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s to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the Accommodation of other person's Perspective for the Self Understanding, the Self Accommodation and the Self Communication -Center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in Gungji-do and Seoul-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표현이 타인관점수용과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 경기도의 한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3.07
  • Accepted : 2016.05.09
  • Published : 2016.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nds that the contemporary university students w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relationship of the Self-Expression as its appropriateness, the Self-Understanding and the Self-Accommodation as it is, and that it would conducive to enhance their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Accommodation to other's perspective on the base of these understanding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es of questioners and statistics as a methodology of this study, the tendency of the factors effective to the enhancement for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the Accommodation to other's perspective will be found out and the meaning of the Self-Expression, the Self-Accommodation and the Self-Understanding will be analyzed by the standpoint of the enhancement of the Self-Compet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a high distributed group for the Definitization of the Self-Conception is to have more the Self-Expression and the Self-Accommodation. As an enlightenment from this study, the Self-Expression and the Self-Accommodation shall have a mutual reliance and be influenced to the Accommodation of Other Person's Perspective. In case of the high distribution of the Self-Accommodation, where there is the both of the low distribution of the Self-Expression and the Self-Accommodation, the Accommodation of Other Person's Perspective is high. However, if there is the higher of the Self-Expression and the Self-Accommodation, there influences the better enhancement of the Communication-Capability, and there no effect to their mutual reliance. This study enlightens when it becomes at the stage of the Self-Accommodation, a respectable listening from others makes to accommodate other as it is and when it is wanted to raise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capability through the Self-Expression together with the Self-Accommod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대학생들이 있는 그대로의 자기이해와 자기수용, 적절한 자기표현의 중요성 및 관계성을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타자에 대한 공감적인 관점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으로 타인관점수용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경향성을 알아보고, 자기이해와 자기수용, 자기표현에 대한 의미를 자기역량 향상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개념명료성이 높은 집단이 자기수용과 자기표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점은, 자기표현과 자기수용은 상호의존성을 갖고 타인관점수용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자기수용이 높은 경우는 자기표현이 낮을 때, 자기수용이 낮은 경우는 자기표현이 높을 때 타인관점수용이 더 높았다. 하지만 자기표현과 자기수용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향상에 영향을 주었고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자기수용이 되면 자기표현보다는 경청을 통한 있는 그대로 타인을 수용하게 되고, 의사소통역량을 높이고자 할 때는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자기수용과 함께 자기표현을 통하여 향상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상환, 동.서철학의 현대적 전환, 도서출판 상, p.13, 2010.
  2. 박상환, 고쳐읽는 중국철학 이야기, 도서출판 상, p.6, 2011.
  3. 박상환, 고쳐읽는 중국철학 이야기, 도서출판 상, p.10, 2011.
  4. 박상환, 고쳐읽는 중국철학 이야기, 도서출판 상, p.24, 2011.
  5. 이장호, 상담심리학, 박영사, p.119, 1982.
  6. 이장호, 상담심리학, 박영사, p.120, 1982.
  7. 송명자, 발달심리학, 학지사, p.261, 1995.
  8. 최창섭, 자아 커뮤니케이션, 범우사, p.31, 1994.
  9. 이장호, 상담심리학, 박영사, p.107, 1982.
  10. 양돈규, 심리학사전, 박학사, p.306, 2013.
  11. 양돈규, 심리학사전, 박학사, p.308, 2013.
  12. 이희경, 김재환, "역할수용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Vol.13, No.1, p.17, 2001.
  13. [네이버 지식백과] Basic 고교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주)신원문화사, 2006.
  14. 이장호, 정남운, 조성호, 상담심리학의 기초, 학문사, p.122, 1999.
  15. 이승화, 한국형 감수성 훈련이 타인관점 수용, 대인관계태도 및 상담효과요인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0, 2000.
  16. 박상환, 동.서철학의 현대적 전환, 상출판사, p.92, 2010.
  17. 박상환, 동.서철학의 현대적 전환, 상출판사, p.34, 2013.
  18. http://www.doopedia.co.kr/
  19. 제러미 리프킨, 공감의 시대, 이경남 역, 민음사, p.201, 2010.
  20. 제러미 리프킨, 공감의 시대, 이경남 역, 민음사, p.206, 2010.
  21. 양돈규, 심리학사전, 박학사, p.285, 2013.
  22. 박상환, 고쳐읽는 중국철학 이야기, 도서출판 상, p.269, 2011.
  23. 박상환, 고쳐읽는 중국철학 이야기, 도서출판 상, p.230, 2011.
  24. 이지현, 집단상담에서 타인조망수용 훈련을 통한 자기의식, 타인관점수용, 대인관계 변화연구 : 감수성 훈련 집단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5. 오은정,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및 의사소통능력,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6. 이주연, 자기초점적 주의와 공감과의 관계: 자기수용과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7. 정재영, 초등학생의 내.외향 성격유형에 따라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자기수용, 자기표현,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8. 전혜옥, "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성인애착, 자기표현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pp.312-323, 2014.
  29. 박동영, 정경화, "간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1, pp.337-346, 2014.
  30. J. D. Campbell, P. D. Trapnell, S. J. Heine, I. M. Kartz, L. F. Lavallee, and D. R. Lehmann, "Self-concept clarity: Measurment personality correlates, and cultural bounda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pp.141-156, 1996. https://doi.org/10.1037/0022-3514.70.1.141
  31. A. Ellis, "Better, deeper, and more enduring brief therapy: the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 approach," New York: Brunner Mazel,Inc. 1996.
  32. 김사라형선,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아동의 정서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중재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33. 서은경, 수퍼바이지의 완벽주의와 개인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수치심, 자기수용, 인지대처의 매개효과, 이화여자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4. A. Mehrabian and N. Epstein, "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Vol.40, pp.525-543, 1972. https://doi.org/10.1111/j.1467-6494.1972.tb00078.x
  35. M. H. Davis, "The effects of dispositional empathy on emotional reactions and helping: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Vol.51, pp.167-184, 1983. https://doi.org/10.1111/j.1467-6494.1983.tb00860.x
  36. 신경일, 상담자교육을위한공감훈련프로그램의개발과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37. 변창진, 김성희, "주장훈련 프로그램. 학생지도연구,"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Vol.13, No.1, pp.51-85, 1980.
  38. 이석재, 장유경, 이남, 박엽, "생애능력측정도구 개발연구-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03.
  39. R. F. Rakos and H. E. Schroeder, Self-directed assertiveness training, New York: Bio Monitoring Applications(BMA),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