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관리 프로그램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33초

보건진료소 중심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경험공유 자가관리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an Experiences Sharing Self-management Program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Patients in Primary Public Health Center)

  • 임정자;윤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31-341
    • /
    • 2020
  • 본 연구는 고혈압,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경험공유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대상자들의 생리적 지수, 지식, 자가관리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유사실험연구이다. 2018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G시 보건진료소에 등록된 고혈압, 당뇨병 환자 실험군 30명, 대조군 25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실험군은 12주간의 경험공유 자가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보건진료소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Ranked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험공유 자가관리 프로그램 적용 후 고혈압환자의 수축기혈압(F=14.56, p<.001), 이완기혈압((F=7.05, p=.012), 지식(F=14.30, p=.001), 자가관리 이행도(F=29.73, p<.001)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당뇨병 환자의 지식(F=7.92, p=.010), 자가관리 이행도(F=4.54, p=.044)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지역사회 고혈압 환자의 혈압감소와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지식향상, 자가관리 이행증진을 위해 경험공유를 활용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은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on diabetes self 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s in diabetic patients in community)

  • 박주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89-399
    • /
    • 2021
  • 본 연구는 당뇨병 자가관리교육이 포함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 W 보건진료소에 등록된 당뇨병 환자 중 수중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26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25명이다. 프로그램은 주 2회, 80분으로, 당뇨병 자가관리교육 30분과 50분의 수중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 후 공복혈당(p=.047), 당화혈색소(p<.001)는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당뇨병 자기효능감(p<.001), 당뇨병 자가간호행위(p<.001)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자가관리 교육을 포함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를 향상시켜 당뇨병 관리에 중요한 지표인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완화하는데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지역사회에서 당뇨병 유병율을 낮추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자가관리 교육이 포함된 수중운동 프로그램 상시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인 고혈압 환자 대상 전화상담 고혈압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elephone counseling hypertension self-management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 박혜정;장인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9-673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 중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복지관 간호사와 간호학생 자원봉사자를 통해 제공된 8주 전화상담 고혈압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 연구로, 2019년 12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사전, 사후 조사를 완료한 대조군 28명, 실험군 29명의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고혈압 관련 지식, 건강신념 중 심각성과 민감성, 삶의 질 EQ-VA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며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건강관리가 필수적인 장애인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관련 지식, 건강신념 및 삶의 질 등을 높이는 노력이 계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care Program on Exercise performance Self-Efficay, Self-care Knowledge, Self-car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Lumbar Discectomy)

  • 정진희;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91-902
    • /
    • 2021
  • 본 연구는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일개 척추전문병원 입원환자 중 미세현미경 요추간판제거술을 받은 환자로 실험군 26명, 대조군 2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χ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가간호프로그램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조기 관리지식(p=.001)과 일상생활관리지식점수(p=.005)가 더 높아 지지되었다. 또한 자가간호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는 대조군보다 보조기 관리이행도(p=.011), 일상생활 이행도(p=.007), 유해생활 습관관리 이행도(p=.011)가 높아 지지되었다. 따라서 자가간호프로그램은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수술 전후 적용을 통해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및 자가간호이행도를 향상시켜 보다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Professional mechanical toothcleaning (PMTC)을 활용한 예방진료 프로그램

  • 마득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7권5호
    • /
    • pp.252-259
    • /
    • 2009
  • 치면세균막관리는 치주병과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치면세균막관리는 자가관리와 전문가관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두가지를 병행하였을 때 특히 건강한 치주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자가관리는 1회성 교육으로는 불충분하며 체계적인 반복교육이 필요하다. 전문가관리는 대상자의 구강상태에 따라 일정한 주기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며 $3{\sim}6$개월 주기가 바람직하다. 반복교육과 계속관리과정으로 진행되는 자가 및 전문가 치면세균막 관리 중에 대상자의 구강병 위험요소에 따라 불소도포와 치면열구 전색 등이 제공될 수 있다.

  • PDF

당뇨병 노인의 자가관리 자신감과 행위와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조절효과: 우울군과 비우울군의 비교 (Paper Title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The Self-care Competence and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Diabetes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 이송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89-196
    • /
    • 2019
  • 본 연구는 우울한 노인과 우울하지 않은 노인 당뇨환자의 자가관리 자신감과 자가관리 행위와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조절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4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로서 D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및 t-test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최종 205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우울군과 우울군의 일반적 특성 및 당뇨병 자가관리 자신감, 자가관리 지식과 행위 및 인지기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자가관리 자신감과 자가관리 행위와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을 때 비우울군에서는 인지기능의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우울군에서는 인지기능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당뇨병 대상자가 자가간호 행위를 지속하도록 돕기 위하여 인지기능 저하 및 우울증 선별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개별적 접근을 시도하고, 인지기능의 향상 및 우울증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무릎 골관절염 대상자에게 적용한 자가관리 중재의 효과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on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in knee osteoarthritis)

  • 김영일;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946-1956
    • /
    • 2015
  • 이 연구는 골관절염 대상자에게 자가관리를 실시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Ovid Medline, CINAHL, PubMed, RISS, KISS 등을 통해, 주요어 '골관절염(osteoarthriti* OR OA)', '자가관리(self-(management OR care OR help))'를 사용하여 1999년부터 2012년까지 출판된 논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총 11편(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는 7편, 유사실험연구는 4편)으로 RevMan 5.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가관리 중재방법으로 운동, 교육, 마사지, 환우모임이 있었다. 메타분석 결과, 자가관리는 골관절염 대상자의 통증, 신체기능, 일상생활능력,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특히, 자가관리가 일상생활능력에 대하여 큰 효과가 있었으며, 통증 및 신체기능에 대하여 중간 정도의 효과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골관절염 대상자를 위한 표준화된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방간호 중풍예방교육프로그램이 성인 및 노인의 자가 건강인식 변화, 건강 행태변화, 자가관리와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f Oriental Nursing on Self-Health Perception Change, Health Behavior Change, Self-Care and Physiological Index of adult and elderly people)

  • 장경오;오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11-120
    • /
    • 2019
  • 본 연구는 55세 이상의 성인 및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한방간호 중풍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자가 건강인식 변화, 건강 행태변화, 자가관리와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12일~11월 29일까지이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실험군 26명과 대조군 27명 등 총 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변수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은 동질하다고 볼 수 있었다. 가설검정에서 두 집단의 건강인식변화 t=-5.28(p<.001), 건강행태변화 t=-4.24(p<.001), 자가관리 t=-5.28(p<.05), 수축기혈압 t=2.48(p<.05), 이완기혈압 t=2.78(p<.01), 혈당 t=5.91(p<.001), 콜레스테롤 t=-3.94(p<.001) 등은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4가지 가설 모두 지지되어 교육프로그램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한방간호 중풍교육은 건강에 대한 인식과 건강행동을 변화시키고, 자가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며, 생리적 지수를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규명되었으며 차후 효과적인 한방간호중재로서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운영과 지역을 확대시켜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지역사회 당뇨노인의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행위 및 삶의 질 분석 (The Analysis of Self-care Knowledge, Competenc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 Diabetes Elderly)

  • 이송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57-166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당뇨노인의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행위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236부 중 최종적으로 205부를 분석하였다.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및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대상자의 당뇨 자가관리 지식점수는 6.99(${\pm}2.17$)점, 자가관리 자신감은 71.27(${\pm}10.21$)점, 자가관리 행위 62.78(${\pm}1.29$)점, 삶의 질은 0.86(${\pm}0.11$)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가관리 지식과 자신감은 성별, 교육정도, 주관적 건강에 따라, 자가관리 행위는 교육수준 당뇨이환년수 및 주관적 건강에 따라, 삶의질은 주관적 건강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세부영역별로 분석하였을 때 당뇨 자가관리 지식 중 식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으며, 당뇨 자가관리 자신감은 투약과 혈당체크에 대한 자신감이 높았고 운동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낮았다. 자가관리 행위에 있어서 투약에 대한 행위가 6.48일로 가장 높았으며 혈당체크에 대한 행위 일수는 2.03일로 가장 낮았다. 삶의 질은 통증, 불편감 항목에서 가장 불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식생활을 반영한 식이교육 지침과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당뇨노인이 자가혈당감시 행위를 잘 이행하지 않는 데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연구가 시행될 것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당뇨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

IOS 환경에서 혈압관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Blood Pressure Management System in IOS Environment)

  • 류제민;박석천;박영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07-1009
    • /
    • 2012
  •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 환자들은 약물치료 외에도 운동, 식습관 조절등과 생활습관 개선을 위해 꾸준한 자가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최근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 이러한 고혈압 환자들의 자가관리를 돕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