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원배치분산분석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31초

사범대학 음악교육 전공학생들의 교육만족도 연구 (A Study of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Music Education Majors)

  • 박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19-424
    • /
    • 2020
  • 본 연구는 음악교육 전공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사범대학이 지향해야 하는 바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대학 음악교육 전공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2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음악교육 전공 학생들의 성별, 학년, 진로희망, 학생들의 개별 노력에 따라 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범대학은 미래의 인재를 가르치는 교사 양성 기관으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범대학들이 훌륭한 교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서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

유방촬영실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방사선 방어, 인식 및 태도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Radiation Protection, Awareness and Attitud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in Mammography Room)

  • 홍동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4호
    • /
    • pp.557-565
    • /
    • 2017
  • 본 연구는 유방촬영에 저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방사선 피폭에 대한 인식이 저하될 것이라 사료되어 유방촬영실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들의 방사선 방어, 인식 및 태도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6개 시도에 소재한 병원과 의원의 유방촬영실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2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남자(p<0.05), 30대 이상의 연령(p<0.05), 기혼(p<0.05), 10년 이상의 근무경력(p<0.05), 8시간의 근무시간(p<0.01), 피폭체감(p<0.05)이 적을수록 방사선 방어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남자(p<0.05)이면서 피폭체감(p<0.01)이 많을수록 방사선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방촬영실의 근무 특이성과 근무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다른 요인과의 분석을 통해 피폭에 대한 인식과 행위를 높이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조남희;권려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55-16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 지역에 위치한 3개 대학의 재학생 19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가보고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피어슨의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로 나타났으며 영향요인에 따른 설명력은 42.3%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증진을 위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및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R based Intervention on Daily Living Skills and Class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이태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 학생의 일상생활 기술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2-3학년 지적장애학생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중재방법에 따라 세 집단으로 배치하였다. A집단은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중재, B집단은 직접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중재, C집단은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직접 체험 활동을 결합한 중재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7월 4주부터 8월 3주까지 4주 동안 진행되었고, 일주일에 4회씩 총 16회기의 중재가 이루어졌다. 평가는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사후 분석으로는 scheff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C집단이 A집단과 B집단보다 일상생활 기술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고, C집단은 B집단보다 수업태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체험활동을 결합한 중재가 일상생활 기술 및 수업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심장과 호흡의 연결성을 이용한 감성인식 방법 (Emotion Recognition Method Using Heart-Respiration Connectivity)

  • 이동원;박상인;황민철
    • 감성과학
    • /
    • 제20권3호
    • /
    • pp.61-70
    • /
    • 2017
  • 감성을 인식하는데 있어 생리적 반응은 중요하다. 생리적 반응은 인체의 주요 기관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감성을 인식하는데 연결성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자율신경계는 감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심장과 폐와 같은 인체 내 주요 내장기관에 분포되어 기능적 상보작용을 통해 생리적 반응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심장과 호흡의 연결성을 분석하고 감성을 인식하는 중요한 연결 변수를 찾고자 하였다. 피험자 18명(남 10명, 평균 나이 $24.72{\pm}2.47$)은 소리 자극을 이용한 감성 유발 실험에 참여하였고 심전도와 호흡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심장과 호흡 데이터는 스펙트럼 분석을 이용하여 HRV와 BRV spectrum을 구하였고, 감성에 따른 HRV와 BRV spectrum의 동기화 차이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Tukey 검증 결과, arousal-relaxation은 HF 대역에서 심전도와 호흡의 동기화 차이로 인식 가능하였고(p = 0.008, d = 1.4274), negative-positive는 LF 대역에서 인식이 가능하였다(p = 0.002, d = 1.7377). 본 연구 결과로 심장과 호흡의 연결성을 통해 차원적 감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현되는 감성을 인식하는데 생리적 반응들의 연결성 변수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역할이행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lacement and Role Transition among Nursing Students)

  • 한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71-179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역할이행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 소재의 2개 대학에서 편의추출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고, 최종적으로 분석에 참여한 대상자 수는 135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의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의 평균점수는 3.32점, 회복탄력성 3.68점, 간호사역할이행 3.48점이었고, 일반적 특성 중 전공만족도, 평균 학점, 지각하는 건강 수준, 임상실습 동안 동료관계에 따라 간호사역할 이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사역할이행은 회복탄력성(r=.76, p<.001), 임상실습만족도(r=.50,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만족도와 간호사역할이행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부분적 매개역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66%, 간접효과 값은 .16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역할이행 수준 향상을 위해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중재 개발과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

전신 뼈 검사에서 신장 기능에 따른 뼈 섭취율에 대한 고찰 (A Study of Bone Uptake According to Renal Function in the Whole Body Bone Scan)

  • 조용인;장동근;박철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4호
    • /
    • pp.299-304
    • /
    • 2013
  • 전신 뼈 검사는 골 병변에 대한 조기발견, 원발성 암의 뼈 전이 유무, 골수염과 골절의 진단 및 경과추적등 골격계에 대해 높은 민감도와 해상력을 제공하는 검사로서, 핵의학과에서 가장 흔히 수행되는 검사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체내분포를 위한 대기시간이 부적절한 것 이외에도 연부조직 및 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의해 영상의 질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2012년 6월~201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전신 뼈 검사를 시행한 환자 387명을 대상으로 방사성 의약품 주사 후 환자의 생리학적인 요소 및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지표에 따른 방사성 의약품의 섭취율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정량적, 정성적 분석 결과 사구체여과율이 정상수치 이하로 감소할수록, 혈중 크레아티닌이 정상 수치 이상으로 증가할수록 연부조직 대비 뼈의 평균 섭취율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관계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연부조직 대비 뼈 섭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각 요인간 상관관계는 다소 낮게 나타냈고,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른 매개변수로 인해 거의 모든 그룹에서의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신장기능 외에 다른 부가적 요인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본 실험에서 언급했던 것 이외에도 연부조직 및 뼈 섭취율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와의 관계와 환자의 배설기능 등과 관련하여 영상의 질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Utilization Behavior of Medical Services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Prevalence)

  • 이고은;임복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443-452
    • /
    • 2018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25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상태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적 통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chi}^2$-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남자보다 여자가, 65세 이상, 고졸이상, 무직이 많았고 소득분위는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 직능, 소득분위를 함께 고려한 사회경제적 상태(socioeconomic status; SES)에 대한 점수는 7-8점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 응답자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으로 느끼고 있었다. 평균유병개수는 $1.07{\pm}1.497$개이며 외래서비스 평균이용횟수는 $0.50{\pm}.0745$회이며, 입원서비스 평균이용횟수는 $0.12{\pm}0.454$회로 외래서비스 이용횟수 보다 낮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병 및 주관적 건강상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과 직능, 소득분위 및 SES점수가 낮을수록 평균 유병개수는 많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나쁘게 인식하였다. 현재 앓고 있는 질환에서 입원서비스는 중증일수록, 외래서비스는 만성일수록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SES점수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의료서비스의 이용이 낮았고, SES점수가 낮을수록 의료서비스의 이용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특성이 낮은 집단에게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적절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들이 질환에 노출되었을 때 적정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기반의 적절한 보건서비스 체계의 구축 및 시행의 필요성을 시사 할 수 있겠다.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nior Quality of Life Factors)

  • 최향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14-321
    • /
    • 2019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가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노인의 배우자 유무 및 가족구성원의 수와 질병과의 관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 검정,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배우자 유무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차이는 성별, 연령대, 교육수준, 경제활동 유무, 가구원 수, 가구 세대구성 등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배우자 유무에 따라 노인의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배우자 군의 유병개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무배우자 군이 주관적으로 본인의 건강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편이었으며, 삶의 질은 유배우자 군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우자 유무에 따른 노인의 만성질환 및 활동 제한 관련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관절염, 골관절염, 골다공증, 천식, 우울증, 당뇨병, 백내장이 무배우자 군에서 더 높은 유병률을 보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배우자 유무에 따른 활동제한 여부에 대해 무배우자군이 활동제한이 더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배우자 유무에 따라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수준, 만성질환이 다르게 나타나, 배우자가 있는 것이 노인 건강과 삶의 질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 비교 -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The Comparisons of Perception for Operation Form among Science Academy, Science High School, and Ordinary High School : Focusing on Educational Experiences of Beneficiaries of Science-Gifted Education)

  • 박경진;류춘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25-636
    • /
    • 2017
  •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이 중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큰 핵심 변인은 무엇인지 과학영재교육 수혜자의 인식을 토대로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혜자 288명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육 경험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졸업한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유사체계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 운영형태를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및 교원 운영 관련 변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수혜자들의 교육경험을 토대로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교육과정 운영 및 교사 전문성 측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 걸쳐 과학영재학교일수록 만족도가 높고 과학고, 일반고로 갈수록 만족도가 낮았다. 셋째, 고등학교 유형별 운영형태에 대한 수혜자들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의 운영 형태에 차이를 보이는 핵심 변인은 교육과정 측면의 교육내용, 교수-학습과정 및 학습 환경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영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