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녀진로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7초

과학 영재아 부모들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A Study on the Parents of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Emphasis on the Recogni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 민보경;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823-831
    • /
    • 2008
  • 본 연구는 과학 영재아 부모들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부모교육과 프로그램에 관해 영재아 부모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설문지 신뢰도 Chronbach ${\alpha}=0.93$)를 개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과학 영재아 부모들은 121명이었다. 과학 영재아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 영재아 부모들은 부모교육을 필요로 하지만 그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부모들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으로 영재의 진로 지도와 창의성 교육, 상담과 토론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자녀의 진로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 부모들이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더 주장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머니의 가정내 변혁적리더십이 청소년자녀의 심리적복지감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Famil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Adolescents)

  • 김경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5권4호
    • /
    • pp.149-16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famil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sample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liberal arts in Seoul. 40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March 11 through 18, 2010. Among them, 386 completed surveys were utilized as the data for the statistic analyses. SPSS were appli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children of mothers with leadership have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from families of mothers without leadership. This has been determin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 children according to their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family. Second, the adolescent group with mothers who s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managing the home have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n the group without such mothers. This was determined as a result of reviewing adolescent children'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vel in the famil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ording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well-being show positive relations by group. That is, adolescents living table lives are more positive about their future. Lastly, when compar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he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he famil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 has gained more credibility as stage ads. Based on the results, when mothers nurture children with a affection-based autonomy, children gain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leads to firm beliefs about constructive futures. Therefore, for successful and systematic career development, CEO moth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uld serve as its foundation.

  • PDF

부산지역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의 문화적응과 지원방안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Acculturation of School-aged Immigrant Adolescents and Policy Support in Busan)

  • 조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12-422
    • /
    • 2018
  • 다문화가족정책이 결혼이민자의 초기정착 지원에서 다문화가족자녀의 성장지원으로 확대되고 있다. 한국에서 태어난 국제결혼가정의 국내출생자녀에 비해 외국성장 배경을 가진 중도입국청소년은 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많이 겪는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이 한국 사회 적응 시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고 문화적응을 위한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중도입국청소년, 이민자 학부모, 학교 내 실무자 및 학교 밖 실무자를 포함하여 총 17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이 겪는 적응의 어려움과 지원방안을 도출하였다. 학령기 중도입국청소년은 문화 인종적 차이, 이름의 차이, 언어적 차이 및 나이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으며, 적응을 위해 한국어 교육, 교과 멘토링, 진로지도 및 학교 내 다문화이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주민 및 외국인주민에 대한 결핍 모형에 근거한 문화적 동화주의적 접근법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으며, 다양성 모형에 근거하여 중도입국 청소년의 문화적응 지원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였다.

사춘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의 부모교육 요구도에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이 미치는 영향력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Efficacy on Educational Need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Adolescent Children)

  • 임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02-21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교육 요구도에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이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결혼이주여성들의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사춘기 자녀를 둔 결혼이주여성 130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은 부모교육 요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육태도와 양육 효능감은 양의 상관관계(r=.248, p<.01)가 있었다. 양육태도에서 수용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는 양의 상관관계(r=.192, p<.05)가 있었고 과잉기대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사회성지도 교육요구도가 높아지고, 수용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성장발달에 대한 이해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이 낮을수록 사회성지도와 부모자신의 성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교육 요구도는 학습과 진로지도,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교육에 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자녀 교육에 효과적인 수용적 양육태도, 자율적 양육태도와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체계화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의 기회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을 통한 정보 행태에 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Young Adults' Information Behavior and Media Use: Focusing on the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 임여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455-490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마주하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이 그들의 일상 정보 행태, 특히 미디어 사용을 통한 정보 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3세에서 18세 사이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11명을 대상으로 정보요구기록지, 미디어 이용에 관한 설문조사, 두 차례에 걸친 심층 면담이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상 문제 상황과 미디어를 통한 정보 요구 해결의 양상을 다각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일상의 문제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의 주제는 학업, 여가, 외모, 자기개발, 생활, 진로 등이었으며, 특히 학업과 여가에 대한 정보 요구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에 참가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정보 요구의 해결을 위해 능동적으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미디어는 심리적 도피처이자 안식처였고, 자기표현을 위한 도구였으며, 지식과 생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해답의 책이자 여가 시간의 동반자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미디어 이용 관련 방안들은 추후 도서관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기획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한국사회 중년기 전업주부의 삶의 재평가 (Life Revaluation of Korean Housekeepers in Midlife)

  • 전경숙 ;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1호
    • /
    • pp.19-4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 중년기 전업주부들이 자신의 지나온 삶을 어떻게 재평가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막내자녀가 고등학생 이상인 14명의 전업주부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회고적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질문은 관계적 측면, 심리적 측면, 경제적 측면 등에 관한 것으로 결혼 전과 후를 나누어 이루어졌으며, 면담은 보통 1시간 30분에서 2시간 정도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참가자들의 회고적 삶의 이야기를 중심 의미단위로 환원함으로써 여러 개인이 경험한 현상의 의미를 기술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참고했다. 그 결과, 각 단계별로 중요한 회고 내용은 아동청소년기에는 가족환경, 자신의 성격과 가치관 형성, 그리고 진로선택이었다. 성인초기에는 배우자 선택과 결혼, 성인초기 부부생활 적응, 그리고 가족관계 등이었다. 성인중기에는 자녀, 경제·정서적 안정, 가족관계, 배우자 수용, 자신의 삶의 수용, 그리고 건강과 종교 등이었다. 참가자들의 삶의 유형을 전환적 사건, 현재 삶의 의미 그리고 인생사건의 누적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존의 발달이론 및 연구와 비교해서 논의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 성취동기, 또래관계, 부모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태도 분석-과학영재와 과학성적우수 일반학생들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Attitude Toward Science, Achievements Motivation, and the Peer Relationship, and Parents' Attitudes to Science Gifted Education)

  • 전복희;박경빈;전미란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443-4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교육원에 지원하여 교육을 받고 있는 과학영재 학생들과 지원하지 않은 과학성적우수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 또래집단척도, 성취동기, 부모의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태도 등을 조사하였고, 각 검사별로 두 집단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영재 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태도, 성취동기, 또래집단척도,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모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학성적우수 일반학생에서는 성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부모의 인식과 태도가 자녀의 과학에 대한 영재교육원 선택 및 진로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과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절실히 필요하며, 법적 제도적 장치 등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지역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진학만족도와 진로방향,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rollment Satisfaction, Career Directions, and Image of Dental Hygienists for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me Regions)

  • 문선정;구인영;최화영;가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64-575
    • /
    • 2015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진로방향에 대한 기준제시와 치과위생사의 바람직한 이미지 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대구 경북지역 소재 대학 치위생(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2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수행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응답이 불성실한 46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1,679부를 SPSS/Win18.0을 사용하여 최종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선택후회와 진학추천의 경우 1학년이 2, 3, 4학년보다 높았고, 전과의지는 3, 2, 4학년이 1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저학년일수록 진학만족도가 높았다. 희망진로는 모든 학년에서 치과위생사로의 취업이 높았고, 취업 희망경로는 1학년의 경우 교수추천, 2학년, 3학년, 4학년의 경우 공개채용이 높았다. 취업희망 지역은 대도시, 선택이유는 발전가능성이 높았다. 취업 희망기간은 모든 학년에서 결혼 전, 자녀성장 후 재취업이 높았고, 희망근무처는 1학년 대학병원치과, 2학년, 3학년, 4학년의 경우 치과병원이 높았다. 학년에 따른 치위생사 이미지 차이에서 태도의 경우 1, 2학년이 3학년보다 높았고, 신념은 1, 2학년이 3, 4학년보다 높았으며, 가치는 4학년이 1, 3, 2학년보다, 2, 3학년이 1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태도와 신념은 저학년일수록, 가치는 고학년일수록 높았다. 진학만족도 요인 중, 전과의지와 진학권유 요인이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은 직업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치과위생사의 바람직한 이미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며,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하여 치과위생사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학습경험 의미 (The Meaning for Marriage Migrant Women to have College Experience)

  • 백은숙;한상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79-199
    • /
    • 2017
  • 이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학습경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즉,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진학 동기와 진학 후 학교생활을 통한 학습경험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학습경험 이후의 삶에 대한 기대의미는 구조적으로 어떠한지를 탐색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거주기간이 10~18년차인 도농지역 결혼이주여성 6명을 연구의 질적 보증이 가능하도록 Miles & Huberman (1994)이 제시한 "의도적 표본 추출 전략"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추가면담 및 관찰과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전문대학 진학 동기는 자신의 꿈 실현, 당당한 부모상 찾기, 안정된 가정경제 추구, 전문 직업 갖기, 진로결정의 수단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이들의 진학 후 학습경험의 의미는 의사소통 능력증진, 가족관계에서의 자아상 확립,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감, 가족건강생활 증진, 인간관계증진, 배움을 통한 평생학습 인간이 됨으로 탐색되었다. 셋째, 미래의 삶과 관계 짓는 의미 구조로는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추구해 나가는 주체적 삶, 배움의 가치추구를 통한 한국인으로서의 당당함과 인간답게 사는 삶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숲을 활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이 다문화배경 학생들의 언어습득 향상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Using School Forests on Language Acquisition and Ego-resilience of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 장철순;신창섭;장병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33-340
    • /
    • 2019
  • 다문화 배경 학생들이 늘어남에 따라 이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들과 요인들을 활용하여 다문화 배경 학생들의 언어습득향상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청주시 ${\bigcirc}{\bigcirc}$동에 위치한 다문화예비학교 중학생 남녀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방과 후에 산림치유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실험기간은 2018년 4월12일부터 2018년 6월26일까지 매주 1회씩 12회기로 1시간 (60분)씩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은 숲에 존재하는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회복시키는 활동이다.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고 그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아탄력성은 긍정사고능력, 문제해결능력, 친밀행동능력, 감정조절능력, 자율행동능력 등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1). 언어능력향상은 기술통계로 알아본 결과 쓰기의 오류, 발음의 오류, 문장의 오류, 시제의 오류, 조사 접속사의 오류 모두에서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중도입국자녀들이나 다문화 배경 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언어습득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