 수집하고 분석하여, 펑크(blow-out) 타이어 차량 동적 거동 해석을 위한 구름저항력(rolling resistance), 셀프 얼라이닝 토크(self aligning torque), 코너링 강성(cornering stiffness), 반경방향 강성(radial stiffness)과 같은 관련 계수들의 적정값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타이어 펑크 관련한 입력계수들을 자동차 사고 해석 상용 프로그램에서 설정하여 타이어 펑크 효과를 구현한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정상 차량들 간의 다양한 충돌 형태들과 속도 등을 참조하여, 펑크 차량의 충돌 유형들을 구성하고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여 충돌 특성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타이어 펑크 혹은 손상에 대한 고려는 보다 신뢰성 있는 자동차 사고 재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고령 운전자 측면충돌 사고 및 상해특성 (The Accident and Injury Characteristics of Elderly Drivers on Lateral Impact)

  • 홍승준;박원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04-113
    • /
    • 2010
  • Domestic insurance claims were statistically investigated to analyze the elderly driver's accident patterns and injury types in side impact crashes. Medical treatment records and accident vehicle damage photos have been surveyed for 5,419 cases. The results of our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thorax injury risk of the elderly drive group is 8.8 and 4.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young and middle age group respectively. Diagnosis showed that most thorax injuries were caused by rib fracture. The head injury risk of the elderly female driver group seem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younger female driver group, however, statistical test has not been conducted because of the lack of number of samples for elderly female accident.

저속 후면 충돌로 인한 편타성 상해에 관한 연구 (A Stucy on the Whiplash Injury due to the Low Speed Rear-end Collision)

  • 최형연;윤석배;김희성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1-330
    • /
    • 1997
  • 교통사고로 인하여 정형외과를 찾는 환자 중 60%정도가 경추부 상해 때문이나 이에 대한 보호장구개발은 미흡한 실정에 있다. 자동차 충돌사고시의 경추부 상해는 대 부분이 후면 충돌로부터 기인하며 특히 차체의 변형이 적은 저속충돌시에도 경추부의 연질 조직이 상하는 편차성 상해가 쉽게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편타성 상 해를 보다 근본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활차 실험과 그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 과를 소개하였다. 현재 진행 중인 본 연구를 통하여 아직까지 규명되지 않은 경추부 의 하중 경로와 상해기구를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인체공학적인 시트 설계에 필요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 PDF

첨단 운전자지원시스템의 교통안전 효과추정 방법론 (Methodology for Estimating Safety Benefits of Advanced Driver Assistant Systems)

  • 정은비;오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65-77
    • /
    • 2013
  • 최근 교통사고 및 교통사고로 인한 사상자수의 감소를 위해 기존의 자동차에 각종센서나 통신기술 등의 첨단 ICT기술을 융합한 첨단안전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첨단안전자동차 기술의 시장진입 및 관련 기술 도입을 위해서는 자동차에 도입되는 첨단안전 기술에 대한 효과 분석에 따른 도입 타당성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첨단안전자동차 기술 중 운전자지원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t System)을 대상으로 효과분석 방법론을 개발하고, 개발한 방법론을 차선이탈경고장치(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와 자동비상제동장치(AEBS: Automatic Emergency Braking System)에 적용한 사례분석을 통해 사고감소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차선이탈경고장치는 관련 사고유형(정면충돌, 도로외이탈, 공작물추돌, 전도전복)에 대해 약 10~14%의 사고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동비상제동장치는 추돌사고에 대하여 약 50%의 사고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첨단안전자동차 기술 개발에 따른 효과분석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운전자, 탑승자, 보행자를 위한 자동차 기술의 발전 및 기술도입 타당성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충돌 전후 차량 진행궤적 분석 (Analysis of vehicle progress before and after a collision using simulation)

  • 한창평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02-408
    • /
    • 2021
  • 기계 설계를 기반으로 제작한 자동차에 의한 사고 발생 시 차량 공학적인 분석은 심도 있게 조사하지 않고 조사자의 주관적인 경험 지식을 토대로 분석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실제 발생한 중앙선 침범 사고 자료를 토대로 캐드(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현장 상황을 도면화하고, 도면화 한 자료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PC-Crash)에 적용하여 250번의 충돌 상황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최종 정지 위치 및 최종 정지 자세와 부합하는 충돌 속도, 진행 자세, 조향 작동 여부 및 제동 여부 등의 상관 관계를 분석했다. 충돌 속도가 낮을수록 이탈각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속도가 높은 차량의 속도에 영향을 크게 받고 충돌 이후에는 유효 충돌 속도와 같이 속도가 낮은 차량은 높아지고, 속도가 높은 차량은 낮아진다. 본 연구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마이티가 중앙선을 넘은 자세로 오르막 좌커브 구간을 진행하다가 마주오던 포터를 인지하고 자기 진행 차로로 복귀하는 과정과 포터의 전면 좌측면이 충돌하여 포터가 우대각선 방향으로 밀려나 전면이 약 11시 방향을 향해 최종 정지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자동차 추돌사고 속도분석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Speed Analysis of the Rear-end Collision Accident)

  • 김대봉;윤대권;박정호;하성용;박제철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724-729
    • /
    • 2016
  • This case study carried out a rear-end collision accident analysis and physical simulation of an SUV and passenger car. The speed of the SUV by physical analysis is 71 ~ 87 km/h, while the speed of the passenger car is 6 ~ 22 km/h. Simulation results showed the optimal speed conditions for the SUV was 71 km/h, and 7 km/h for the passenger car. Simulations can be verified for the colli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accident reconstructions.

자동차의 안전 및 각국의 안전법규 (Saety of moter vehicle and regulations in the various nations)

  • 왕영남
    • 오토저널
    • /
    • 제5권1호
    • /
    • pp.1-8
    • /
    • 1983
  • 자동차의 대중화에 따른 자동차교통량의 증가는 교통사고의 증가를 가져 왔으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대책이 검토되어 왔다. 특히 미국, Europe제국, 일본 및 호주 등과 같은 자동차 선진 국에서는 자동차에 기인하는 안전, 배기, 굉음 등이 사회환경에 미치는 영향, 즉 자동차가 사회에 미치는 마이너스면을 가능한 한 줄이기 위해 일찍부터 자동차에 관한 각종법규가 제정, 정비 되어 왔다. 또한 근년의 석유위기로 인하여 에너지의 국가적인 절약을 목적으로, 자동차의 연료 경제성에 관한 법규도 제정되었다. 자동차의 기술개발 중에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연구 및 그 우선도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자동차의 안전기술은 매년 비약적으로 진보하여 사고회피성능, 충돌시의 탑승자보호성능, 화제대책등 각 분야에 걸쳐 많은 발전을 하여 왔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차체의 강도를 높이면 중량이 증가하여 연비가 나빠지게 되며, 또 배출gas가 악화된다. 즉 여러 요인이 상호간섭 하여 영향을 주게 되므로 법규의 내용을 지키 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비상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자동차가 인 간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자동차(특히 승용차)가 기술이나 지식, 경험에 있어서 그다지 숙 련되지 않은 사람들도 사용하는 대중상품화되어 각종의 법규제도 점점 강화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각국의 법규에 일치하면서 사회나 구입자의 요구에 부음하고 구내자동차의 수출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각국법규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이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자동차의 안전에 관한 개요 및 이에 관련된 각국의 법규를 개략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충돌의 정성적 추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ative Reasoning about Collision)

  • 김현경;명한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11호
    • /
    • pp.1324-1331
    • /
    • 1999
  • 물체의 공간에서의 운동을 다루는 공간 추론의 연구에서 충돌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충돌 이론과 추론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충돌 해석에 있어 관련된 물체의 공간적 속성과 운동방향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충돌로 인한 힘과 운동 방향의 전달을 계산하였다. 추론 과정에 있어서는 충돌이 갖는 특성인 불연속적인 변화에 대한 분석과 회전 운동으로 인한 변화의 분석이 소개되었다. 제안된 충돌 이론과 추론 기법은 구현되어 자동차 충돌 사고의 충돌에 적용되어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Abstract Understanding collision is important in spatial reasoning problems that study the motions of objects. This paper introduces qualitative collision theory and reasoning techniques. Force and motion transfers are computed by analyzing the interactions of the spatial properties and motions of the objects. This paper also presents inference techniques for handling discontinuous changes and angular changes by rotation. These theories and inference techniques are implemented and applied to real car-to-car collision accidents. The test results verify the reliabilities of our techniques.

충돌사고 재구성 해석을 위한 차량 블랙박스의 개발 (Development of an Automobile Black Box for Reconstruction Analysis of Collision Accidents)

  • 이원희;한인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205-214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design concepts, specifications and performances of a newly developed Black Box, the reconstruction analysis tool with the records, and results of validation tests. The Black Box can detect crash accidents automatically, and record the vehicle's motion and driver's maneuvers during a pre-defined tim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accident. The items of the Black Box included the acceleration, yaw-rate, vehicle speed, engine RPM, braking application, steering and several digital inputs for recording driver's maneuvers. To detect the accident-related-cras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crash signal, which are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normal driving. Therefore, analytical considerations should be taken in designing pre-filtering circuits and selecting appropriate parameters for identifying crash accidents. And, it is necessary to select proper combination of motion sensors and design proper pre-filtering circuits in order to describe the vehicle's motion. The analysis algorithms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which can perform accurate detection of crash accidents, simulating pre-crash trajectories, and calculating parameters for reconstruction analysis of crash accidents. The developed Black Box was installed on passenger cars and several types of validation tests were conducted. Through the tests, the accuracy of the recorded data and usefulness of the analysis tool for reconstruction have been 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