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표현성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29초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표현이 타인관점수용과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 경기도의 한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the Accommodation of other person's Perspective for the Self Understanding, the Self Accommodation and the Self Communication -Center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in Gungji-do and Seoul-)

  • 박상환;김장이;방병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10-42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대학생들이 있는 그대로의 자기이해와 자기수용, 적절한 자기표현의 중요성 및 관계성을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타자에 대한 공감적인 관점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으로 타인관점수용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경향성을 알아보고, 자기이해와 자기수용, 자기표현에 대한 의미를 자기역량 향상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개념명료성이 높은 집단이 자기수용과 자기표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점은, 자기표현과 자기수용은 상호의존성을 갖고 타인관점수용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자기수용이 높은 경우는 자기표현이 낮을 때, 자기수용이 낮은 경우는 자기표현이 높을 때 타인관점수용이 더 높았다. 하지만 자기표현과 자기수용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향상에 영향을 주었고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자기수용이 되면 자기표현보다는 경청을 통한 있는 그대로 타인을 수용하게 되고, 의사소통역량을 높이고자 할 때는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자기수용과 함께 자기표현을 통하여 향상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 유현아;송원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61-168
    • /
    • 2018
  •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가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거주하고 있는 대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우울척도(BDI), 특질-상위 기분 척도(TMMS),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부적 상관을, 정서표현 양가성,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를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이 우울해 하는데 있어 정서인식 명확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성향의 대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상담 개입방법과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Covert Narcissism on the SNS Addiction Proneness in University Student: Mediating Effect of Anger Expression)

  • 정구철;문종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46-156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의 대학생 252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을 조사하였으며, 매개효과는 Preacher와 Hayes(2008)의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붓스트랩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분노표현 및 SNS중독경향성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일상생활장애, 몰입 및 내성, 부정정서의 회피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내현적 자기애와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현적 자기애가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SNS중독 경향성, 자기표현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Self assertiveness, Interpersonal problems and in College students)

  • 구혜자;이외선;홍민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80-18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 자기표현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도의 대학생 198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9월 10일부터 9월 1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피어슨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자기표현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148, p<.05),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34, p<.001), 자기표현과 대인관계문제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5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중독경향성이 높을수록 자기표현정도가 낮고 대인관계 문제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표현정도가 낮을수록 대인관계 문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SNS중독경향성을 낮추고 자기표현은 높이며 대인관계문제를 낮출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인터넷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회적자본 이론과 자기표현 이론을 중심으로

  • 한진우;유철우;최영찬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66-871
    • /
    • 2008
  • 본 연구는 사회적자본 이론(Social Capital Theory)과 자기표현 이론(Self Expression Theory)을 중심으로, 인터넷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전체 108명의 표본을 AMOS 7.0을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혁신성은 자기표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자기효능감은 사회적자본과 자기표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회적자본과 자기표현은 지식공유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

  • PDF

라이프스타일과 자기표현욕구가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정인;허철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7-191
    • /
    • 2022
  • 최근 기초화장품 트렌드로 클린 화장품, 비건 화장품 등이 브랜드별로 새롭게 출시되고 시장내 성장하고 있다. 한동안 화장품의 성분에 대한 관심과 영향이 커지면서 기능성화장품, 코스메슈티컬화장품, 더마화장품들이 신뢰를 얻고 인기가 있던 가운데, 효능 외의 요소를 소구하는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중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있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의 상관관계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ESG가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 속에 클린 화장품 또는 비건 화장품의 소비가 일종의 자기표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로써의 관계가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기초 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과 자기표현욕구가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소비가치를 매개변수로 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자기표현욕구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을 살펴하고자 한다. 독립변수는 라이프스타일의 하위변수인 외모관리 지향형, 질적건강추구형으로 구분하였고, 자기표현욕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대학생, 직장인, 주부등 20대부터 40대까지 연령층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할 예정이다. SPSS v22.0을 사용하여 3단계 매개모형을 기반으로 회기분석할 예정이다.

  • PDF

직장인의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 Ambivalence on Interpersonal Stres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 이현주;정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558-576
    • /
    • 2020
  • 본 연구는 직장인의 자기방어적/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사회적 지지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8-9월에 걸쳐 직장인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AMOS, Mplu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비롯하여 매개효과 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 모형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 모형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자기방어적 정서표현 양가성 모형과 관계관여적 정서표현 양가성 모형 모두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정서조절전략을 거쳐 가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직장인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수준을 높이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낮추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사회적 익명성이 커뮤니티 품질에 미치는 영향 : 표현욕구, 자기통제, 유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Anonymity on Community Quality : Mediated by Self Expression, Self Control, and Community Ties)

  • 신지명;김경규;박주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7-2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 간의 상호 교류가 중심인 온라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사회적 익명성이 커뮤니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자기표현욕구, 자기통제, 유대성의 개념을 알아보고 커뮤니티의 품질을 정보의 질, 토론의 질로 구분하여 이들이 사회적 익명성과 관계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설문을 통한 실증적 분석 결과, 사회적 익명성은 토론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보의 질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표현 욕구, 유대성, 자기통제는 사회적 익명성과 토론의 질 관계에서 긍정적인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사회적 익명성과 정보의 질간의 관계에서도 자기표현욕구와 유대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커뮤니티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온라인 커뮤니티의 방향성과 지침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y)

  • 이양순;정영숙;이기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63
    • /
    • 2006
  • 어머니의 정서환경은 유아에게 지속적이고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과 밀접한 상관이 있을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유능성간의 상호관계를 밝히고,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머니의 바람직한 정서환경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충주시의 유아교육기관 만4~6세 유아 361명과 그의 어머니 36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 유능성을 질문지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통계처리를 위해 SPSS/WIN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학력과 가계 수입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성별, 연령에 따라, 또래유능성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는데, 어머니가 긍정적인 정서표현, 약한-부정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능력의 하위변인인 자기결정과 행동억제는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강한-부정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정서성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성과 약한-부정 정서표현이 많을수록 유아의 또래유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조절 등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주는 어머니의 정서환경에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함께 약한-부정 정서표현의 영향을 밝혔으므로,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함께 부정적 정서표현이 바람직한 형태로 부모의 정서교육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유아의 자기표현능력 증진을 위한 오르프 음악활동의 적용 (A Study on Self-Expression Improvement of Children through Orff Activities)

  • 권세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1호
    • /
    • pp.55-80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D어린이집에서 만 4~5세 유아 3명을 대상으로 오르프 음악 활동을 통해 자기표현을 향상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 3회 총 14회기에 걸쳐 진행된 본 프로그램은 그룹 치료의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각 세션은 40분의 시간으로 이루어졌다. 사용된 기법으로는 오르프 음악활동의 매체를 활용한 말하기, 노래 부르기, 동작, 악기 연주 등의 활동을 시행하였으며 그 내용으로는 대상자들의 자기표현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체 이완, 불안감소, 자아 존중감 향상, 자기표현 기술훈련 등의 활동이 제공되었다. 유아의 자기표현성 향상을 살펴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에 기초하여 14회 활동의 사전과 사후에 자기표현 척도 검사를 실시하여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오르프 음악활동의 외부환경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유아들의 자유놀이를 비디오로 녹화하고 오르프 음악 활동 사전과 음악활동 중간, 음악활동 사후에 교사 3인이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르프 음악 활동 내의 상황에서 자기표현 언어 척도 점수를 확인한 결과 평균 6.7점 증가함으로 자기표현이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둘째, 활동 상황 내의 비언어적 자기표현 행동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셋째, 자유놀이 상황 내에 관찰된 자기표현 언어 척도 점수를 확인한 결과 평균 8점 증가함으로 자기표현이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넷째, 자유놀이 상황 내의 비언어적 자기표현 행동 관찰결과 얼굴표정, 신체접촉, 기타 영역에서 평균점수가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