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본 소비자

Search Result 27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일본의 IT에 관한 법제-각론

  • Lee, Eung-Bong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1
    • /
    • pp.96-105
    • /
    • 2002
  • 일본의 인터넷 보급인구는 2000년에 약 5,000만명(모바일 이용 포함), 전자상거래 금액은 B2C(기업대 소비자) 8,240억엔, B2B(기업대 기업) 21조 6,400억엔을 상회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제외국에 비하여 IT 관련 법정비의 지연이 두드러지며, IT를 사용하는 국민생활이나 기업활동을 안정화할 수 있는 환경이 정비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00년 7월 IT 전략회의의 발족 이후, (5년 이내에 세계 최고의 IT 국가를 달성한다)라고 하는 슬로건과 함께 IT와 관련된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고 종래의 법률에서 IT 보급의 저해요인이 된 법률의 개정에 착수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법률 및 법안을 중심으로, 동시에 전자상거래에 있어서의 세제의 문제와 저작권의 문제에 관해서도 알아보기로 한다.

  • PDF

일본 계란생산 이력시스템 도입 가이드라인(1)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7 no.6 s.428
    • /
    • pp.82-85
    • /
    • 2005
  • 본고는 일본에서 소비자들의 신뢰확보를 위해 계란의 생산이력시스템 도입이 요구되어짐에 따라 지난해 말 (2004년 11월 30일) 일본의 (사)식품수급연구센터에서 계란생산 이력시스템 도입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한바 있다. 본가이드라인은 정부, 학계, 업계, 생산자단체, 조합 등 9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2004년 7월 21일부터 4차례에 걸친 협의회를 거친 결과 도출한 내용이다. 따라서 본 내용을 국내에 소개하여 양계(계란)산업에 도움을 주고자 축산연구소 영양생리과 황보종 박사가 수집, 번역한 원문내용을 게재한 것이다.

  • PDF

일본 계란생산 이력시스템 도입 가이드라인(2)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7 no.7 s.429
    • /
    • pp.138-145
    • /
    • 2005
  • 본고는 일본에서 소비자들의 신뢰확보를 위해 계란의 생산이력시스템 도입이 요구되어짐에 따라 지난해 말(2004년 11월 30일) 일본의 (사)식품수급연구센터에서 계란생산 이력시스템 도입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한바 있다. 본가이드라인은 정부, 학계, 업계, 생산자단체, 조합 등 9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2004년 7월 21일부터 4차례에 걸친 협의회를 거친 결과 도출한 내용이다. 따라서 본 내용을 국내에 소개하여 양계(계란)산업에 도움을 주고자 축산연구소 영양생리과 황보종 박사가 수집, 번역한 원문내용을 게재한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Re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in the Foreign Direct Sales Internet Shopping Mall - Focused on the Japanese Customers - (해외직판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 일본 소비자를 중심으로-)

  • Park, Suk-Joon;Hwang, K.T.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199-21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in the foreign direct sales shopping malls, focusing on the Japanese customers. Research model of the study is composed of seven independent variables (price competitiveness, product diversity, reputation, country-of-origin image, ease of use, delivery service, after service), a mediating variable (trust) and a dependent variable (re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rust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repurchase intention of customers. Customers' trust is affected by the reputation, country-of-origin image, ease of use, delivery service, after service. However, price competitiveness and product diversity, which are hypothesized to affect the trust,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foreign direct sales area. In addition, it will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useful in launching and/or operating the foreign direct sales malls.

일본 자판기 자주 가이드 라인

  • Korea Vending Machine Manufacturers Association
    • Vending industry
    • /
    • v.6 no.3 s.18
    • /
    • pp.94-96
    • /
    • 2006
  • 일본을 자판기 산업 선진국이라 하는 데는 그저 우리나라 8배에 달한다는 산업외형만에 있지 않다. 이 보다 더 중시해야 할 부분은 자판기 산업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무엇보다 중시하고 산업계 자율적인 대책강구에 대한 노력을 아끼지 않는 다는 점에 있다. 자판기가 가질 수 있는 사회적 위해 요인을 최소화하고 실생활과 소비자들에게 보다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산업계가 많은 노력을 해왔기에 현재의 일본 자판기 산업이 있을수 있었다. 이 같은 사실을 여실히 엿볼 수 있는 게 "자판기 자주 가이드 라인"이다. 이 제도는 청량음료자판기 운영에 있어 "안전"이나 "안심"을 위한 대책이나, 자판기 소비 에너지의 절감, 사용 후의 적정 폐기, 사용이 끝난 용기의 산란 방지 등 자판기의 적극적인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그런데 이 같은 자주 가이드 라인의 필요성 단지 이웃나라 일본에만 해당이 될 까.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도 자판기 산업이 성숙기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지금까지는 산업의 양적인 성장에만 치중해 왔지만 앞으로 자판기의 적극적인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고서는 분명한 성장 한계를 맞을 수밖에 없다. 보다 멀리 보는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일본의 "자판기 자주 가이드 라인"을 잘 참조할 필요가 있다. 이런 취지에서 현재 일본에서 적극 시행 중인 "자판기 자주 가이드 라인"의 전문을 게재했다.

  • PDF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Risk Perception and Risk Taking Behavior to Japanese Fishery Products: Focused on Affect Factor (일본산 수입 수산물에 대한 위험인식, 섭취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감정요인을 중심으로)

  • Joo, Jungmin;You, Myoung-Soo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1 no.3
    • /
    • pp.167-175
    • /
    • 2016
  • After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Korean government banned to import of Japanese fishery products that comes from north region of Japan. As 'fishery product trade dispute' between Korea and Japan is still in progress, consumers have been threatened their food safety.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risk perception to Japanese fishery products and risk taking behavior. Survey was conducted with 1,500 adult during sep-oct 2012. The result can represent the role of affect with risk perception of Japanese fishery product. People who have negative affect to Japanese fishery products have higher risk perception. Also negative affection can influence to risk taking behavior. However the degree of fatalism is not significant factor to risk taking behavior.

Consumer's Awareness and Preference on Brand Shopping Bag Design's Eco-friendly Resource (세미나 - 브랜드 쇼핑백 디자인의 친환경적 소구에 대한 수용자 인식과 선호도)

  • Yang, Cho-San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45
    • /
    • pp.98-112
    • /
    • 2013
  • 친환경 디자인이란 환경과 생태적 측면을 고려한 제반 디자인 활동이나 경향을 의미하며, 최근 많은 기업체에서 친환경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일반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 쇼핑백 디자인의 재활용 여부와 경험, 횟수, 관심도, 조형성 평가를 통해 주요 3개국(한국, 일본, 미국) 백화점 쇼핑백에 대한 일반소비자들의 친환경적 소구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연구결과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연구범위를 주요 3개국 고급백화점으로 제한하였으며, 분석 대상업체의 개수를 한국 4업체, 일본 4업체, 미국 6업체 등 최종 3개국 14업체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통계분석(spsswin18.O)하였다. 본 고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통권 제24호에서 발췌했다.

  • PDF

식약청 벌꿀제품 관련 업무협조 요청 내용(‘1세미만 영아에게 가급적 벌꿀을 먹이지 마십시오’ 문구 표시)

  • 한국양봉협회
    • The Korea Beekeeping Bulletin
    • /
    • s.292
    • /
    • pp.14-15
    • /
    • 2005
  • 최근 한국 소비자 보호원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국산 및 수입벌꿀 30종을 수거$\cdot$검사한 결과, 국산 벌꿀에서는 보툴리눔균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미국의 경우 1976년부터 1996년까지 1,442건의 영아 보툴리누스증 발병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미국과 일본 등의 보건당국에서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영아 보툴리누스증은 면역력이 완전히 갖추어져 있지 않고 위산의 산도가 약한 1세미만의 영아가아포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linum)이 함유된 벌꿀을 섭취할 경우 발병할 개연성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보건기구(WTO), 미국 질병통제센터(CDC) 등에서는 1세미만의 영아에게 벌꿀을 먹이지 않도록 지도하고 있으며, 미국$\cdot$일본 등에서는 일부 벌꿀제품에 영아 보툴리누스증과 관련한 주의문구를 업계에서 자율적으로 표시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이에, 식약청에서는 관련 주의 문구 표시에 대한 국제적 기준 및 제외국의 규제 사례등을 검토하고 있으며, 우선적으로 각 시$\cdot$도, 지방청 및 관련단체는 벌꿀 섭취로 인한 영아 보툴리누스증이 발병하지 않도록 사전예방하고, 소비자 보호차원에서 벌꿀제품에 '1세미만 영아에게 가급적 먹이지 마세요'라는 내용의 표시를 업계에서 자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

  • PDF

The Impact of Country Image on the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u, Shuai
    •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 /
    • v.8 no.1
    • /
    • pp.43-52
    • /
    • 2010
  • Country images of Korea and Japan based on economic development, education level, goods' quality, R&D,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quality of life, perceived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Beijing, Shanghai and Shandong province of chinese emerging markets as the representative of a potential buying power group, are surveyed, which, then are used to study how the perceived country images effect on their purchasing intention for Korean and Japanese products, such as, foods, cars, fashions, music CDs, electronic products and living goods. The study shows that, in chinese emerging markets, country image a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each products differently. The country image of Korea was less influential than that of Japan on the Chines students' purchasing intention for the goods other than the electronic goods. Despite the small number of the sample,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country image in the in chinese emerging markets and suggested the need for bot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to take a strategy to enhance the country image by fin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elements of country image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certain product.

  • PDF

Sensory Characteristics of Noodles by Descriptive Analysis (묘사분석에 의한 면의 관능적 특성 연구)

  • Son, Eun-Shi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7
    • /
    • pp.292-30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11 noodles from four countries by descriptive analysis and consumer acceptance test. Noodle types were udon, pasta, kalguksu, and plain noodles. Fourteen sensory descriptor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noodle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noodles were sweetness, saltiness, springiness, hardness, chewiness, milk flavor, yeasty odor, milk powder flavor, loose particles, and so on. PCA conducted to visually summariz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noodles by consumer preference test revealed that 77.1% of the variance was positively defined by sweet,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moisture and was negatively defined by hardness, color, and floury taste. Yk_udng_KR, thin_KR showed high scores for attributes of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verall consumer acceptance was surveyed. Udng_KR scored the highest for attributes such as gusu. Udng_KR showed the highest springiness and high moisture, taste acceptance, and overall acceptance. Note: Please confirm this 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