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녀

Search Result 3,17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Wealth and Substitution Effect on the Demand for Children with Nonhomogeneous Production Function for the Quality of Children (비동차생산함수의 경우 자녀수요에 대한 소득 및 대체효과)

  • 김원년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3 no.2
    • /
    • pp.48-55
    • /
    • 1990
  • 월리스의 생산력-소득수준 결정모형에서 자녀에 대한 수요가 자녀의 수와 자녀교육의 질에 대하여 비동차함수 형태를 취할때 자녀수요에 미치는 현존가격의 변화에 따른 소득효과 및 대체효과를 대수적으로 유도하고 이 의미를 기하학적으로 확인해 보는데 본 글의 의의가 있다. 대수적으로 자녀수요(C)를 단순히 자녀의 수(N)와 자녀 교육(Q)의 곱으로 C=NQ와 같이 나타낸 월리스의 모형에서 이를 C=f(N,Q)와 같이 일반적인 함수 형태를 취할때에 소비자 이론의 기본적인 작용 극대화를 통하여 자녀수요를 도출하였다. 기하학적으로는 대수적으로 도출된 자녀수요에 대한 가치효과들을 자녀의 수와 자녀 교육의 질에 대한 상대적 현존 가치를 고려하여 자녀수요의 변화, 자녀수 및 자녀 교육의 질 사이에 관계를 도시하였다.

  • PDF

Effects of the Personal Space the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Adolescent Children and their Parents 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부모.청소년자녀간의 대인거리.심리적거리.의사소통이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서병숙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04-116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 자녀들이 가족의 응집성과 가족의 적응력을 어떻게 지각하 고 있는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한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와 청소년 자녀간의 대인거리, 심리적거리, 의사소통개방성은 부모의 연령, 자녀의 성별, 재학부별에 의하여 부모와 자녀관 계를 상당한 정도로 예측할 수 있다. 둘째 부모와 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은 자녀들이 지 각하는 가족의 응집성과 적응력에서 가장큰 영향력을 보인다 이는 청소년 자녀가 있는 가족 의 정서적 유대감과 변화대처능력은 부모와의 대화가 결정적으로 중요하고 자녀와의 갈등이 나 문제해결에 있어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가 결정적으로 중요하고 자녀와의 갈등이나 문제 해결에 있어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가 일차적인 기능을 하게 됨을 반영한다. 셋째 부모와 청 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 중에서도 특히 부와의 의사소통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변화의 시기인 청소년기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강조된다.

  • PDF

Stress Perception, Coping and Distress i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부모와 수험생 자녀의 스트레스인지, 대처 및 드스트레스)

  • 김경신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12-25
    • /
    • 1995
  • 본 연구는 수험생 자녀를 둔 가족의 정신, 신체적 건강이 크게 위협받고 있음을 중시하고, 부모와 수험생 자녀가 겪는 스트레스를 인지, 대처, 디스트레스의 각 측면으로 측정하고 관련 변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가족의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적절한 방안을 강구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과 그 부모 3인을 한쌍으로 360가족, 1080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녀의 학업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모, 부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모, 부간의 차이가 크지 않아 부, 모, 자녀의 순으로 대처능력이 높게 나타나 자녀는 높은 스트레스를 인지하면서도 적절한 대체방안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2) 부모자녀의 스트레스 상관도는 자녀의 경 우 스트레스 인지와 디스트레스간의 상관이 비교적 높고 부모의 경우는 스트레스 대처와 디스트레스간의 상관이 높다. 또한 부부간 스트레스는 상관이 높지만 부모 자녀간에는 상관이 높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 3) 자녀의 지원대학 수준모의 학력이나 가족의 소득부의 직업 수준등이 낮은 경우 부모나 수험생 자녀의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고 가족응집성, 자녀의 자아 정체감 학업성취욕,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와의 친밀성, 부모 자녀 갈등등은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변인이며 이러한 영향력은 모두 자신의 지각에 따라 반응한다.

  • PDF

Effects of Family Size o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in Korea (가족내 자녀수가 자녀에 대한 사교육 투자에 미치는 영향)

  • Kang, Changhui;Hyun, Bohu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5 no.1
    • /
    • pp.111-136
    • /
    • 2012
  • This paper investigates effects of family size on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using a data set drawn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To deal with endogeneity of family size, the paper employs an instrumental variable (IV) method in which the sex of the first-born of the family is used as an IV. The results suggest that quantity-quality trade-offs of children within a family function in a way that varies by the sex of the child. While the effect of an increase in family size on private turoring expenditures of a second-born daughter is negative, the effect for a second-born son is indeterminate. The result for daughters implies that high costs of raising a child are likely to explain low birth rates of Korea.

  • PDF

Sibling Size and Children's Educational Attainment (자녀 수와 자녀 교육수준의 대체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 Chun, Hyunbae;Chung, Yu-Su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2 no.2
    • /
    • pp.1-25
    • /
    • 2009
  • Using the 2006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sibling size on children's educational attainment. OLS estimation results show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ir educational attainment, which confirms the trade-off between child quantity and quality. However, estimation results using the first child's sex as an instrument for sibling size, show no evidence of a quantity-quality trade-off.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adverse effect of a larger sibling size on per-child investment in education can be mitigated by other factors such as peer effect.

  • PDF

Career Developmental Competency and Academic Outcomes according to Parent-Adolescent Contact Frequency (부모-자녀 간 대화 빈도 인식에 따른 진로개발역량, 학업적 특성 차이)

  • Yeon, Eun Mo;Choi, Hyo-Si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3
    • /
    • pp.339-351
    • /
    • 202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ssify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contact frequency and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academic outcomes according to perceptional differences. Data of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2018) were us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utilized to explore the parents' and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contact frequency.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s contact frequency was classified into six group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seven groups in high school.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job understanding,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design and reparation) and academic outcomes (autonomou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classified groups related to contact frequency significantly differed. In general, groups who reported a higher perception of contact frequency by children than parents showed higher vocational identity and better academic outcomes. This result implies that perceived contact frequenc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n differ by school level, and its differences can be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academic outcomes of adolescents.

Effects of Family Type on the Extent and Determinants of Fathers' Child Care Time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과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 허경옥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3 no.2
    • /
    • pp.57-71
    • /
    • 1995
  •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과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기혼여성의 취업증가로 인해 아버지의 적극적인 자녀양육 참여가 요구되어 왔다. 또한 이 같은 요구는 부의 참여가 기혼여성, 자녀의 성장발달등 가정천체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다는 인식과 함께, 부의 자녀양육시간 연구는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로 동시에 연구대상으로 대두되었다. 이같은 변화속에서, 실제 가정생활에서 부의 자녀양육시간은 개개인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냄에 따라, 어떤 개인적, 가정적, 또는 사회인구적 요인들이 양육시간량을 결정하는가를 연구하는 것은 그 의미가 있다. 현대가정의 또 하나의 커다란 변화는 미혼부 증가, 이혼증가로 인한 편부의 증가, 재혼 증가로 인한 계부의 증가 등 가족형태의 다양화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변화를 반영하여, 각기 다른 가정형태에서의 부의 자녀양육 참여시간을 비료 분석하였다, 또한 부의 자녀양육 시간량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노동시장의 근로시간, 개별적 인적 자원, 역할관념, 가정환경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미국 위스콘신대학내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인구 및 생태센터 (Center for Demography and Ecology)에서 1988년에 실시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로써, "전국 가족 및 공도거주체 조사" (National Survey of Family and Households)에서 추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족형태가 부의 자녀양육시간에 미치는 효과는 큰 것으로 검증 되었다. 각 그룹간 비교에서 편부가정의 부는 여타의 가정내의 부보다 많은 시간을 자녀와 놀아주고, 야외활동 및 과제물 도와주기 등에 할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계부는 여타의 가정내의 부보다 더욱 적은 시간을 자녀와 함께 하였다. 부의 자녀양육시간 결정요인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직장에서의 노동 시간, 교육수준, 자녀 연령이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부의 직장 근로시간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양육 참여시간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린자녀를 가진 아버지일수록 자녀와 함께하는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arental Time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in Single Mother Families -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Adolescent's Self-Esteem - (한부모가족 여성의 자녀와의 시간과 자녀의 삶 만족에 관한 연구: 부모감독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Huh, Soo Yeon
    •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 /
    • no.59
    • /
    • pp.5-26
    • /
    • 201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child's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time and child's life satisfaction in single mother families. For this purpose, MOGE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Research data of adolescents in 2015' was used and 117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aged 9 to 18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veals that adolescent's self-esteem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time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ough parental time and parental monitoring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ith these results, policy suggestions to support single mothers' parental time were proposed.

The Effect of Single Mother's Economic Stres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of Perceived by Parents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여성 한부모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모-자녀 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 Choi, Youn-J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7
    • /
    • pp.409-416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ingle mother's economic stress i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perceived by parents and whether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mediate in the proces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path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as follows: First, single mother's economic stress has negative effects on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It was proved that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exerted as mediating variables. Therefore, existent mother-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ve full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ress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e implications to improve social competence of single mothers' children were discussed.

The Effects of the Single Parents' Spending Family Time and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on Their School-aged Children (한부모와 자녀가 함께 보내는 시간 및 여가활동이 학령기 자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Choi, Mi Suk;Lim, Hyo 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3
    • /
    • pp.606-616
    • /
    • 2022
  • This study explored the degree of change in children perceived by single parents and examined the effect of single parents' spending family time and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on their school-aged childre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to analyze data of 1,162 people who responded to the single parent survey collected by the Korea Women's Policy Research Institute in 2018. Results showed that single parents' spending family time and participation of leisure activities influenced positive change on their school-aged childre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support single parents' parenting environment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