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자형

Search Result 8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Observation on Environmental Modification Behavior: Implications for University Apartments' Design (환경조절 행태에 대한 관찰연구: 대학 아파트 설계를 위한 시사점)

  • Kim, Duk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8 no.3
    • /
    • pp.9-17
    • /
    • 2012
  • 본 연구는 미국 소재 T 대학교의 학생아파트를 대상으로 하여 창밖으로 보이는 외부 환경의 차이와 거주자의 환경조절 행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관찰연구로 진행되었다. 거주자와 거주환경간에 발생하는 부조화는 환경 스트레스의 한 원인이 된다. 이러한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거주자는 그들의 환경을 조정하곤 한다. 본 연구는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거나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커튼을 교체하는 등의 환경조절 행태를 분석의 대상으로 한다. 창문과 현관 영역에서 발생하는 환경조절 행태의 정도를 비교 관찰하기 위해 군집형과 일자형으로 되어 있는 두 개의 배치 유형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군집형 유형(cluster type: type A)은 상대적으로 도로에 가깝고 거실 창문의 조망이 다른 건물에 가로막혀 있으며, 일자형 유형(parallel type: type B)은 가로막고 있는 건물이 없어 자연경관을 거실 창문을 통해 조망할 수 있는 배치상의 두드러진 차이점이 있다. 관찰연구를 통해 군집형 유형에서 일자형 유형보다 더 높은 빈도로 식물 화분과 개별 커튼 등을 이용한 개인적 환경조절이 이루어진 흔적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창문을 통해 보이는 외부 경관의 특성이 거주자의 환경조절 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암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관찰연구에서 나타난 거주자의 환경조정 행태를 반영하여 디자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Comparison of Labour and Growth Characters of Grape cv. 'Campbell Early' between Wakeman and Modified-T Trellis Training Systems (포도 '캠벨얼리'의 웨이크만과 개량일자형 수형에서의 노동력과 생장특성 비교)

  • Park, Seo-Jun;Cho, Eun-Kyung;Kim, Su-Jin;Hur, Youn-Young;Nam, Jong-Chul;Park, Jeong-Kwan;Hwang, Hae-Sung;Jung, Sung-Mi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5 no.3
    • /
    • pp.206-211
    • /
    • 2016
  • Modified T trellis (MT) and Wakeman trellis (WT) were widely used Korean vineyard because they had an advantage for spur pruning type cultivar such as Campbell Early. In this experiment, we compared labor time and intensity for bunch management between MT and WT trellis systems in 'Campbell Early' grapes. As a result, berry thinning was required 17.3 hours (10a) on the WT trellis but was required 12.3 hours (10a) on the MT trellis. In like manner, bagging was required 10.1 hours (10a) on the WT trellis but was required 8.2 hours (10a) on the MT trellis. On the other hand, labor intensity measured on berry thinning and bagging practices using REBA (Rapid Entire Body Assessment) index, then WT trellis was scored 13.0, but MT trellis was scored 8.6. Meanwhile, MT trellis reduced vigorous growing of internodes length and width on grapevine shoots. Consequently, MT trellis is more convenience trellis for working ergonomically in Korea vineyard.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Cheongsoo' Grape in Different Trellis Systems ('청수' 포도의 수형에 따른 수체 생육 및 과실 특성)

  • Kim, Su Jin;Park, Seo Jun;Jung, Sung Min;Noh, Jeong Ho;Hur, Youn Young;Nam, Jong Cheol;Park, Kyo Sun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32 no.4
    • /
    • pp.427-433
    • /
    • 2014
  • Trellising is an important cultural practice that affects grape quality and yield. Some grape cultivars require different trellising under different climate and soil conditions. To find suitable trellis conditions for grape cultivar 'Cheongsoo', we measured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with three different trellis systems: curtain, Geneva double curtain (GDC), and modified T. The maximum light exposure of clusters in the curtain, GDC, modified T trellis systems was 670, 1,654, and $1,649{\mu}mol{\cdot}m^{-2}{\cdot}s^{-1}$,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ir temperature among the three trellis systems. Net $CO_2$ assimilation rate at $1,500{\mu}mol{\cdot}m^{-2}{\cdot}s^{-1}$ light intensity was 13.4, 13.7, and $8.7{\mu}mol{\cdot}m^{-2}{\cdot}s^{-1}$ in curtain, GDC, and modified T trellis systems, respectively. Trunk cross section area (TCSA) and bud burst ra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systems. Shoot number was 31.3, 47.0, and 37.0 in curtain, GDC, and modified T trellis systems, respectively. The shoot length was higher (243.9 cm) in the modified T trellis system than in the single curtain (171.1 cm) and GDC (151.5 cm) systems. Interior leaf number and leaf layer number were higher in the GDC system, in which there are two primary branches, in comparison to the modified T and curtain systems, which utilize one primary branch. Primary leaf area and lateral leaf are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odified T trellis system in comparison to the GDC system. Berry weight, length and diameter, and total soluble soli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trellis systems. However, cluster weight and cluster number per tre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DC. Titratable acid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GDC. Collectively, our data suggest that the GDC trellis system is preferable for grape 'Cheongsoo' to maintain fruit quality and quantity in Korea.

Design of a Waveguide Band-Pass Filter Using a Modified H-type Resonant Iris (변형된 H-형 공진 아이리스를 이용한 도파관 대역 통과 여파기 설계)

  • Park, Kyoung-Je;Lee, Jong-Ig;Kim, Byung-Mun;Cho, Yo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59-60
    • /
    • 2018
  • In this paper, we studied a design method for a band-pass waveguide filter with a modified H-type resonant iris (RI) placed in a thin transverse wall of a rectangular waveguide. The horizontal straight gap at the center of a conventional H-shaped iris is modified to a U-shaped one to increase the equivalent capacitance, and the equivalent inductance is improved by changing the vertical two straight slots into C-shaped ones. A third-order band pass filter using the proposed modified H-shaped iris was designed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filter operated in the frequency range of 9.22-9.75 GHz with its insertion loss of 0.5 dB and return loss of 17 dB.

  • PDF

차단기능형 LPG용기용 밸브 문제점 및 건의사항

  • Korea LPGas Industry Association
    • LP가스
    • /
    • s.103
    • /
    • pp.8-10
    • /
    • 2006
  • 2006. 2. 6일자로 차단기능형 LPG용기용밸브 사용을 의무화하는 고법시행규칙이 개정 공포되었다. 이에 대한 문제점 및 건의사항을 우리협회와 관련업계 공동으로 제출했다.

  • PDF

Comparison of Behavior of Connections between Modular Units according to Shape of Connector Plates (연결 강판 형상에 따른 모듈러 유닛 간 접합부의 거동 비교)

  • Lee, Sang Sup;Bae, Kyu Woong;Park, Keum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8 no.6
    • /
    • pp.467-476
    • /
    • 2016
  • For the connections between modular units in modular buildings, the bolted joints with connector plates are used commonly. The strength of structure is determined by the weakest part of structure and the connections may be weaker than the members being joined. Therefore, to check the safety of modular build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connections between modular units as well as that of beam-to-column connections should be evaluated.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module to module connection with straight and cross shaped connector plates is investigated by lateral cyclic tests according to KBC2009 0722.2.4 which shall be conducted by controlling the story drift angle in the width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All of test results generally show the stable ductile behavior up to 0.04rad drift levels and the tests in longitudinal direction show a superior energy dissipation per cycle in each of the load steps. However, the straight shaped connector plates have the degradation of stiffness with cyclic loading and the larger drift angle of column than the cross shaped connector plates.

Application of Building using Optimal Design Technique of Irregular Wall (일반 건축물의 이형벽체 최적설계기법 적용사례)

  • Han, Kyung-Soo;Bang, J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4.05a
    • /
    • pp.86-87
    • /
    • 2014
  • Recently, construction project has greatly increased the needs for cost savings due to excessive competition and economic rec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pplication of building using optimal design technique for improving construct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of structural wall. As a results, design results of irregular wall show about 15% reduction of the longitudinal bar compared to single walls and ultimately improve constructability.

  • PDF

Design of a Waveguide Band-Pass Filter Using a Modified H-type Resonant Iris (변형된 H-형 공진 아이리스를 이용한 도파관 대역통과 여파기 설계)

  • Park, Kyoung-Je;Choi, Tae-Ho;Lee, Jong-Ig;Kim, Byung-Mun;Cho, Young-K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2
    • /
    • pp.347-353
    • /
    • 2018
  • In this paper, we studied a design method for a band-pass waveguide filter with a modified H-type resonant iris (RI) placed in a thin transverse wall of a rectangular waveguide. The horizontal straight gap at the center of a conventional H-shaped iris is modified to a U-shaped one to increase the equivalent capacitance, and the equivalent inductance is improved by changing the vertical two straight slots into C-shaped ones. From some simulation results for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proposed RI, it was observed that the proposed iris was advantageous for reducing its size and having better cutoff, compared to typical H-shaped one. Equivalent inductance, capacitance, and quality factor of the proposed RI were extracted to analyze its performance. A third-order band pass filter using the proposed modified H-shaped iris was designed and, it was observed that the filter operated in the frequency range of 9.18-9.84 GHz with its insertion loss of 0.3 dB and return loss of 14 dB.

A Study on the Design of Smart Clothing for Vital sign Monitoring -Based on ECG Sensing Clothing- (생체신호 모니터링 스마트 의류의 디자인 연구 -심전도 센싱 의류를 중심으로-)

  • Jo, Ha-Gyeong;Jo, Hyeon-Seung;Gu, Su-Min;Song, Ha-Yeong;Gang, Da-Hye;Lee, Ju-Hyeon;Lee, Jeong-Hwan;Lee, Ye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3-126
    • /
    • 2009
  • 최근 생체 신호 센싱 기능의 의류가 연구 개발되어 왔으나, 생체 신호 측정 시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치명적인 잡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심전도 센싱 의류를 기반으로 생체 신호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용자의 동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심전도 센싱 스마트 의류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자형 절개 타입', '십자형 절개 타입', '엑스형 절개 타입', '곡선 엑스형 절개 타입'의 총 네 가지 타입의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의 시안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디자인 시안은 민소매 형태의 남성용 티셔츠로 신축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인체 굴곡을 따라 의복과 전극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트랜스미터를 이용하여 메인 컴퓨터로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4 가지 의류 타임을 기반으로 인체의 정지 및 동작 상태에서의 심전도 센싱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작에 따른 전극의 변위를 측정하고, 심전도 측정 평가를 실시하여 SNR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곁과를 반영하여 의류 디자인 시안의 수정 및 보완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동작 잡음을 최소화하는 생체신호 센싱 스마트 의류 디자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 PDF

Capacity Modulation of a Ground Source Multi-Heat Pump in the Part Load Condtions (축열형 지열원 냉난방 시스템의 단기 성능 특성 연구)

  • Kim, Namtae;Cho, Chanyong;Choi, Jong M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19-119
    • /
    • 2010
  • 무한 지속 가능한 지열 에너지를 활용한 공조시스템인 지열원 냉난방 시스템은 기존의 공조 시스템보다 열원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높은 효율과 우수한 성능을 가지므로, 기후변화협약 대응의 주요수단으로서 기술개발과 보급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수층 축열 지열원 열펌프 시스템에 대한 실증 연구를 통하여 대수층 축열 지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하절기 냉방 성능을 분석하였다. 대수층 축열 냉난방 시스템은 주입정과 양수정의 2개의 우물공이 설치되어 있으며, 겨울 난방 운전 중에 한 개의 우물공으로부터 지하수를 열펌프로 유입한 후 낮은 온도의 지하수를 타 우물공에 축열하고, 하절기에 겨울에 저온으로 축열된 우물공으로부터 지하수를 열펌프로 유입하여 온도가 증가된 지하수를 타 우물공에 주입한다. 즉, 계절별로 열펌프에서 생성된 냉수와 온수의 대수층 축열을 위하여 계절별로 주입정과 양수정이 바뀌게 된다. 본 연구의 대수층 축열 지열원 열펌프 시스템의 2009년 8월의 주요일자별 시스템 운전 중의 평균 냉방 열펌프 유닛 COP와 냉방 시스템 COP는 각각 4.7과 3.4이상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모든 일자에 대하여 외기온도가 $31.6^{\circ}C$$22^{\circ}C$까지 변화가 크게 나타났지만 열펌프 유닛 COP와 시스템 COP의 변화는 미소하였다. 이는 양수정으로부터의 지중 순환수가 운전기간 중에 $17.5^{\circ}C$로 일정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양수정과 주입정 사이에 5개의 관측공을 설치하였으며, 양수정 측에 인접한 관측공의 온도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단기간이지만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직밀폐형 시스템과 달리 지속적인 냉방운전 중의 양수 온도의 증가는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성능을 나타냈다. 주입정에 인접한 모니터링 홀의 온도는 심도가 깊은 곳의 온도가 낮은 곳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냉방 운전 시 열펌프 유닛의 실외열교환기에서 지중 순환수가 냉매로부터 열을 취득하여 온도가 상승하면서 주입정측에 온열이 축열이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며, 하절기의 냉방 운전 시간이 증가할 경우 축열 효과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수정과 주입정 중간의 모니터링 홀의 온도는 2009년 8월 가동 중에 온도변화는 없었는데, 이는 양수정과 주입정 사이의 열간섭이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일자별로 운전 중의 열펌프 유닛 COP는 차이가 없었지만, 운전 및 정지 시간을 모두 포함한 시스템 소비전력과 냉방용량을 모두 합산하여 산정한 일일 평균 냉방 열펌프 유닛 COP와 냉방 시스템 COP는 일자별로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각 일자별로 열펌프 유닛 가동율의 차이로 인하여 열펌프 유닛 가동 전에 먼저 작동되는 지중순환펌프의 운전 소비전력의 차이와 열펌프의 단속운전 시의 열손실과 추거 소비전력의 차이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