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본 교육시설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일본, 한국, 대만의 도서관학 교육 비교연구 (LIBRARY EDUCATION IN JAPAN, THE REPUBLIC OF KOREA AND TAIWAN A COMPARATIVE STUDY(I))

  • 엄영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7권
    • /
    • pp.203-227
    • /
    • 198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한 문화적 배경을 공유한 일본, 한국, 대만의 도서관학 교육을 비교하여 유사점과 상이점을 발견하고 그들의 배경이유를 찾아서 사회와 도서관학 교육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비교의 대상이 된 교육기관은 4년제 대학(교)의 도서관학과로 일본의 다섯 대학교, 한국의 아홉 대학교, 대만의 네 대학교의 도서관학 교육을 비교하였다. 연구가 증명하려고 시도한 가설은, 1. 일본, 한국, 대만은 유사한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한편, 미국의 도서관학 교육을 받아들였으므로, 세 나라의 도서관학 교육에는 유사점들이 있을 것이다. 2. 상이점들이 있다면, 그것들은 각 국의 특성을 반영할 것이다. 3. 세 나라의 도서관학 교육에 유사점들이 있다면 도서관학 교육의 경향, 문제점들 및 전망도 비슷할 것이다. 가설의 증명을 위하여 교육의 목적, 교수진, 남$\cdot$여학생의 비율, 입학시의 학생들의 학력수준, 교과과정, 과정수료에 요구되는 특수조건, 교과서, 연구, 학과 도서실 및 시설, 학과와 도서관과의 협력관계, 정보학 교과목, 사회가 요구하는 도서관 봉사 및 그에 대응하는 도서관학 교육의 청도, 교육의 경향, 문제점 및 장래 그리고 학과 졸업생들의 도서관 취업률 등을 비교하였다. 비교의 결과 가설을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결론에 대한 설명과 아울러 도서관학 교육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1. 미국의 도서관학 교육이 근거로 한 이론적인 배경 및 개념을 재검토하여 적합한 것은 받아들이고, 필요한 경우에는 변형하여 적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미국과 다른 나라의 실제 도서관 업무 및 봉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사서와 교육자가 함께 자국의 상황에 적합한 고유한 도서관학을 정립하여야 한다. 2. 도서관 이용 및 봉사에 보다 관심을 기울이고 바람직한 개념을 홍보하고 그것에 호응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미래의 사서인 학생들을 이용자에게 접근하여 그들을 가르칠 수 있고 도서관을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끔 교육을 시켜야 할 것이다. 3.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 실시되는 교육제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4. 도서관 및 도서관학 교육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다른 전문직과 같은 대우를 받으려면, 국가고시제도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5. 도서관협회가 도서관학 교육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사서 자격증을 관할하는 단체가 될 수도 있고 교육의 내용에도 관여할 수 있다. 6. 도서관학과와 도서관과의 협력관계가 보다 강화되어야 하며, 도서관현장을 토대로 한 연구활동이 필요하다. 진정한 의미의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활동이 없이 이론적, 실제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7. 대학(교) 도서관 및 특수도서관의 사서를 위한 전문교육은 대학원 수준에서 제공되고, 학부의 도서관학 교육은 학교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의 사서를 위한 교육으로 전문화되어야 한다. 8. 도서관학의 교육자들이 모여 문제를 토론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세 나라가 공동의 경험을 나누고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공식적인 회의나 학회의 구성이 필요하다.

  • PDF

한국과 일본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의 식생활교육 내용 비교 (A South Korea-Japan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in the National Child-care Curriculums and Evaluations)

  • 서현선;전홍주;민선혜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9-178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보육시설 평가지표의 식생활교육 내용을 비교하여, 양국의 식생활교육의 특성을 알아보고 한국 식생활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은 표준보육과정, 누리과정 원본과 해설서 및 지침서 그리고 어린이집 평가인증통합지표를, 일본은 2018년 개정된 보육소보육지침해설과 제삼자평가지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의 경우 보육과정과 평가에서의 중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과정은 영양 및 식사예절 등 바르게 먹기의 내용 구성 비중이, 평가지표는 청결 및 위생에 대한 내용 구성 비중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의 경우 국가수준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는 일관적으로 즐겁게 식사하기 관련 내용이 강조되었고, 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식생활교육 접근 방식에 있어 한국은 음식에 관한 지식중심으로, 일본은 일상적 체험을 통해 식생활교육 내용을 접근하였다. 즉, 한국의 교육은 영양과 식사예절 관련 지식을 통해 바르게 먹기를 지향하고 있으며, 일본은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통해 함께 즐기며 식사하기를 지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어린이집에서의 식사지도 개선을 위한 방향성과, 즐겁게 먹기 강조를 위한 일관성 있는 보육과정 및 평가지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Advanc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Japan: A Review Paper

  • Mori, Masanori;Morita, Tatsuya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4호
    • /
    • pp.283-291
    • /
    • 2016
  • 지난 10년 동안 암 관리법에 의한 국가 정책에 따라 일본에서는 호스피스 및 완화의료가 급속히 발전해왔다. 완화의료 시설 및 입원 환자의 호스피스, 병원의 완화 의료팀, 가정 호스피스 기능을 갖춘 진료소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가 협회로부터 완화의료 전문가로 공인된 의사, 간호사, 약사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학부, 대학원 및 계속적인 의학 교육을 통해서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의 기회를 표준화하고 보급하기 위한 공동 노력이 이루어졌다. 일본의 연구 활동은 말기 섬망, 말기 탈수증, 완화적 진정, 임종 환자의 의료, 예후, 의사 소통, 정신 종양학, 지역적인 완화의료 프로그램의 분야에서 현저하게 기여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일본에서의 주요 완화의료 환경, 특성, 국가 협회, 교육, 완화의료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일제 강점기 관립 중등학교 특별교실에 관한 연구 -국가기록원 소장 학교건축 도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ecialized Classrooms of Governmental Secondary School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Focused on Architectural Drawings for Collected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

  • 이정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476-2483
    • /
    • 2014
  •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총독부 생산의 학교건축 도면 분석을 통해 일제 강점기 관립 중등학교 특별교실의 계획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당시 일본의 과학교육 진흥책의 영향으로 과학교과용 특별교실은 필수시설들 중의 하나로 계획되었으며 이화학교실과 박물교실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2) 이들 교실에는 준비실, 기계실, 표본실 같은 부속실이 설치되며 이론 강의 및 실험시연을 위한 계단교실이 별도로 설치되기도 하였다. 3) 과학 교과 특별교실은 설비 및 안전상의 이유로 다른 시설들과 이격하여 계획하는 경향이 강했다. 4) 예술교과용 특별교실 중 도화실은 남녀학교 모두 설치 빈도가 높은 편이나 음악실의 경우 여학교에서는 특별한 건축 계획적 고려 하에 만들어진데 비해 남학교에서는 설치에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5) 가사교과용 특별교실은 여학교에서는 남학교의 과학교과 특별교실만큼 비중이 있는 시설로 계획되었다. 6) 기타 교과용 특별교실로 한국인에 대한 실업교육 위주의 차별적 교육정책을 상징했던 수공실이 설립년도가 빠른 한국인 학교들에서 계획되었으며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일부 일본인 학교에 지리역사교실이 계획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은 관립 중등학교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지만 특별교실이 일반화되지 않았던 당시의 교육시설 상황을 고려하면 국내 학교 건축에 특별교실이 이입되었던 초기 양상들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외 재난원인조사기관의 전문인력 교육 사례 조사 연구 (A Case Study on the Institute of Disaster Causes Investigation)

  • 박남희;여욱현;이지수;정군식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372-37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재난원인조사기관의 전문인력 교육 사례를 조사하여 조사인력의 전문적 역량을 확대하고 인력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자료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안전보건공단, 한국시설안전공단, JNIOSH(일본) 등의 관계자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조사항목은 사고조사인원의 전문성 정도 및 확보 방안, 사고조사인원의 전문성을 위한 교육 여부/목적/내용/중점 방향/교육체계, 사고조사인원의 관련 자격증, 조사 전문인력의 역량 강화를 위한 전문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등이다.

  • PDF

일본의 다양한 폐교 재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ycling of the Closed Schools in Japan)

  • 이을규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3-2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ndamental data and establish policies for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in Korea. The closed schools have been increased in Korea because not only the birth rate, and the number of students have been decreased, but also a greate number of people have moved to big cities or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explores the current circumstance of Japan where experienced the similar phenomenon before Korea ha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ason for the closed schools in Japan is a decrease in population due to the urbanization and reducing students themselves by aging. The recycling proportion of the closed schools is only approximately 62% in Japan. It means that fewer facilities have been recycled due to the transfer of the managemental departments and the lack of budgets for purchasing the closed schools. As the number of children decreases, but elderly people increases as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examine the transition of the closed schools to new facilities for the elderly people. Even though the number of children had been declined, and it is recently turning back to an increasing of the residential children in 23 districts of Tokyo, there are still existing many closed schools.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the decrease of the children and residential areas due to the aging and urbanization. For these reasons, there are many diverse demands for the practical and valuable recycling of the closed schools. However, it seems that there are few cases of successful disposal or transfer of management to other suitable mini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losed schools to be remodeled the facilities required by current residents.

국민학교(國民學校)의 다목적(多目的) 스페이스에 대한 건축계획적(建築計劃的) 연구(硏究) - 일본(日本)의 다목적(多目的) 스페이스 설치(設置).이용(利用)의 현황(現況) 분석(分析) - (A Study on the Open Space in the Elementary School from the Standpoint of Architectural Planning - An Analysis of the Situations of Establishment and Using Method of the Open Space in Japan -)

  • 류호섭
    • 교육시설
    • /
    • 제2권2호
    • /
    • pp.27-39
    • /
    • 1995
  • It is a well-known fact that most of the Korean school buildings has been adjusted by the standard plan according to the united and unified teaching method ever since the modern education started. However, seeing the recent growth of care for the open education, the effort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 in school fileds, the practice of the 6th education plan and the education reforma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high time to change. As the number of schools which practice the open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since in 1985 in this atmosphere, there have also appeared elementary schools with the open school building. But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school building and the open space is not enoug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general spacial conditions, such as the fresh and diverse types of learning method and their development and the concept of the open space along with its types, application, size, and constition by studying, from the standpoint of the building plan, the elimentary schools of a new type in Japan which adopted the open space 20years earlier than in Korean. This study can offer helpful suggestions as to the Korean school building because our situation is very similar to the early stage where the open space is adopted to the school building.

  • PDF

학교건축의 친환경적 계획수법에 대한 사례연구 - 미국, 일본, 한국의 학교건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xamples of Eco-Friendly School Design - Focusing on School Facilities in USA, Japan and Korea -)

  • 이지영;이경선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14
    • /
    • 2011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and lessons in eco-school planning techniques and sustainable design methods by analyzing comparatively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cases of sustainable schools in US, Korea and Japan.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for school facilitie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s categorized into external environment, energy, materials and resources, and indoor environment. From the case study, it is common that roof garden and biotopes are installed for external environment, while energy saving, passive energy utilization methods for natural lighting and ventilation such as arrangement planning, courtyard, top-light, shading devices, solar panel and insulation by roof garden are most frequently used. Also, storm water uses, water saving equipment and sustainable materials are often introduced for resource savings. Concerns for indoor environment is frequently addressed by introducing natural light and ventilation in the buildings, which makes ultimately a comfortable space.

  • PDF

명치기(明治期) 일본(日本) 소학교건축(小學校建築)의 표준화 과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문부성 제정 표준도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Stereotyped Japanese Elementary School in Meiji Era - Focusing on the Standard Drawings by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

  • 이정우;심우갑
    • 교육시설
    • /
    • 제15권2호
    • /
    • pp.27-38
    • /
    • 200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Japanese elementary school architecture in Meiji Era, in which Japanese modern education system was settled down and the school architecture flourished by mass construction of stereotyped school buildings. It is assumed that stereotyped school architecture 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tandard drawings made by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therefore standard drawings could be a ke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reotyped school buildings in Meiji Era.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4 standard drawings and interpret it in relation to regulations and design guidelines for school architecture in that time.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stereotyped school architecture in Meiji Era are clarified in several categories. They are as follows : the deviation of classroom and corridor, the change of classroom size fixing to 4 kan(間) by 5 kan(間), the absolute use of north-lacing single corridor type block-plan, and the change of other space such as waiting room(控所), special instruction room, auditorium and gymnasium.

일본(日本) 학교도서실(學校圖書室)의 배치유형(配置類型)과 공간구성(空間構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 센다이시(仙台市)의 학교도서실(學校圖書室)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Japanese School Libraries - Focused on School Library in Sendai City -)

  • 허영환;이상호
    • 교육시설
    • /
    • 제12권2호
    • /
    • pp.5-13
    • /
    • 2005
  • The school library plays an important role to improve the student's mental activity and cultivate the formation of character and emotion. Especially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students must collect, select and utilize the necessary information themselves. The school library has to collect, put in order and keep the book, audiovisual material and necessary information beyond it about the entire education and to offer the students and teachers them for the general school education. The school library has to be a center of school education and drive forwards the spontaneous and subjective learning activity as well as progress the education process. The school library must be the place to preserve the student's subjective study ability, that is, consolidate the materials as the study center and be composed of proper study materials for the solving-problem and research. Also to be perfect in the role of the information center, the school library has to be consolidated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various information softwares and ways including the newspaper, magazine, video, CD, laser disk and computer. It is required for the information of school library to be corresponded actively to the multi-media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