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35초

뇌 과학적 관점에서 본 심리운동 기전에 대한 문헌고찰 (A Review of Literature on the Mechanism of Psychomotorik from Brain Science Perspective)

  • 김성운;김우철;김한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591-60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운동과 뇌 기능간의 관계와 관련된 국내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심리운동의 기전을 뇌 과학적 관점에서 규명하여 아동 치료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 치료사 및 아동 부모들에게 뇌 생리적 관점에서 심리운동의 기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뇌 과학 관점에서 본 심리운동의 기전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들을 고찰하여 심리운동의 움직임을 통해 생애초기의 긍정적인 학습 환경과 다양한 신체경험은 뇌 생리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아동이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학습은 더욱더 증진되고, 건강한 정서조절 능력이 함양되어 뇌를 최적화 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심리운동의 기전을 뇌 과학적 접근을 통해 알아본 본 연구는 심리운동의 움직임과 뇌 기능간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했다고 판단된다. 특히 아동이 움직이면 움직일수록 학습은 더욱더 증진되고, 건강한 정서조절 능력이 함양되어 뇌를 최적화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교사, 치료사 및 부모를 이해시키는 것은 향후 우리 아이들을 잘 교육하기 위해 매우 필요한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물론 지금까지는 심리운동 기전과 뇌 기능에 관한 연구가 많이 부족했지만 본 연구를 통해 조금이나마 더 많은 사람들이 심리운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

정보활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 김승희;홍세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85
    • /
    • 2016
  • 본 연구는 정보활용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 방법으로 통합하여 제시하고자 45편의 연구에서 총 69개의 효과크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무선효과 모형을 적용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교육의 전체 효과크기 평균은 0.72(Hedges'g)로 Cohen의 해석기준에 의하면 중간 이상 크기를 보였다. 둘째, 정보활용 교육을 단독형태와 교과연계형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유형 모두 중간 이상 크기의 효과가 있으며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정보활용교육의 효과크기는 측정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변인별 효과크기는 정보활용능력, 인지적 특성,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정의적 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학년, 연구설계 유형, 측정도구 형태가 효과크기의 차이를 설명하는 조절변수로 나타났다. 메타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정보활용교육은 교육유형, 연구특성 등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이며 중간크기 이상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융복합 시대 준비를 위한 국내 간호대학 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연구(1996-2014) 동향 분석 (A literature Review (1996-2014) on Critical Thinking in Korean Nursing Education for the Era of Convergence)

  • 하나선;박소영;이미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341-349
    • /
    • 2015
  •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에 중요한 능력인 비판적 사고와 관련되어 국내 간호대학 교육에서 연구된 논문(1996-2014) 75편을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고찰 결과 2006년을 기점으로 비판적 사고 관련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관련 요인을 탐색하는 수준에서 경로모형 구축까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판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력, 연령, 교우관계, 학업성적, 임상실습 기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습방법 등이 확인되었으며, 비판적사고 성향이 높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 인지된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문제해결 능력, 임상수행능력, 감정조절, 의사소통 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는 단기간에 획득, 향상되기 어려우므로 지금까지 연구에서 확인된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원인 및 결과변수를 바탕으로 간호교육과정에서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과 기술적 문제해결력과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Gender and Multiple Intelligence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안광식;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4-82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개인의 다양한 지적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다중지능이 성별에 따라 기술적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성별에 따른 기술적 문제해결력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이상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833(남학생 423, 여학생 410)명이었고, 문용린(2001)과 1998년 CRESST에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자연친화지능, 음악지능, 대인관계지능, 자기성찰지능은 남학생과 여학생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기술적 문제해결력의 자기조절성향과 문제해결전략에서 남학생과 여학생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기조절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지능으로 남학생은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자기성찰지능, 자연친화지능, 여학생은 논리수학지능, 자기성찰지능, 자연친화지능, 언어지능으로 밝혀졌다. 넷째,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지능으로 남학생은 논리수학지능, 음악지능, 신체운동지능, 여학생은 언어지능과 음악지능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지식 개념도 작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중지능으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논리수학지능으로 밝혀졌다. 연구의 결과 나타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줄이기 위해,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다중지능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분야를 집중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고려한다면 다중지능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되는 학업성취도 차이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동의 성별 휴대전화 의존도와 사용 목적별 사용 수준, 개인적 및 대인관계 발달간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Cellular Phone Dependency, Its Use Levels of Usage Purposes, and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evelopment in Children by Gender)

  • 천희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6호
    • /
    • pp.83-96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ellular phone dependency and its use levels of usage purposes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also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evelopment due to cellular phone dependency in children based on gender. Using the first year data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KCYPS) 2010, this study analyzed 1,604 fourth graders who have their own cellular phones.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mean difference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cellular phone dependency. The girls' total phone use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and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in the phone use levels were found in the five phone usage purposes. In both boys and girls, the higher phone dependency groups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phone use in more than eight usage purposes, lower self-resilience and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and less positive peer and teacher relations. These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being concerned about and educating children in the fourth grade about the proper uses of cellular phones.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도, 우울의 변화 궤적 및 자기조절학습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mobile phone dependency, 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 홍예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341-35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dolescents'mobile phone dependency, 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To achieve these goa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3rd, 5th and 7th wave of the data on 4th grader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indicates that depression in 6th through 10th grade has increased. Seco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at 6th grad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Also,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mobile phone dependency at 10th grade. Moreover, both increased levels of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significantly influence adolescents'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t 10th grade. Based on a longitudinal data se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dolescents'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their mobile phone dependency. The findings also provide a comprehensive framework with implications for adolescents'development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depression and mobile phone dependency, which impact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영유아 응급처치 교육에서의 동영상 활용 사례기반학습의 효과 (The Influence of Case-Based Learning using video In Emergency care of infant and toddlers)

  • 조혜영;강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92-300
    • /
    • 2016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유아 응급처치에서 동영상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을 제공한 실험군과 전통적인 이론학습을 제공한 대조군과의 학습효과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동영상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J시에 위치한 D대학교에 재학하는 57명의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29명과 28명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로 실험군에게는 동영상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에게는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을 실시하였다. 동영상을 활용한 사례기반 학습은 1주일에 1회씩 3회를 실시하였으며 회당 180분이 소요되었다. 교육 전,후로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영유아 응급처치 지식과 술기자신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능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과 중재는 2014년 11월에서 12월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paired t-test, unpaired t-test, $x^2-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술기자신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1).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부영역 중 과제난이도 조절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29). 문제해결능력의 하부영역 중 접근회피양식(p=.001)과 문제해결자신감(p=.040)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영상을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은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학습법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사례기반학습이 개발되고 확대 적용되며, 학습효과에 대한 반복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증권회사 PB의 개별 특성이 영업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의 지원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in Effect of Private Banker's Characteristics on Sales Behavior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 in the Korean Securities Industry)

  • 신재영;하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55-368
    • /
    • 2013
  • 증권회사는 기업경영의 성과가 영업사원의 역량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인적판매 산업으로 높은 성과를 창출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우수 영업 인력이 중요하다. 그러나 그동안 증권회사에 근무하는 PB에 대한 개별특성이나 영업행동 그리고 영업성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PB의 개별특성이 영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 향후에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2013년 3월 전국의 국내 증권회사에 근무하는 PB 6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유의성이 있는 523명의 설문지에 대한 통계적 처리와 분석을 실시 한 결과, PB의 개별 특성인 일에 대한 태도, 성과지향성, 학습지향성, 고객지향성은 영업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의 지원은 양(+)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증권회사가 경영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PB의 개별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훈련과 자기개발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하며, 조직지원을 통해서 PB의 개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구축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의과대학생과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들의 차이: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중심으로 (Differences in Non-Cognitive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 박은아;천경희
    • 의학교육논단
    • /
    • 제16권1호
    • /
    • pp.32-4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non-cognitive factors, specificall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GO) and self-regulated learning (SRL), influencing the academic achievement (AC)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186 students, including 110 medical students and 76 nursing students, completed a survey, which addressed the factors of AGO and SR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AC of medical students was significantly more affected by mastery-approach AGO (p<0.05), seeking information (p<0.001), and rehearsing/memorizing SRL (p<0.01), while the AC of nursing students was affected by performance-approach AGO, self-efficacy (p<0.001), and time-management SRL.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AGO and SRL between the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hus,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was influenced by non-cognitive factor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by group. It is suggested that comparative studies with other student groups and a longitudinal study of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need to be conducted, and a personalized counseling and learning intervention focusing on non-cognitive factors should be provided to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부모의 방임과 아동의 학업성취의 관계 :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 박은정;이유리;이성훈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55-76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2,218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third wave sample of the 2012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For data analysis, the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was performed and the Sobel tes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diation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ub-component factors of achievement value, mastery goal orientation, behavioral control, academic time-management reveal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sense of community also showed to have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viewpoint to deeply observe the problem of parents' neglect in connection with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ense of community, and can be used as practical data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the benefit of improving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