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ental Time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in Single Mother Families -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Adolescent's Self-Esteem -

한부모가족 여성의 자녀와의 시간과 자녀의 삶 만족에 관한 연구: 부모감독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허수연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
  • Received : 2017.09.06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monitoring and child's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time and child's life satisfaction in single mother families. For this purpose, MOGE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s 'Research data of adolescents in 2015' was used and 117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aged 9 to 18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veals that adolescent's self-esteem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time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though parental time and parental monitoring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ith these results, policy suggestions to support single mothers' parental time were proposed.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 여성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부모감독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녀의 삶 만족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활용한 자료는 여성가족부의 2014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이며 이 가운데 9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자녀로 구성된 한부모가족 117사례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첫째, 한부모가족 여성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부모감독 수준은 높아졌으나 부모감독은 자녀의 삶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한부모가족 여성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높아졌으며 자아존중감은 자녀의 삶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가족 여성이 자녀와 보내는 시간은 자녀의 삶 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부모가족에 대한 지원에 있어 한부모가족의 양육자가 자녀와 함께 보내는 시간 확보의 중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