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효능감증진 금연프로그램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범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한국 대학생의 금연행위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moking Cessat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Transtheoretical Model in Korean College Students)

  • Paek, Kyung-Shin;Riley, Tracy A.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27-39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금연행위 변화단계를 설명하는데 있어 범이론적 모델 구성요소들의 기여정도를 조사하고 범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대학생의 금연행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일반교양 과목을 수강하는 334명의 대학생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을 통해 범이론적 모델의 구성요소인 금연행위 변화단계, 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 및 변화과정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금연행위 변화 5단계에 따라 자기효능감, 의사결정균형 및 변화과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은 금연행위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금연 유도를 높이기 위해 범이론적 모델를 적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확인하였고 금연행위 변화단계를 고려한 개별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대학생의 금연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남자 흡연 대학생의 금연 자기효능감,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니코틴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 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Nicotine Dependency in the College Male Smoker)

  • 이지은;이정화;홍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249-258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 흡연 대학생의 금연 자기효능감, 우울 및 사회적지지가 니코틴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북지역 2개 대학교 남학생 149명 대상으로 2016년 9월 7일~18까지 설문조사 하였고, SPSS 22.0을 사용해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남자 흡연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및 흡연관련 특성 중 학년 및 전공계열에 따라 니코틴 의존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니코틴 의존도는 금연 자기효능감(r=-.54, p<.001), 사회적지지(r=-.26,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우울(r=.33,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니코틴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금연 자기효능감(${\beta}=-.48$, p<.001), 우울(${\beta}=.17$ p=.027)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니코틴 의존도에 대한 설명력은 34%이었다. 결론적으로, 남자 흡연 대학생을 위한 금연중재프로그램 적용 시 금연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흡연 중학생에 대한 자기효능감증진 금연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 이지현;강은실;이명화;이영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716-73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a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is program was redesigned on the basis of Shin Sung Rye( 1997)' s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for this study. The design of this paper was quasi-experimental. 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time series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3 smoker adolescents in D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Busa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ypothesis 1 was accepted: The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1 week (expected efficacy t=2.20, p<.05. expected outcomes t=-2.58. p<.05) 4 weeks after education (expected efficacy t=- .19. p<.001, expected outcomes t=-2.586. p<.05). 2) The Hypothesis 2 was accepted: The amount of smok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reduc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1 week (t=2.05, p<.05) and after 4 weeks (t=2.03. p<.05). 3) The Hypothesis 3 was accepted: The positive urine cotinin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l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1 week after education($x^2$=8.57. p<.01) after 4 weeks ($x^2$=22.49. p<.001). In conclusion. a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 effective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then it will be valuable for stopping the smoking among the adolescents.

  • PDF

자기효능증진 금연프로그램이 청소년 흡연자의 흡연량, 호기 일산화탄소, 소변 내 코티닌 수치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Smoking, CO, Urine Cotinine Level and Self-Efficacy for Adolescent Smokers)

  • 최은영;정성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103-11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of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 on the amount of smoking, carbon monoxide level, urine cotinine level and the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of adolescent smokers. Methods: The subjects composed of 24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for the control group who were smoking adolescents at the Middle School in G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October 13 to November 18, 2010.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is program was composed on the basis of Shin (1997)'s Self-Efficacy Promoting Program. The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2 hours per week, and lasted for 6 weeks o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had a general smoking program. Data was analyzed using SPSS/WIN 14.0 program. T-test was used to analyze outcome measures. Results: The amount of smoking, CO level, urine cotinine level, and self efficac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 Therefore, self-efficacy promotion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adolescent smokers can be recommended for smoking cessation of adolescents.

건강믿음모형을 이용한 금연성공자의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금연클리닉 등록자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Relapse to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 김희숙;배상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2호
    • /
    • pp.87-100
    • /
    • 2011
  • 이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장기적인 금연 지속 여부와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8년 1월부터 2009년 2월까지 C시 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920명 중 조사에 응한 남성 159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2010년 9월 20일부터 10월 20일까지 실시된 우편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에 포함된 변수는 응답자들의 흡연상태, 인구사회학적 특성, 금연클리닉 등록 당시의 흡연관련 특성,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제공받은 서비스, 건강행태, 건강믿음모형의 구성 변수 등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6개월 금연성공자 중 지속적 금연성공자는 57.2%, 중간 흡연자는 17.0%, 재흡연자는 25.8%였다. 재흡연자들의 재흡연 이유는 스트레스가 쌓여서 76.2%, 본인의 의지가 약해서 16.7%, 주위의 유혹에 의해서 7.1%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과거의 흡연관련 특성, 제공받은 금연상담서비스, 건강행태 요인 등은 6개월 금연 성공자의 1년 후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건강믿음모형의 구성요소 중 (1) 흡연으로 인한 질병의 발생 가능성, (2) 흡연으로 야기되는 질환의 심각성, (3) 금연의 건강증진에 대한 도움,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이 단변량분석에서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열 로짓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 중 (4) 금연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사회생활에 대한 장애정도, (5) 자기효능감만이 재흡연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를 통해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통하여 6개월 금연에 성공한 남성들 중 상당수가 재흡연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흡연자들은 다시 담배를 피우게 된 이유를 스트레스의 증가나 자신의 의지부족 때문이라고 하였으며, 재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금연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수나, 과거의 금연습관보다는 심리학적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과 금연과 관련된 인지된 장애임도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재흡연 위험이 높은 사람을 선별하여 맞춤식 관리를 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금연 클리닉 등록자를 위한 스트레스 해소나 자기효능감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일개 중소도시의 금연클리닉 등록자 중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우편조사로 인한 낮은 응답률, 조사 시기에 따른 회상 오차, 금단 증상, 행동계기(cue to action), 금연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같은 변수가 누락되는 등 연구방법론 상에 제한이 있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자아존중감 및 금연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흡연 고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elf-esteem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iency Improvement Program on Smoking High School Students)

  • 김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1-130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 program to improve self-esteem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iency on smoking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smoking cessation self-efficiency, amount of smoking, cotinine in urine, and carbon monoxide while exhalation.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 quasi-experimental pretest and posttest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methodological comparison study. The subjects were 45 smoking high school students (Exp.=22, Cont.=23) in U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9 to December 7, 2010,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by frequency, Mann-Whitney test,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Wil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After the treatment, those belong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elf-esteem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and also showed decreased amount of smoking, cotinine in urine, and carbon monoxide while exhal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self-esteem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and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and in diminishing the amount of smoking, cotinine in urine and carbon monoxide while exhalation. Therefore, this program is recommended as a smoking cessation strategy for smoking adolescents.

금연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이 흡연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on Smoking Patients after Acute Coronary Syndrome)

  • 윤경순;조숙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o improve on smoking patients' after acute coronary syndrome (ACS) smoking cessation rate, smoking cessation related self-efficacy, carbone monoxide (CO), nicotine dependence, and pain sense.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0 ACS patients: experimental group (30), control group (30), who receive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The study lasted from Aug 16, 2016 to Jan 13, 2017. Smoking cessation rate, smoking cessation related self-efficacy, CO, nicotine dependence, and pain sense were measur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CO monitor Results: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this program revealed the experimental group to have a significant increase in smoking cessation rate, smoking cessation related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CO, nicotine dependence and pain sense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is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is effective for hospitalized patients after ACS.

간접흡연 노출에 대한 비흡연 대학생의 주장행위에 관한 연구 -건강신념모형과 ASE model 적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sertive Behavior Among Non-smoking College Students Under Secondhand Smoke Exposure)

  • 김명수;김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187-5195
    • /
    • 2012
  • 본 연구는 비흡연 대학생이 간접흡연에 노출되었을 때 금연을 주장하는 행위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B광역시 2011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간 일개 대학의 비흡연 대학생 246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다중 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비흡연 대학생의 간접흡연 노출시 금연을 주장하는 행위와 관련된 요인은 남학생인 경우(OR 3.173, 95% CI 1.676-6.005), 가족 내 흡연자가 있는 경우(OR 1.679, 95% CI 1.056-2.983), 주장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이 높은 경우(OR 2.821, 95% CI 1.044-7.623), 주장행위에 대한 사회적 영향이 큰 경우(OR 3.753, 95% CI 1.845-7.634), 주장행위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높은 경우(OR 4.140, 95% CI 2.159-7.941)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성인 초기의 대학생들의 간접흡연 노출 시 금연에 대한 주장행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주장행위의 유익성과 사회적 영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가 필요하다.

근로자의 건강증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참여적 실행연구와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f The Health Promotion for Worker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Research)

  • 황원주;하지선;조현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59-466
    • /
    • 2018
  • 본 연구는 사업장과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진 PAR, CBPR을 중심으로 국내 외 문헌을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검토된 10개 논문의 연구 참여자는 보건전문가, 지역사회 네트워크, 근로자, 대학 연구자가 포함된 연구가 80%였고, 적용된 실행연구 기반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안전 건강관리인식, 금연, 당뇨관리, 신체활동, 자기효능감 증진, 심혈관 질환, 근골격계 질환, 정신 건강 등 다양했다.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공동 작업을 통해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런 과정을 통하여 지역사회 차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협력하며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했을 때 지속가능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AR, CBPR은 개인과 조직, 지역사회, 제도적 차원의 범위를 조정하여 지속적인 변화를 추구할 것으로 사료되므로 다양한 사업장에서 근로자를 대상으로 활발히 수행되길 기대한다.

흡연청소년의 치아우식경험도 및 구강위생 관련요인 (The Factors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ral Hygiens Status in Smoking Adolescents)

  • 신선행;김명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97-506
    • /
    • 2009
  • 흡연 청소년의 흡연형태 요인과 구강질환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10대 청소년들의 구강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지역 소재하고 있는 S병원 건강교육원 5일 금연학교 프로그램에 참석한 일부 중 고등학교 학생 흡연자 156명(남자: 103명, 여자: 50명)과 흡연군과 성별, 연령을 고려하여 짝짓기 방식으로 선정한 비흡연군 176명(남자: 64, 여자: 11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구 사회학적 특성, 기초구강건강관리, 흡연형태요인, 자기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지식, 구강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지료를 수집하였다.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DMFT index, DT index, MT index, FT index, Plaque index, Calculus index를 사용하여 치아 및 구강위생상태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방문(p < 0.05), 구강건강 자각적도(p < 0.001), 구강건강관심도(p < 0.01)는 모두 흡연군보다 비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자기 효능감(p < 0.05),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증진행위(p < 0.001), 구강건강지식 모두 비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3. 우식치수(p < 0.001), 치태지수(p < 0.001), 치석지수(p < 0.001)는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흡연량이 적을수록 우식치수 (p < 0.05), 치태지수(p < 0.01), 치석지수(p < 0.001)가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우식치수와 자기효능감, 구강건강통제위, 구강건강증진행위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 < 0.01). 6. 흡연량과 치태지수(p < 0.05), 치석지수(p < 0.05)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7. 다변량 분석결과 흡연 청소년의 우식치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구강건강증진행위(p < 0.05), 치태지수(p < 0.01)이었다. 즉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을수록, 치태지수가 낮을수록 우식치수가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