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본 결혼이민 여성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 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Married Immigrant Women's Social Networks and Life Satisfaction in Korea: The Case of Women from China, Vietnam, and Japan)

  • 김경미
    • 한국인구학
    • /
    • 제35권2호
    • /
    • pp.185-208
    • /
    • 2012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이 한국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회연결망을 가족 연계, 정서적 연계, 모임 수준으로 구분했으며, 2009년 전국조사 자료를 이용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가족연계 변인 중에서는 모국가족 접촉 빈도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동거가족 크기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본국 가족의 지지망은 물리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작동하고 있는 한편, 한국 '가족'은 지지망으로 작동하는데 한계를 보였다. 또한, 정서적 연계 분석에서는 '교량적 강한 연계의 힘'이 부각되었다. 이 점은 종족 및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사람과 가족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활해야 하는 여성 결혼이민자에게 나타나는 특성으로 보인다. 모임 분석에서는 본인가족과 배우자가족 모임 변인의 효과가 강조됐으며, 국적별로 분리했을 때 다소 흥미로운 결과가 발견되었다. 즉, 한국 거주 기간이 가장 긴 일본 출신의 경우 비가족 모임 연결망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혼이주 초기에는 가족연결망이 생활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결혼이주 기간이 늘어날수록 다른 사회연결망의 효과 역시 유의미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일본 결혼이민 여성의 전통복식 문화적응태도 및 착용실태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Donning Practices of Traditional Dress Among Japa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 김순영;추호정
    • 복식
    • /
    • 제65권6호
    • /
    • pp.63-78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culture adaptive attitudes and traditional dress donning practices among Japanese women who immigrated to Korea after marrying Korean men.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Korean-Japanese multicultural families. Participants were 233 married women who emigrated from Japan to Korea currently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Hanbok acceptance attitudes(HAA) and Kimono transmission attitudes(KTA). Both HAA and KTA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thnic identity. 43.3%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y belonged both to Korean and Japanese ethnicity, 30.5% to Korean ethnicity, and 26.2% to Japanese ethnicity. Similar tendency (64.8% to bicultural identity, 31.3% to Korean, and 3.9% to Japanese) was found in the ethnic orientation towards their children. Both HAA and KTA had no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nationality, education and income level. Second, 70.4% of women had no experience of wearing Hanbok, and 90.1% had no experience of wearing Kimono. The women mostly wore Hanbok and Kimono for social events and family weddings.

한국 여성결혼이민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위험요인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Health Risk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 Kim, Hye-Kyeong;Yoo, Seung-Hyun;Cho, Seon;Kwon, Eun-Joo;Kim, Su-Young;Park, Ji-Youn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9-89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외국인 여성결혼 이민자의 건강위험 요인 및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서 향후 외국인 여성결혼 이민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지원 및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지역 보건소 및 동.면사무소 등에 등록된 외국인 여성결혼 이민자 중보건복지가족부의 무료건강검진사업 참여자 3,069명이다. 건강검진은 한국건강관리협회 15개 지부에서 2008년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간 실시하였으며, 기초, 소변, 간기능, 당뇨, 고지혈증, 빈혈 등 총 21개 검사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검진과 함께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한 건강행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인구사회통계학적 특성, 식습관, 흡연 및 음주 습관, 신체활동 및 정신건강상태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국어, 영어, 중어, 베트남어로 제작되었다. 결과: 결혼이민여성들의 건강문제는 연령과 출신국가에 따라 달랐으며, 건강행태 또한 출신국가, 연령, 한국 거주기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질환 의심률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유소견율이 증가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신국가별로는 필리핀 이주 여성의 질환의심율이 54.7%로 전체 평균인 43.6%를 크게 상회하였고, 베트남 여성의 질환 유소견율이 낮았다. 일본출신 여성이 다른 국가 출신에 비해 건강한 식습관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성결혼이민자가 주 1회 이상 음주하는 비율이나 현재 흡연율은 대체로 낮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땀이 베일 정도의 운동을 1주 동안 전혀 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72.3%에 달해 평소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37.1%가 지난 한달 간 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국적별로는 중국출신(43.7%)의 스트레스 경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생활습관과 질환유소견율 관련성에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비만(BMI) 및 고지혈증(총콜레스테롤) 유소견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질환위험이 높다고 인식하는 사람일수록 생활습관 개선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보였다. 결론: 결혼이민자의 건강특성은 연령, 거주기간별, 출신국가별로 다양하므로 이러한 개인적 특성에 맞는 차별화 된 건강증진 프로그램과 정책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결혼 이민자의 건강위험과 생활습관 실태 및 이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지속적인 검진과 연구가 수행되어 보다 실제적인 건강증진 전략개발을 위한 기초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조음에 나타나는 음향음성학 특성 연구 - 일본과 필리핀 출신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Spoken by the Women Immigrants from Japan and Philippine)

  • 조선희;김현기;김선준
    •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203-217
    • /
    • 2008
  • The number of Asian women immigrants in Korea is getting bigger and it's important to note that their communication problem in Korean causes not only the difficulty of adapting to Korean society but their children's speech-language disorder. To date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ir acoustics characters and articulatory error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acoustic characters and articulatory error patterns of the women immigrants from Japan and Philippine based on the theory of "contrastive analysis". The subjects were 16 Japanese women immigrants(age: 42.5$\pm$4.4) and 14 Philippine women immigrants(age: 31.64$\pm$6.7) a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10 Korean women(age: 28.3$\pm$1.2). Speech and hearing of all subjects and control group were within normal limits. Speech samples were analyzed in a computer using CSL and data analysis was done on FFT widow for F1, F2, F3 of vowels and on wideband spectrogram for VOT of plosives and africa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ike this; For Japanese women immigrants, they had different articulatory patterns of /e/, /a/, /u/, /o/, /$\varepsilon$/, /m/ from those of Koreans and showed articulatory errors on the fortis and aspirated sounds. The reason is Japanese has only two distinctive characters for plosives and affricates; voicing and voiceless. The Philippine women immigrants also showed the same error patterns as the Japanese women immigrants. Especially the errors on aspirated sounds were prominent because their mother tongue has no distinctive characters about aspirated sounds. For vowels, they showed errors of /a/, /o/, /c/.

  • PDF

농촌거주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과정에 대한 문화기술 (Ethnography on the Adaptation Processes of Japa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o Community in Rural Areas)

  • 안효자
    • 정신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4-40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scribe cultural meanings for married Japanese immigrant women in rural Korean communities. Methods: The informants were 10 women in rural area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017 to June 2018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analyzed using text analysis and taxonomic methods developed by Spradley. Results: The meanings of adaptation were classified into five cultural domains: Practicing the doctrine, accepting the difference, redemption, true home, and confronting reality. The subthemes according to meanings of adaptation were comprised of international marriage with a sense of calling, bearing with sense of duty, and making a living substantively. The subthemes in this study reflect the process of adaptation. The cultural themes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were overcoming differences and conflicts between Korea and Japan to achieve true family. Conclusion: The adaptation processes of married Japanese immigrant women included making their living reality known and recognizing the times when exchange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cannot exist within a hostile composition.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Pertain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among Immigrated Women in Korea)

  • 최혜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163-194
    • /
    • 2009
  • 본 연구는 문화적응에 대한 다차원적 이론을 근거로, 문화적응유형을 주변화, 분리, 동화, 통합유형으로 구분하여, 첫째, 이주여성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의 차이를 밝히고, 둘째,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을 판별하는 특성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사회조사연구로 설계되었으며 346명 이주여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은 주변화유형이 37%, 통합유형이 30%, 분리유형 18%, 동화유형이 15%인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국적, 낮은 연령, 낮은 교육수준, 유배우자는 통합유형, 긴 거주기간, 많은 자녀수, 낮은 회복력은 동화유형 이주여성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북한 중국 일본국적, 높은 연령, 높은 교육년수, 직업 없음, 무배우자, 낮은 대처능력은 주 변화유형, 그리고 높은 연령, 높은 교육년수, 배우자와의 적은 연령차, 적은 수의 자녀는 분리유형 이주여성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동남아시아 국적, 연령, 교육년수, 유배우자, 자녀의 수는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을 유의미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특성은 통합유형의 80% 이상을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문화적응유형별로 해당 이주여성의 공통된 특성을 도출하여 이주문화습득과 원문화유지의 위험요인을 규명해야 하는 필요성과 이주여성의 통합적 문화적응을 위해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식생활적응 정도에 따른 식생활 및 건강 특성 (Japa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by Level of Dietary Adaptation after Immigration to Korea)

  • 아사노가나;윤지현;류시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65-77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apa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after immigration to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with Japanese women married to Korean men and having one child or more aged 7 to 18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from 243 women during the summer of 2014. A total of 20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39 questionnaires with a high percentage of incomplete responses (84% analysis rate). Over 85% of respondents were the members of the Unification Church, and over 92% of respondents had stayed in Korea for longer than 10 years. Based on the overall mean score for dietary adaptation level (3.68 out of 5 points),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low dietary adaptation group (mean score 3.12) and high dietary adaptation group (mean score 4.19).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high dietary adaptation group reported higher percentages of decreasing consumption in processed food, confectionary, and bread than the low dietary adaptation group after immigration to Korea. A higher percentage of respondents in the high dietary adaptation group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as good and reported changes that led to a healthier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 Korea compared with those in the low dietary adaptation group. In conclusion, Japa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ll adapted to Korean dietary life tended to eat healthier and perceive health status better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well adap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prospecting dietary life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immigrant women in the long term after immigration to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