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Characteristics Pertaining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among Immigrated Women in Korea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 Choi, Hye-Ji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eoul Women's University)
  • Received : 2008.11.21
  • Accepted : 2009.01.30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presented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an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which discriminated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among immigrated women in Korea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on acculturation. The study was designed as a social survey study. Data from 346 immigrated women were analyzed. Findings indicated that 37% of the respondents were marginalization, 30% were integration, 18% were segregation, and 15% were assimilation. Integration was associated with Vietnam nationality, younger age, lower level of education. Assimilation was related to longer period of residence, higher number of children, lower level of resilience. Marginalization was associated with North Korea, Japan, China nationality, older age, higher level of education. Segregation was related to older age, higher level of education, lower number of children. Also, Southeast nationality, age, level of education, spouse, and number of children significantly discriminated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Especially, the rate of correct discrimination was 80% only for integration.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문화적응에 대한 다차원적 이론을 근거로, 문화적응유형을 주변화, 분리, 동화, 통합유형으로 구분하여, 첫째, 이주여성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의 차이를 밝히고, 둘째,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을 판별하는 특성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사회조사연구로 설계되었으며 346명 이주여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은 주변화유형이 37%, 통합유형이 30%, 분리유형 18%, 동화유형이 15%인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국적, 낮은 연령, 낮은 교육수준, 유배우자는 통합유형, 긴 거주기간, 많은 자녀수, 낮은 회복력은 동화유형 이주여성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북한 중국 일본국적, 높은 연령, 높은 교육년수, 직업 없음, 무배우자, 낮은 대처능력은 주 변화유형, 그리고 높은 연령, 높은 교육년수, 배우자와의 적은 연령차, 적은 수의 자녀는 분리유형 이주여성의 특성으로 나타났다. 동남아시아 국적, 연령, 교육년수, 유배우자, 자녀의 수는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을 유의미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특성은 통합유형의 80% 이상을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문화적응유형별로 해당 이주여성의 공통된 특성을 도출하여 이주문화습득과 원문화유지의 위험요인을 규명해야 하는 필요성과 이주여성의 통합적 문화적응을 위해 요구되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