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읽기 검사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7초

건강검진 후(後) 건강수치 읽기 - 요산 수치로 알아보는 통풍 검사

  • 김남희
    • 건강소식
    • /
    • 제36권9호
    • /
    • pp.28-29
    • /
    • 2012
  • 관절염의 일종인 통풍은 말 그대로 바람만 불어도 아플 정도로 격심한 관절통이 오는 병이다. 주로 혈중 요산치가 높은 중년 이후의 남자에서 많이 발생했지만 최근 들어 20~30대 남성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젊은 연령층 발병이 문제가 되는 것은 통풍이 완치되는 질병이 아니기 때문이다.

  • PDF

유아의 정보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 간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nformation Processing and Basic Learning Abilities)

  • 김남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3-189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정보처리능력인 동시처리 및 순차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읽기, 쓰기, 기초수학을 포함하는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정보처리능력의 상대적 설명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취학직전 만 5~6세 유아 99명을 대상으로 유아그림기초학습능력검사와 K-ABC 검사를 실시하여 기초학습능력과 정보처리능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로써 첫째, 유아의 정보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 간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순차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 간, 동시처리능력과 기초학습능력 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영역인 읽기, 쓰기, 기초수학 능력과 동시처리 및 순차처리능력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초학습능력에 대한 정보처리능력의 상대적 설명력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정보처리능력 중 동시처리능력이 기초학습능력에 22%의 설명력을 가지며, 여기에 순차처리능력이 첨가됨으로써 설명력이 3% 증가하여 25%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도 학습에서 변칙 사례의 제시 방식과 권위 수준이 인지 갈등과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entation Type and Authority Level of Anomalous Data on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in Learning Density)

  • 노태희;김순주;강석진;김재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95-603
    • /
    • 2002
  • 밀도 학습에서 변칙 사례의 특성이 인지 갈등과 개념 변화에 미치는 여향을 조사했다. 남자 중학교 1학년 416명을 대상으로 논리적 사고력 검사와 선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그 후, 변칙 사례에 대한 반응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변칙 사례는 제시 방식(동영상/읽기 자료)과 권위 수준(상/하)에 따라 네 종류를 무작위로 제시했다. 밀도에 대한 컴퓨터 보조 수업 후, 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동영상으로 제사한 변칙 사례가 읽기 자료로 제사한 변칙 사례보다 인지 갈등을 더 많이 유발했다. 높은 권위 수준의 변칙 사례를 제시받은 학생들의 개념 점수가 낮은 권위 수준의 변칙 사례를 제시받은 학생들보다 높았다. 인지 갈등 점수와 개념 점수에서 변칙 사례의 특성과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사이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다.

덩이글에서 스크립트 비부합정보의 처리

  • 박천식;도경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0년도 제2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97-103
    • /
    • 1990
  • 읽기시간과 재인기억을 통하여 스크립트에 부합되지 않는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문장을 읽고 문장 재인검사틀 하였다. 스크립트 비부합 문장의 읽기시간은 길고 재인 반응시간은 빨랐다. 실험 2, 3은 스크립트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가 기억이 잘되는데, 그 이유가 노력의 결과로 다른 정보와 통합되었기 때문인지 아니면 비부합정보가 두드러졌기 때문인지 알아보려고 설계되었다. 실험 2에서는 명제쌍을 만들어 즉시 재인기억을 하였고, 실험 3에서는 피험자가 비부합정보를 충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자기 속도(self-paced)로 읽고 명제쌍으로 지연재인검사를 했다. 비스크립트 정보와 전형적인 명제로 된 명제쌍이 전형적인 명제쌍보다 반응시간이 길었다. 이 결과는 스크립트 비부합정보는 자체로는 기억이 잘되나 다른 정보와 통합은 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가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of Smart Phone upon Reading and Self-regulated Reading)

  • 김태용;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33-442
    • /
    • 2014
  •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가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과 독서 실태 및 자기조절읽기 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 보유 여부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라서는 독서량, 독서시간, 자기조절 읽기에 영향을 미쳤으나, 스마트폰 이용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 방법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학교 및 가정에서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스마트 시대에 적절한 독서 지도방안 등도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방송 디스크 환경에서 읽기 전용 트랜잭션을 위한 타임스탬프 기반 동시성 제어 (Timestamp based Concurrency Control for Read-Only Transaction in Broadcast Disks Environment)

  • 임성준;조행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5B호
    • /
    • pp.317-323
    • /
    • 2005
  • 방송 디스크는 다수의 이동 클라이언트에게 정보를 전파하는 통신구조이다. 방송 디스크에서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방송하며, 클라이언트는 방송 채널을 감시하여 자신이 원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런 관점에서 방송 채널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는 디스크의 역할을 담당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버에서 방송 데이터가 갱신될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되는 읽기 전용 트랜잭션의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타임스탬프 기반 동시성 제어(Timestamp Based Concurrency Control: TCC)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에 제안된 동시성 제어 기법들은 트랜잭션의 철회율을 줄이기 위하여 추가적인 제어 정보들을 방송함으로써 방송 대역폭의 상당 부분을 소비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TCC는 방송 데이터의 타임스탬프 필드에 그 데이터를 갱신한 서버 트랜잭션들의 순서를 반영시키고, 이를 수신한 클라이언트에서는 타임스탬프를 이용하여 자신의 읽기 전용 트랜잭션의 정확성을 검사함으로써 보다 많은 트랜잭션 실행을 허용한다. 그 결과, TCC는 서버로부터 방송되는 제어 정보의 양을 최소화하면서 읽기 전용 트랜잭션의 철회율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읽기 및 쓰기 학습 부진 아동을 위한 학습치료 프로그램 효과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Effect of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Improvement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 최은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93-40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및 쓰기 학습 부진을 가진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학습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초학력검사(KISE-BAAT)를 실시하여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가진 다문화 아동을 선별하여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읽기 및 쓰기 학습 부진 아동 17명 중, 부모와 아동의 동의를 얻어 9명은 학습치료 프로그램 집단에 8명은 통제 집단에 배정하였다. 학습치료 프로그램은 상향식 접근을 근간으로 하고 직접 교수법을 사용하여 학습치료를 실시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주 1회 총 16회기(4개월)로 구성되었다. 읽기 쓰기 능력에 대한 효과 비교에서 학습치료 프로그램 집단은 사후 평가에서 읽기와 쓰기 능력에서 향상이 있었으며, 통제 집단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초등학생 저학년의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Reading Fluency in Elementary Students: A Single Case Study)

  • 김영준;신민호;정혜원;전병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35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읽기 유창성에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훈련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초등학생 저학년 아동 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부터 12월까지 개별 실험 연구(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디자인을 적용하였다. 총 18회기로 기초선 3회기, 중재기 12회기, 재기초선 3회기를 시행하였다. 중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이었으며 매 회기마다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의 LFA(Long Form Assessment)와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의 읽기검사(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Reading; BASA: R)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초선, 추적기 때 각 세 번씩 BASA: R의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 기초선과 비교하여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중재 이후 대상자의 읽기 유창성 능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론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이 초등학생 저학년 아동의 읽기 유창성 능력 향상을 위한 임상적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읽기 장애와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아동의 주의력 과제와 음소 변별 과제 수행 비교 - 청각 과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AUDITORY ATTENTION AND PHONEME DIFFERENTIAL ABILITY AMONG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Y AND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 이경희;신민섭;김붕년;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4권2호
    • /
    • pp.197-208
    • /
    • 2003
  • 목 적:본 연구에서는 읽기 장애 아동들(Reading Disability)은 빠르게 제시되는 언어 자극을 처리하는데 핵심적인 문제를 갖고 있으며,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 아동들(ADHD)은 반응의 억제에 어려움을 보인다고 가정하였다. 읽기 장애와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 그리고 공존 장애 아동 집단을 대상으로 핵심적인 인지 특성을 밝혀보고자 시각/청각 주의력과 음소 변별 검사에서 세 집단의 수행 차이를 비교하였다. 방 법:1차 연구에서는 ADHD 아동 28명과 RD+ADHD 아동 16명에게 주의력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전산화된 주의력 장애 진단 검사(ADS)를 실시한 후 시각적 주의력과 청각적 주의력의 집단 간 수행 차이를 전체 지능의 영향을 통제하고 비교하였다. 2차 연구에서는 RD+ADHD/RD 아동 13명과 ADHD 아동 13명, 정상 아동 12명에게 전산화된 음소 변별 검사를 실시한 후 지능의 영향을 통제하고 세 집단의 수행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시각적 주의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청각적 주의력에서는 RD+ADHD 집단이 유의하게 어려움을 보였으며, 반응시간의 변산성이 증대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음소 변별 검사에서는 RD 수반 집단과 ADHD 집단이 모두 정상 통제 집단에 비해 오류를 더 많이 보였고, RD 수반 집단과 ADHD 집단간에 다른 수행 패턴을 보였다. 논 의:ADHD들은 RD의 수반여부에 상관없이 반응 억제와 일관적인 주의력 유지에 어려움을 보였고 RD가 공존하는 경우 청각적 주의력의 문제가 증폭되었다. 음소 변별 검사에서 RD가 목표반응에 정확하게 반응하는데 어려움은 나타났으나, ADHD와는 유의한 수행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Comprehension of Graphs of Sixth Graders)

  • 황현미;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1호
    • /
    • pp.45-64
    • /
    • 200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자료 읽기, 자료 사이의 관계 찾기, 자료 해석하기, 상황 이해하기의 4가지 과제 유형을 설정하고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6가지의 그래프를 대상으로 검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서울 시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후, 과제유형별 반응과 그래프 종류별 반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그래프를 보고 자료 읽기와 자료 사이의 관계 찾기 과제에서는 높은 이해도를 보였으나 자료 해석하기와 상황 이해하기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도를 나타냈다. 또한 같은 수준의 과제 내에서도 그래프의 종류에 따라 상당히 다른 이해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그래프 교수 학습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