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 주도적 교육

검색결과 901건 처리시간 0.03초

사이버 교육 시스템에서의 개별학습을 위한 적응적 탐색 지원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Adaptive Navigation Support Technology for Individualized Cyber Learning System)

  • 박종선;김기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85-9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 시스템에서 학습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는 코스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학습자 특성 분석 및 프로파일 관리 소프트웨어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학습자의 특성요인으로서는 개인신상정보, 학습성취도 정보, 학습 특성 및 수행성과 포트폴리오 정보 등이며 이를 학습자 프로파일 관리 DB에서 학습자 특성에 대한 정교한 분석을 기반으로 관리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구조화 소프트웨어 모듈을 구성하였으며 이는 High level & Low level 구조화 기법을 활용하고, 학습 주제와 세부 학습과제로 계열화하여 학습내용을 정교하게 구성할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적응적 탐색지원과 규칙기반 기법을 활용한 조언 알고리듬 모듈을 구현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인터넷 환경에서 교육용컨텐츠를 다양한 매체로 학습할 때 학습자 개개인의 개별학습을 위주로 한 자기주도학습을 구현하는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과학개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Lessons Using Creative Activities on Scientific Concepts and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 이용섭;김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99-408
    • /
    • 2015
  •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effects of a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program to scientific concepts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This study has been aimed at 2 class 40 students of 4th grade in D metropolitan city A elementary school in 2015, one class 20 students are the research group to apply Scientific research program us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other class 20 students were comparison groups to apply general science classes. The related class section of this study is 4th grade 2 semester of science 4 chapters, 'The Earth and the moon' This section is in fourth grad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revision in 2009 is a Sections to learn for the first time about astronomical area. Target research group in club activities as part of the creative activities implemented using scientific inquiry and analyzed the results. In addition, in order to better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as well as applied research about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classes in other subjects is required. The ongoing research is needed to classe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n several subject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 Creative experiential learning is only effective when it is done consistently, it is worth studying for long periods of time.

정보이용 능력 기준과 정보처리 학습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and the Use of Information Processing Models for Student Learning)

  • 유소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51-269
    • /
    • 2004
  • 이 논문은 정보이용교육을 위해 정보처리학습모형을 사용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정보처리학습모형은 심리적 도구로서 적절히 사용하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자율적 학습, 창의성 함양, 학력제고를 도모할 수 있고 학생들의 정보이용능력을 미국학교도서관 협회와 교육공학회에서 제정한 정보이용능력기준에 미치도록 훈련하는 것이 쉽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정보처리학습모형을 사용할 때 사용하는 정보기술내역과 정보이용능력기준을 대비시킴으로서 규명하고 있다.

  • PDF

국내 대학생에게 적용한 플립러닝의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 자기주도학습, 학습동기, 효능감,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flipped learn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 김신향;임종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15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effects applied to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random effect model was applied to 21 papers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 a meta regression analysis and meta ANOVA were performed. Publication bias was verified through a funnel plot, and then an Egger's regression test was conducted. Results: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69 (95% CI: .51-.87), showing a median effect siz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outcome variables were in the order of learning motivation (Hedges' g=.83), self-directed learning (Hedges' g=.78), learning achievement (Hedges' g=.66), and efficacy (Hedges' g=.50),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Flipped learning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efficacy, and learning achievement amng university students. It is suggestd that this method be actively applied in university education.

정보이용능력교육과 학교수업방법에 관한 연구 : 정보조직력 향상을 위한 정보처리 학습모형의 사용을 중심으로 (Enhancement of Information Power and Remodeling of Classroom Teaching : for Use of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Focusing on Organization of Information)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47-261
    • /
    • 2004
  • 우리나라 중등교육에서 크게 대두되는 사교육비 증가, 교육의 질 저하, 교실붕괴와 같은 문제를 보도한 신문기사와 이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을 검토, 종합한 결과 문제는 평준화자체라기보다 평준화로 달라진 교육상황에 합당하게 교육방법을 바꾸지 않는데서 결과한 표면의 현상으로 분석되었다. 평준화로 인해 두드러지게 달라진 상황이란 평준화 이전에 비하여 학력수준이 천차만별인 학생들을 한 교실에서 가르치게 된 점이다. 본 연구는 수업방법을 정보처리학습모형과 같이 학생을 개별로 대응하도록 짜여졌으면서 사고력 창의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학습모형을 사용하여 집단적 강의식 교육방법을 탈피할 것을 촉구하고, 6 단계정보처리 학습모형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어려움이 많은 정보조직 즉 종합(Synthesis)의 단계를 원리와 방법의 제시로 설파하여 교과담당교사나 사서교사들이 수업에서 참고하도록 하였다.

다수의 학습도우미 시범.실습법이 학생의 과제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n How Much Multiple Teaching Assistants affect Students' Study Results and Self-Efficacy)

  • 김복순;김병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29-134
    • /
    • 2010
  • 현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컴퓨터교육에서는 실기 위주의 수업방식과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 수업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학습도우미를 활용한 시범-실습 교수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 학습 단점 중 하나인 학생들의 개개인의 다양한 능력차이로 인해 교사의 시연 속도에 맞추어 따라가기 힘든 학생들의 개별 지도 확대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3개 학반을 선정하여 교사주도의 시범 실습으로 수업 한 집단, 한명의 학습도우미 활용한 시범 실습으로 수업 한 집단, 그리고 다수의 학습도우미를 활용한 시범 실습으로 수업 한 집단으로 구분하여 세 집단간의 과제수행능력 및 자기효능감, 컴퓨터 학습에 대한 호응도 및 흥미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학습도우미를 활용한 시범 실습 수업 집단이 과제수행능력,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습도우미 활용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호응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극영화로 배우는 영어> : 문학과 인성을 접목한 융·복합 교양영어 수업 사례 ( : A Case Study of English Class as Liberal Education, Converged on Literature and Theatrical Performances for Cultivating Humanities)

  • 최정미;이호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36-545
    • /
    • 2016
  • 본 연구는 문학과 연극, 인성교육을 융 복합시킨 교양교과목 <연극영화로 배우는 영어> 수업 사례이다. 교양교육의 목표가 대체로 '보편적 진리 탐구를 통한 지성인 양성'에 둔 교육 현장에 '실용적 가치에 기반을 둔 전문직업인 양성'이라는 새로운 과제가 도입되면서 융 복합 교육 방안에 대한 관심이 확장되었다. 이 교과목은 도구로서의 기술 훈련에 초점을 맞춘 영어 회화나 공인시험에서 고득점을 획득하기 위한, 이른바 취업 역량 강화 교과에 지나치게 치중하는 상황에서, 교양영어 교육에서 영어로 된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논리적 사고와 인식의 폭을 넓히는 훈련이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따라 두 가지 목표를 아우르고자 구상되었다. 학생들의 지성과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문학과 짧은 연극 대본을 선정하여 구어체 대사를 암기하며 자연스럽게 말하기를 익히고, 작품 분석과 이해를 통해 문학과 연극에 관한 지식을 함께 숙지할 수 있도록 하여 영어 학습에 폭넓은 지식을 더하였다. 또한, 조별 연극 공연을 통하여 책임감, 협동, 화합, 배려심의 중요성을 스스로 체험하게 하여 인성 함양에도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융 복합 수업은 교수와 학생이 소통할 수 있는 양방향 수업을 실행하면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참여를 이끌어 도구로서의 영어뿐 아니라 문학과 인성 함양에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 학습몰입, 학업성취도와 학과적응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 Efficacy, Learning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Department adjustment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최규일;이다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99-30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학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 변인으로 진로 결정 효능감, 학습몰입, 자기 주도 학습 능력, 메타인지, 성적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참여의사를 밝힌 200명의 학생들이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설문지 181부를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진로 결정 효능감, 학습몰입, 성적 세 가지 요인이 학과적응, 전공만족도, 전공확신도, 전공애착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 결정 효능감, 성적 두 가지 요인이 전공비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학업성취도 향상 및 학습몰입이 일어날 수 있는 학습법, 교육환경과 같은 지원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 결정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진로 및 취업 관련 교육적 지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중고등학교 학생의 오개념 지도 방안 활성화를 위한 PBL 적용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PBL Application for Improving Teaching Method for Teaching Misconception of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in Teacher Education)

  • 이동명;고호경;장윤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69-88
    • /
    • 2010
  • 본 고는 예비교사 교육에서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을 바로잡을 수 있는 지도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이에 따라 먼저 선행 연구와 문헌 검토를 통하여 학생들의 오개념들을 영역별로 파악하고 예비교사들에게 이를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데 있어 PBL에 따라 예비교사들은 지도방안을 구안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중고등학교학생들의 수학적 오개념을 이해하고 오개념을 바로잡을 수 있는 수학적 개념을 파악해 나감과 동시에 다양한 수학교육 이론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PBL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경험 뿐만 아니라 협동학습 방법과 그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문제 중심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탐색: 중학교 1학년 과학 자유탐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An Investigation into Students' Percep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Open-Inquiry Program)

  • 윤회정;김경원;우애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20-73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문제 중심 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전략의 자기 주도적인 수업 방식과 교육적 효과가 2007 개정 교육 과정에 도입된 자유 탐구의 목적과 부합한다는 측면에서 PBL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한 학기 동안 경기도에 있는 두 개의 중학교 1학년 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에너지를 주제로 PBL 문제를 개발하였고, ‘‘문제 이해하기’, ‘탐색하기’, ‘문제 해결하기’, ‘발표 및 평가하기’의 4단계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문제 해결 계획표 작성하기’, ‘토의하기’, ‘자료 조사하기’, ‘보고서 작성하기’의 활동을 수행하였다. 자유 탐구 수업 시작전에 가설생성능력 검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시행하였고, 수업이 모두 끝난 후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PBL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학생의 40.6%가 PBL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으며 특히, 학생들은 ‘문제 해결 계획표 작성’이 유용했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학생들은 ‘자료 조사’와 ‘보고서 작성’이 어려웠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PBL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PBL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PBL 수업에 대한 인식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p<.01).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가 PBL 수업을 자유탐구에 적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안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