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입술 메이크업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103초

뷰티메이크업의 입술 디자인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eauty makeups lips design on the impression formation)

  • 안은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654-16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뷰티메이크업의 입술 디자인에 따른 인상형상, 선호 입술과 그 이유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법으로 SPSS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입술의 색상과 형태가 인상 형성에 미치는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입술 화장에 관한 현대인들의 시각을 규명 할 수 있었다. 가장 선호하는 입술색상은 레드, 선호하는 입술의 형태는 표준형이었다. 요인분석 결과 입술 색상 중 레드는 유능성요인이 핑크색상은 사교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뷰티디자인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3차원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위한 자동화된 마스크 생성 (Automatic Mask Generation for 3D Makeup Simulation)

  • 김현중;김정식;최수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397-40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햅틱 인터랙션 기반의 3차원 가상 얼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에서 메이크업 대상에 대한 정교한 페인팅을 적용하기 위한 자동화된 마스크 생성 방법을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시뮬레이션 이전의 전처리 과정에서 마스크를 생성한다. 우선, 3차원 스캐너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텍스쳐 이미지와 3차원 기하 표면 모델을 획득한다. 획득된 얼굴 텍스쳐 이미지로부터 AdaBoost 알고리즘, Canny 경계선 검출 방법과 색 모델 변환 방법 등의 영상처리 알고리즘들을 적용하여 마스크 대상이 되는 주요 특정 영역(눈, 입술)들을 결정하고 얼굴 이미지로부터 2차원 마스크 영역을 결정한다. 이렇게 생성된 마스크 영역 이미지는 3차원 표면 기하 모델에 투영되어 최종적인 3차원 특징 영역의 마스크를 레이블링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결정된 마스크는 햅틱 장치와 스테레오 디스플레이기반의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자연스러운 메이크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방법은 사용자에게 전처리 과정에서의 어떠한 개입 없이 자동적으로 메이크업 대상이 되는 마스크 영역을 결정하여 정교하고 손쉬운 메이크업 페인팅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화장품 앱에서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과 메이크업 룩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on Virtual Makeup of Instant Beautifying Application - Focus on Color and Shape)

  • 오승현;전창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53-1662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앱이 제공하는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과 메이크업 룩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한국의 20대 및 30대 여성 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19개 가상 메이크업 템플릿중 'Bella', 'Hilary', 'Cara' 등 3개를 가장 선호하며, 이에 상응하는 메이크업 룩은 각각 '섹시', '클래식', '내추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가의 정성적 평가와 통계적 분석에 의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이들은 메이크업 템플릿과 유사한 메이크업 룩을 선호하고, 전반적으로 고명도의 연한 피부색과 중명도의 밝은 입술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입술 메이크업의 시각적 착시 효과 연구 (The Visual Optical illusion effect study of Lip Make-up)

  • 하선옥;조고미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1호
    • /
    • pp.164-172
    • /
    • 2008
  • A face is the place where individuals can first give their images visually. This chapter presents how 'Visual optical illusion' works in applying makeup and how to differentiate the direction, location and shape of Lip in the aspect of physiognomy. For this study, employed were five types of face shape produced by Photoshop program. The best-matched facial shape was examined through a questionnaire research after applying the optical illusion of Lip to the five types of face shape. The results were revealed to be identical to ones presented in make-up teaching material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well-matched shape and size of Lip could make some changes in the facial impression, changing the face shape into oval shape. The facial line can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reshaping such facial parts as the Lip, producing well-balanced facial shape. Consequently, make-up was proved to be one of the methods which can be used to create social and psychological effect which can make a favorable facial impression and individuality, natural impression and image making depending on different purposes, taking advantage of optical illusion effect.

ASM 기반의 얼굴 특징 영역 추출 및 변형된 알파 블렌딩을 이용한 가상 메이크업 프로그램 (A Virtual Makeup Program Using Facial Feature Area Extraction Based on Active Shape Model and Modified Alpha Blending)

  • 구자명;조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827-1835
    • /
    • 2010
  • 본 논문은 사용자 사진에서 ASM(Active Shape Model)을 이용하여 얼굴의 각 특징 점을 추출하고, 추출 된 특징점을 이용하여 화장할 부분의 영역을 생성 한다. 기존의 가상 메이크업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몇 개의 특징 점을 정확히 선택해야 하는데서 불편함을 초래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상 메이크업 프로그램에서는 ASM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자연스러운 화장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알파 블렌딩을 각각 화장품의 특징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자 피부색과 화장품의 색을 혼합한다. 얼굴 윤곽, 눈, 눈썹, 입술, 볼의 영역을 생성하고, Foundation, Blush, Lip Stick, Lip Liner, Eye Pencil, Eye Liner, Eye Shadow 종류의 화장을 할 수 있게 구현하였다.

메이크업 이미지에 나타난 영화 패왕별희(覇王別姬)와 1989년 미스코리아 당선자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vie Farewell My Concubine and Miss Korea Elected in 1989 in The Makeup Image)

  • 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7-34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사는 현대인에게 외모 관리와 소비 행동은 개인의 가치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사회생활에서 막중한 역할을 담당하는 이러한 외모 관리를 위하여 메이크업은 헤어미용, 네일미용, 피부미용, 패션 등과 함께 경쟁력을 갖춘 중요수단으로 활용된다. 따라서 영화<패왕별희>에 등장하는 우희와 1989년 미스코리아 당선자들의 눈썹, 눈, 아이라인, 볼, 입술화장, 피부톤 등의 메이크업에 관하여 미용학적인 관점에서 전문적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소 과장된 화장기법의 공통분모 속에서 다른 면들이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참신한 메이크업 패턴과 아이템 개발을 위한 다각도 모색이 가능하며, 동시에 메이크업 미용 교육의 기틀 구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더불어 본 연구는 메이크업 시장에서의 더욱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여 경쟁력을 갖춘 실질적인 발전에도 일조하고자 한다.

천연색소를 함유하는 유중폴리올(Polyol-in-Oil) 립메이크업 제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olyol-in-Oil Type Lip Makeup Cosmetics with Natural Pigments)

  • 이동원;김영호;정은지;이상길;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5-73
    • /
    • 2013
  • 립 메이크업 제품은 음식물과 함께 체내로 유입되므로 안전성에 대한 필요성이 다른 화장품보다 크다. 또한 합성 안료인 타르계 색소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천연색소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가되고 있으며, 많은 종류의 천연 색소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립메이크업 제품에 합성색소 대신 천연색소를 이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 천연 색소는 안토시아닌 계통의 친수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지만, 기존의 입술 화장료는 오일과 왁스로 이루어진 무수상태의 유분산 제형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립메이크업 제품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인 무수제형이기 때문에 수용성인 천연색소를 사용할 경우에 색상발현도가 낮고 불안정하여 제형에서 색소가 분리되기 쉽다. 또한 천연색소는 pH, 열 및 일광 등에 의해 쉽게 변하는 단점이 있는데, 무수제형에서는 이에 대한 조절이 쉽지 않아 안정도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색소를 사용하여 인체에 안전하면서 색상 표현력이 우수한 립메이크업 조성물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천연색소를 유중폴리올 에멀젼에 포집하여 색소의 안정도를 확보하였으며, 수분증발 시 생기는 건조함이 없는 우수한 보습력을 갖는 립메이크업 제품을 제조하였다.

글램과 펑크 메이크업의 비교 연구 - 197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Glam and Punk Make-up - Focused on the 1970s -)

  • 정현숙;정희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1호
    • /
    • pp.76-89
    • /
    • 2009
  • Popular music unites people who have different genders, ages, locals, and values. Through the popular music, youth interchange their emotion and create their fashion. Fashion and music formed the twin pillars on which the first historically significant youth sub-culture was built. Glam rock and Punk rock which won popularity in the 1970s influenced the fashion of the t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Glam and Punk make-up which appeared as a symbol of the rebel against an older generation. The methodology utilized in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materials from the survey through the literature, internet sites, and visual re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face make-up, Glam used a white base to appear cosmic; on the other hand, Punk used a white base to appear pale and horrid. In eye make-up, Glam used black, pink, and blue eye shadow, and accented the eye by using black eye lines. Punk used black eye shadow, and drew black circles or squares around eyes. In lip make-up, Glam used pink, purple, red, and black lip color and silver and pink lip gloss to glitter. Punk used red and black lip color to appear horrid. In body make-up, Glam used glitter powder to appear with a bright skin. Punk drew tattoos and horror patterns in their body. The common themes of Glam and Punk make-up were rebellion, androgyny, and the beauty of ugliness as well as a self-created persona.

  • PDF

화장색 이미지평가와 선호도 차이 (제1보) -지각자의 성별을 중심으로- (A Differences in Preference and Evaluation on the Image of Make-up (Part I) -Focused on Perceiver's Genders-)

  • 이연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7-58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ake-up color application system, based of Korean's skin tone and the preference in make-up colo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of beauty in universiti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the previous studies, the analyses of sale's rate of hue-cosmetics, the analytic experiment of color of cosmetics by using Spectrum Color Analyzer and other experimental researches.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ree preliminary researches, shows the result of evaluation from perceivers which has been come out from the experiment of having one model in her twenties being changed with twenty-two different conditions of make-up. Here follow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ly, there was difference on perceiving images in terms of the gender of perceivers and especially male-group tend to have clearly perceived the gap between elegance-greyish purple, orange-natural, red-classic on monochrome make-up and contrast make-up. Secondly, in terms of lip-colors, salmon pink and pink was regarded positively to both female and male subjects and to male subjects, greyish purple was thought to be better on darker skin-tone and to female subjects, better on lighter skin-tone. Thirdly, on image make-up, romantic gives intelligent image regardless of skin-tone and gender, especially gives more positive looks to male subjects. Natural and classic elements were perceived more positively on darker skin-tone and had bigger perceiving gap in female subjects. Fourthly, in preference rate, male subjects normally preferred the look with make-up than female subjects did and salmon pink and pink lip color was preferred on the darker skin-t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