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간호프로그램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초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elf-care Program on Exercise performance Self-Efficay, Self-care Knowledge, Self-car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Lumbar Discectomy)

  • 정진희;이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91-902
    • /
    • 2021
  • 본 연구는 자가간호프로그램이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자가간호이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일개 척추전문병원 입원환자 중 미세현미경 요추간판제거술을 받은 환자로 실험군 26명, 대조군 27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χ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가간호프로그램 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조기 관리지식(p=.001)과 일상생활관리지식점수(p=.005)가 더 높아 지지되었다. 또한 자가간호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는 대조군보다 보조기 관리이행도(p=.011), 일상생활 이행도(p=.007), 유해생활 습관관리 이행도(p=.011)가 높아 지지되었다. 따라서 자가간호프로그램은 요추간판제거술 환자의 수술 전후 적용을 통해 운동이행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지식 및 자가간호이행도를 향상시켜 보다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천식환자의 자가간호 프로그램의 효과 : 예비연구 (Effects of a self-care program for Asthma patients :A Pilot Study)

  • 정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437-44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식환자의 자가간호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이행,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설계이며 C대학병원에 입원 치료한 천식환자에게 직접 면담하여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한 16명을 대상으로 2011년 2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천식관련지식, 흡입기, PEFR 사용 등에 관한 책자와 연구자의 시범으로 자가간호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입원당일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퇴원 당일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을 제외한 항목에 대해 동일한 질문지로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Wilcoxon signed ranks test(Z) 비모수 통계량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자가간호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후에 자기효능감(Z=-3.26, p=.001), 이행(Z=-3.52, p<.001), 삶의 질(Z=-3.4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가간호 프로그램은 천식환자에게 자기효능감, 이행,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되며 추후 연구에서 중재기간, 연구디자인, 대상자 크기를 고려하기를 제언한다.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quatic exercise program on diabetes self efficacy and self care behaviors in diabetic patients in community)

  • 박주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89-399
    • /
    • 2021
  • 본 연구는 당뇨병 자가관리교육이 포함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당뇨병 환자의 자가간호행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 W 보건진료소에 등록된 당뇨병 환자 중 수중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 26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25명이다. 프로그램은 주 2회, 80분으로, 당뇨병 자가관리교육 30분과 50분의 수중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 후 공복혈당(p=.047), 당화혈색소(p<.001)는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당뇨병 자기효능감(p<.001), 당뇨병 자가간호행위(p<.001)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자가관리 교육을 포함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행위를 향상시켜 당뇨병 관리에 중요한 지표인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완화하는데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지역사회에서 당뇨병 유병율을 낮추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자가관리 교육이 포함된 수중운동 프로그램 상시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Breast self-examination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 박은희;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81-291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4월 12일부터 4월 26일이었고, 간호대학생 240명을 편의 추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통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방자가검진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유방자가검진 여부와 식행동이었고, 설명력은 14.2%이었다(F=19.53, 𝜌<.001). 간호대학생의 유방자가검진의 지속적인 수행을 도울 수 있는 교육과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간호대학생 스스로 올바른 식행동에 관심을 가지고 실천할 수 있도록 식생활을 평가하고,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영향요인 : 불쾌증상이론을 기반으로 (Factors Affecting Self-care Performance in Hemodialysis Patients: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 최은영;박경숙;이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81-391
    • /
    • 2019
  • 본 연구는 불쾌증상이론을 기반으로 한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8는 3월부터 4월까지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5개의 병원에서 237명의 환자의 자료를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가간호 수행은 희망, 가족지지, 의료인 지지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체적 증상경험과 정서적 증상경험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지지, 정서적 증상, 희망은 자가간호 수행에 33.2%의 설명력을 보였다. 자가간호 수행은 가족지지, 정서적 증상과 희망이 관련 요인이었으므로 대상자와 가족에게 희망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자가간호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결핵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in Tuberculosis Patients)

  • 조을연;권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50-3957
    • /
    • 2013
  • 본 연구는 결핵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2년 9월 17일부터 10월 17일까지 C시의 M병원 외래로 방문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결핵환자 2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가간호수행, 건강신념(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 및 가족지지 척도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자가가호수행은 5점 만점에 3.76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성별, 결혼상태, 동거가족, 월평균 수입, 흡연 상태, 음주 상태, 결핵약 복용 기간에서 유의한 자가간호수행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자가간호수행은 유익성, 장애성, 가족지지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가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지지, 장애성, 월평균 수입, 흡연상태, 유익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결핵환자의 자가간호수행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한방간호 중풍예방교육프로그램이 성인 및 노인의 자가 건강인식 변화, 건강 행태변화, 자가관리와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f Oriental Nursing on Self-Health Perception Change, Health Behavior Change, Self-Care and Physiological Index of adult and elderly people)

  • 장경오;오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11-120
    • /
    • 2019
  • 본 연구는 55세 이상의 성인 및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한방간호 중풍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자가 건강인식 변화, 건강 행태변화, 자가관리와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12일~11월 29일까지이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실험군 26명과 대조군 27명 등 총 5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변수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은 동질하다고 볼 수 있었다. 가설검정에서 두 집단의 건강인식변화 t=-5.28(p<.001), 건강행태변화 t=-4.24(p<.001), 자가관리 t=-5.28(p<.05), 수축기혈압 t=2.48(p<.05), 이완기혈압 t=2.78(p<.01), 혈당 t=5.91(p<.001), 콜레스테롤 t=-3.94(p<.001) 등은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4가지 가설 모두 지지되어 교육프로그램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한방간호 중풍교육은 건강에 대한 인식과 건강행동을 변화시키고, 자가관리 능력을 향상시키며, 생리적 지수를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규명되었으며 차후 효과적인 한방간호중재로서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운영과 지역을 확대시켜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신장이식환자의 자가간호이행 영향 요인 및 경과기간별 이행정도 (Self-care adherence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Convergence factors and elapsed time analysis)

  • 배수정;김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59-266
    • /
    • 2017
  • 본 연구는 신장이식 대상자의 자가간호이행에 영향을 주는 융복합 요인 및 경과기간에 따른 자가간호이행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신장이식을 받은 대상자 235명이며, 2014년 9월부터 10월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가간호이행도에 영향을 주는 융복합 요인으로는 나이가 많을수록(B=.007), 여자일수록(B=.157), 이식 후 경과기간이 짧을수록 (B=-.001) 자가간호이행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신장이식 후 1년 이상~5년 미만군부터 자가간호이행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며,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신장이식 후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 하고, 이식 신장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자가간호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자가간호이행이 낮아지는 경과기간을 파악하여 자가간호를 강화시킬 수 있는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자가간호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당뇨병을 가진 임부의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에 대한 출산 전후 비교 (Comparison of self-care and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childbirth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 홍지연;이미준;김성신;이자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93-301
    • /
    • 2021
  • 본 연구는 당뇨병을 가진 24주 이상의 임부를 대상으로 출산 전과 후의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4주 이상의 임부 40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24일부터 2020년 5월 23일까지 2년에 걸쳐 출산 전과 출산 후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나이는 35세 미만이 27명(67.5%), 35세 이상이 13명(32.5%)이었다.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 점수는 산전에 비해 산후가 낮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00). 따라서 출산 후에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고혈압 환자의 혈압자가측정에 관한 문헌고찰 (A Review of Self-Monitoring of Blood Pressure for Self-Management of Hypertension)

  • 박영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5-104
    • /
    • 2007
  • 연구목적: 고혈압환자의 효과적인 자가관리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혈압자가측정(self-monitoring of blood pressure)에 대한 특성, 장점, 범위 및 제한점을 파악한다. 연구방법: 1996년부터 2005년까지 PubMed에 수록된 고혈압환자의 자가관리 방법중 혈압자가측정방법이 포함된 외국의 연구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전체 69개 자가관리방법을 적용한 논문 중에서 혈압자가측정이나 가정에서의 혈압측정(home monitoring)에 대한 45개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혈압자가측정 방법은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가 혈압을 자가측정한 방법에서 평균 혈압, 수축기 혈압, 맥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장기적 프로그램에서 혈압조절율이 향상되거나, 이완기혈압의 감소효과도 보고되었다. 혈압자가측정의 기준치는 연구마다 일치하지는 않았지만 135/85mmHg 수준이 정상혈압의 상한수준으로 제시되었다. 일부 연구에서는 가정 내 혈압측정이 24시간혈압측정을 대체하는 방법으로 추천되었다. 보다 정확한 혈압자가측정을 위해서 신뢰성 있는 혈압측정기구의 사용과 정확한 측정방법이 환자들에게 교육될 필요가 있다. 결론: 혈압자가측정은 고혈압환자의 혈압조절에 유용한 방법으로 고찰되었다. 또한 고혈압의 진단, 혈압치료와 고혈압 약물복용 행위를 향상시키는 교육적 효과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혈압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자기조절프로그램에 혈압자가측정법을 포함하는 것이 추천되며, 추후 한국에서 시도된 관련 연구에 관한 문헌고찰의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