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원

검색결과 1,861건 처리시간 0.032초

DMZ일원 중점관리종 모니터링체계 구축을 위한 평가지표개발 및 종선정 연구 (The Study on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and species selection determining to establish priority species monitoring system in DMZ)

  • 박진선;박기쁨;김상준;안종빈;이아영;황희숙;송진헌;윤호근;정수영;정지영;김일권;신현탁;이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7-77
    • /
    • 2019
  • 본 연구는 DMZ일원에서 생육하고 있는 자생식물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DMZ일원 종다양성의 지속적인 건강성 유지 및 보전을 위한 중장기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중점관리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DMZ지역과 북방계지역에 대한 생물자원을 연구할 수 있는 기본틀을 마련하고 생물권보전지역을 지정함으로써 국제교류 및 이해에 기여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DMZ일원의 관속식물상은 157과 754속 2,047종 12아종 340변종 105품종 총 2,504분류군이 생육하고 있다. 이 중 희귀식물은 총 285분류군, 특산식물은 총 124분류군, 침입외래식물은 130분류군이 분포하고 있다. 전체 2,504분류군 중 희귀식물, 특산식물, 침입외래식물을 대상으로 전국분포정보 및 DMZ일원 분포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토대로 희귀 특산식물에 해당하는 보호종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는 IUCN 적색목록기준 의 국내수준 및 DMZ일원의 희귀 특산식물의 등급을 CR종 3점, EN종 2점 VU종 1점으로 점수를 평가한 뒤 국내 분포 지역수(IUCN red list criteria B)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호우선순위를(I$10,576.9km^2$) 대비 종 분포면적의 0~20% 1점, 21~40% 1.5점, 41~60% 2점, 61~80% 2.5점, 81~100% 3점으로 분포등급을 평가한 뒤 생태교란종(14분류군) 및 산림침입종(181분류군)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관리우선순위를(I

  • PDF

오차항이 이분산성을 가지는 일원분류 모형에서 일반 F-검정의 유의수준에 관한 고찰

  • 김기환;이준영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5-171
    • /
    • 2000
  • 일원분류 모형에서 표준 F-검정을 하기 위해서는 오차항에 대한 등분산성을 가정한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가정은 지켜지기 힘들며, 이에 더불어 관찰치가 각 집단별로 일정하지 않고 불균형한 경우에는 F-검정의 유의수준이 지정된 값을 만족시키지 못하며, 따라서 검정력에 관한 분석은 의미가 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등분산성이 지켜지지 않고, 자료가 불균형한 경우, 현실적인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F-검정의 유의수준 유지라는 문제가 어 떤 변화를 겪게 되는지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유의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어떤 식의 조정이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 PDF

창덕궁 후원 존덕정 일원 지당의 변형과 조영경위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Ponds and the Account of Reconstruction at Jondeokjeong Area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 정우진;송석호;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86
    • /
    • 2013
  • 본 연구는 고종 연간 변형된 창덕궁 존덕정 일원의 지당을 대상으로 변모된 내용과 경위를 구명하고 조선시대 궁원 조영의 통시적 차원에서 이의 내적 맥락을 고찰한 것이다.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존덕정 일원의 지당이 변형되기 시작한 시점은 19세기 후반에 촬영된 사진과 "고종실록"의 기록을 근거로 고종 21년(1884년)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개축 존덕정 일원의 지당은 향원지와 유사한 공간구성을 갖도록 정비되어 갔던 바, 고종이 창덕궁 환어 후 착수한 존덕정 일원 지당의 개조는 경복궁 건청궁과 향원지의 정감을 재현한 결과물로 판단된다. 셋째, 개축 존덕정 일원 지당의 교량은 연경당과 존덕정 영역을 통합하는 후원 기능 확장의 방편으로 활용되었다. 이것은 경복궁에서 건청궁이 향원정을 잇는 취향교를 통해 일대의 공간을 점유했던 방법과 같았다. 넷째, 고종때에 조성된 존덕정 일원 지당과 향원지는 연경당과 건청궁의 이용을 전제로 한 것이었으며, 나아가 두 일곽의 위상을 반영한 것이었다. 다섯째, 개축 존덕정 일원의 지당은 단순히 고종의 경관을 감상하는 취향에 따라 필요한 공간을 조성한 것이 아니라, 선대부터 전승되어온 후원정당의 맥락상에 있는 조영체로 판단된다.

행사 - '창조의 빛'으로 재탄생하는 2012청주직지축제

  • 조갑준
    • 프린팅코리아
    • /
    • 제11권9호
    • /
    • pp.102-103
    • /
    • 2012
  • 2012청주직지축제가 '1377창조의 빛'이라는 주제로 9월 18일부터 23일까지 6일간 청주고인쇄박물관과 흥덕사지 일원에서 펼쳐진다. 특히 올해는 직지의 날인 9월 4일을 전후해 예술의전당 일원에서 개최했던 예전과는 달리, 가을빛이 완연한 9월 중하순에 고인쇄빅물관과 흥덕사지로 핵심무대로 옮겨 참여와 소통이 살아있는 즐기는 축제를 계획함으로써 더욱 주목받고 있다.

  • PDF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3호통권20호
    • /
    • pp.12-29
    • /
    • 1992
  • 한국주택협회는 ''91. 12. 서울 노원구 상계동 일원의 ''상계2지구''와 부산 북구 금곡동 일원의 ''금곡 3지구''등 28개지구 403만평의 토지를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하였음. 금회 지정지구에는 총 133천호의 주택이 건설될 예정이며, 7차 5개년계획 기간중 매년 50만호 이상의 주택건설계획에 따른 소요택지의 공공부문 신규택지공급을 위한 물량의 택지를 확보하게 된 것임.

  • PDF

불균형일원변량모형에서 분산성분비율의 추정

  • 이장택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4권3호
    • /
    • pp.611-616
    • /
    • 1997
  • 불균형일원변량모형에서 분산성분비율의 점추정에 관한 문제가 고려되어진다. 분산성분비율에 대한 새로운 추정량이 제안되며, 분산성분비율에 대한 여러가지 점추정량과 제안된 추정량을 평균자승오차(MSE)의 관점에서 추정량들의 효율성을 모의실험을 통하여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추정량은 수준의 수가 크고 불균형정도가 매우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 다른 추정량들보다 훨씬 MSE 효율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 PDF

택지개발 예정지구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3호
    • /
    • pp.69-72
    • /
    • 1991
  • $\cdot$ 건설부는 ''91.4 부산 영도구 동삼동 일원의 ''부산영도지구''와 해운대구 중동 일원의 ''해운대(2)지구'' 등 11개지구 204만평의 토지를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하였음. $\cdot$ 금회 지정지구에는 총 55천호의 주택이 건설될 예정이며 200만호 주택건설계획에 따른 공공부문 택지공급 목표물량인 4,762만평에 대한 $141{\%}$ 수준의 택지를 확보하게 된 것임.

  • PDF

최북단 백두대간(향로봉~구룡령) 능선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Ridge of the Northernmost Baekdudaegan Mountains(Hyangrobong~Guryongryeong))

  • 오현경;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4호
    • /
    • pp.347-37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대간의 향로봉에서부터 구룡령까지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백두대간의 산림생태계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체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은 95과 321속 549종 4아종 70변종 10품종 등 633분류군이며, 향로봉 일원은 285분류군, 마산봉 일원은 256분류군, 설악산 일월은 318분류군, 점봉산 일원은 281분류군, 북암령과 오색천 계곡 일원은 173분류군, 쇠나드리 일원은 197분류군, 연가리골 일원은 203분류군, 구룡령 일원은 16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은 한계령풀과 자주솜대 2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의 경우 눈잣나무, 닻꽃, 눈향나무 등 39분류군이며, 멸종위기종(CR)은 2분류군, 위기종(EN)은 7분류군, 취약종(VU)은 10분류군, 약관심종(LC)은 18분류군, 자료부족종(DD)은 2분류군이다.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홀아비바람꽃, 해변싸리, 고려엉겅퀴, 분취, 지리대사초 등 23분류군이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48분류군이며, 특산식물은 17분류군, 남방계 식물은 1분류군, 북방계 식물은 30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유럽점나도나물, 개양귀비, 미국가막사리, 호밀풀 등 32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3분류군이다.

부산시 금정산 일원의 지하수 유동 해석을 위한 단열계 분석 (Fracture Analysis for Evaluation of Groundwater Flow around the Geumjeong Mountain, Busan)

  • 손문;함세영;김인수;이융희;정훈;류춘길;송원경
    • 지질공학
    • /
    • 제12권3호
    • /
    • pp.305-317
    • /
    • 2002
  • 금정산 일원 지하수 유동 체계를 밝히기 위하여 지질 및 지질구조도 그리고 소규모 단열들의 분류와 각각의 밀도도 작성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금정산 정상부 산성마을 일원은 집수 분지를 형성하고 있어 인근 지하수의 주요 함양지로 판단된다. 또한 산성마을 일원에는 남북방향의 단층 그리고 동북동방향의 단층들이 교차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남북방향 단열군과 동서방향 단열군이 높은 빈도 이상대를 보이고 있어 지표수가 쉽게 지하로 유입될 수 있는 지질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산성마을 일원에서 함양된 지하수는 주요 단열군의 밀집 지역을 따라 지하 3~4 km 깊이까지 순환한 후 온천1동 동래온천 지역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양춘사 추출물이 HepG2 세포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momum Villosum Extracts on Cholesterol Synthesis in HepG2 Cells)

  • 김하림;김예슬;최한별;우수현;권강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7-31
    • /
    • 2024
  • Dried fruits of Amomum villosum Lour. have been used an korean medicine to treat digestive diseases for a long time. It has been reported that Amomum villosum extracts(AVE) have effects for diabetes and steatosis in experimental models. But we did not find the report about the cholesterol synthesis inhibition effects of A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nhibitory effect of AVE against oleic acid and glucose-induced hypercholesterolemia in HepG2 cells. The results show that AVE ha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against oleic acid and glucose-induced cholesterol accumulation. Those effects seem to be caused by inhibition of AVE on oleic acid and glucose-induced decrease of HMG CoA reductase, which is the rate-limiting enzyme for cholesterol biosynthesis in liver.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 drug and functional food development of hypercholesterolemia trea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