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교실

Search Result 21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case study of post-stroke insomnia patient using conservative Korean medical treatment (불면을 호소하는 뇌실질내출혈 환자 치험 1례)

  • Kim, Gyeong-muk;Kim, Se-won;Seo, Yu-na;Jung, Woo-sang;Moon, Sang-Kwan;Jin, Chul;Cho, Ki-ho;Kwon, Seungwon
    •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Stroke on Korean Medicine
    • /
    • v.20 no.1
    • /
    • pp.1-8
    • /
    • 2019
  • A case of a 46-year-old Korean male with post-stroke insomnia that induced by intracranial hemorrhage was presented. He was treated with Transcutaneous electric acupoint stimulation (TEAS) at BL62 and KI6 once per a day for 17 days. We recorded the patient's sleep time and time of asleep, and used PSQI-K to assess severity of patient's insomnia symptom. After using TEAS, there was improvement in patient's insomnia severity and the time of sleep. From the result of this case, electrical stimulation at acupoint can may be effective in treating post-stroke insomnia.

  • PDF

A Study on the Optimum Size Calculation of Unit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Size of the Human Body and the Layout of Teaching Tools and Desks (인체치수와 교구배치를 고려한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규모산정계획에 관한 연구)

  • Kim Hak-Rae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4 s.66
    • /
    • pp.17-30
    • /
    • 2006
  • This study is for the size calculation of classroom based on the size of human body and teaching tools.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has been changed since 1960. It has been reflected on the size of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The new education curriculum-the 7th curriculum- demands various activities in classroom.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repealed the statute about the facilities of the schools on September in 1997. So we need to different size of unit space of the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size of classroom will affect the quality of education. It is generally known that a part of human body-size has an invariable proportion with human's status, age and weight.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nd out a part of human body-size of Korean. Then the size of classroom is calculated by the part of human body-size, teaching tools and the type of desk arrangement.

  • PDF

A Case Report of Coldness of Both Extremity Patient Using Conservative Korean Medical Treatment (사지말단의 냉감을 호소하는 수족냉증 환자 치험 1례)

  • Kim, Gyeong-muk;Jung, Min-ho;Son, Jung-hwa;Jung, Woo-sang;Mun, Sang-Kwan;Kwon, Seungwon;Cho, Ki-ho
    •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Stroke on Korean Medicine
    • /
    • v.18 no.1
    • /
    • pp.37-45
    • /
    • 2017
  • A case of a 66-year-old Korean male with coldness of both extremity that ruled out another mechanical and endocrinologic problem is presented. He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 十全大補湯(Sipjundaebo-tang, Juzentaihoto) and 柴胡桂枝乾薑湯(Sihogyejigungang-tang, Saikokeishikankyouto). We used SF-MPQ grading scale to assess severity of patient's symptom and DITI to measure patient's temperature. After Korean medical treatment, there was improvement in subjective symptom of patient and gap of lower extremity temperature. Korean medical treatment may be effective in treating coldness patients.

  • PDF

A tabu search For High-School Timetabling Problems (Tabu Search를 이용한 고교 시간표 자동 작성 개발을 위한 연구)

  • 김광석;정태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125-127
    • /
    • 1999
  • 고등학교 시간표 작성 문제는 학생, 교사, 학교, 일반 교실과 특별 교실 자원등 복잡한 제약조건과 요구사항이 있기 때문에 단순한 방법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렵다. 학생들은 다양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기를 바라고 교사들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수업하기를 바란다. 또한, 학교에서는 효율적인 인적 자원 활용과 일반 교실 및 특별실의 사용으로 인한 학교의 장학 능력과 경쟁력의 고양을 원한다. 따라서, 고등학교 수업 시간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의 다양한 문제를 최적의 시간표를 최적 탐색 문제로 정의하고, 이 문제를 휴리스틱 접근법인 Tabu Search 방법을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s on $PM_{10}$ Levels at Classrooms of High Schools in Ulsan (울산지역 고등학교 미세먼지 농도 특성)

  • Jung, Jong-Hyeon;Seo, Bo-Sun;Phee, Young-Gyu;Shon,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0-30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울산지역의 79개 고등학교 238개 교실을 대상으로 측정한 미세먼지($PM_{10}$)의 농도를 학교, 교실, 지역별로 평가하였다. 울산지역 고등학교 미세먼지($PM_{10}$)의 평균농도는 $63.8 \;{\mu}g/m^3$이었고 일반계가 $64.9 \;{\mu}g/m^3$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미세먼지($PM_{10}$)의 평균농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사립고등학교가 공립 고등학교 미세먼지($PM_{10}$)의 평균농도 보다 높았다. 또한, 남녀공학 교실의 미세먼지($PM_{10}$) 평균농도가 남고와 여고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학생들의 활동이 많은 일반교실의 평균 미세먼지($PM_{10}$) 농도가 특별실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유지기준 초과율도 특별실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 교실의 미세먼지($PM_{10}$) 농도가 2학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 PDF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한 초등학교 교실 환경개선사업의 만족도 및 필요도)

  • Hoon, Kim-Young;Nam, Kyung 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2
    • /
    • pp.269-276
    • /
    • 2020
  •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classroom space of elementary schools that have implemente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Dream Classroom' project and identify satisfaction and needs in terms of users. Primary school was selected and the composition and color of space was investigated by the present ministerial inspec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homeroom teachers and analyzed as SPSS/WIN Statistical Programme 22.0. The satisfaction level of space elements was verified by the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he general classroom and the 'classroom with dreams' difference in response t-test, the need for planning elements (criticality), and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one way ANOVA. The space had the most separate, primary-colored classrooms. They preferred emotional factors and bright and light atmosphere for the lower grades, and the soft and soft atmosphere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chool preferred communication space with the community, proper play and relaxation space for the complex type of classroom. This will help set the direction for elementary school classroom space planning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easibility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Kwanghee Middll School Building (서울 광희중학교 재개발계획 연구요약)

  • Min, Chang-K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3 no.3
    • /
    • pp.41-57
    • /
    • 1996
  • 본 연구는 광희중학교 학구내에서 재개발로 인하여 증가되는 인구수을 예측하여 장래 중학교 학생수를 예측하였다. 2016까지 학급당 학생수를 37명으로 하고 36학급 규모의 학교를 추구한다면 중학교는 적어도 1개 더 건축하여야만 재개발로 늘어나는 제1학군의 학생수를 수용할 수있을 것음을 분석하였다. 또, 교과과정을 분석한 결과 도덕 2.5교실, 국어 6교실, 사회 5교실, 수학 5교실, 과학 5교실, 체육 4교실, 음악 2교실, 미술 2교실, 가정 1.5교실, 기술 3교실, 영어 5.5교실, 한문 1교실, 컴퓨터 1교실로 분석되어 이용율이 88%가 되었다. 본 연구는 광희중학교 구체적 건축계획에 앞서 계획의 모델을 설정하여 이를 토대로 계획에 임하였다. 광희중학교 주변의 접근성, 교통 조건, 소음 상태, 지역사회인의 이용, 전망 등의 환경 분석을 토대로 4개의 죠닝(Zonning)안을 제시하여 평가한 후 가장 바람직한 안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브록(Block)프랜을 5개 작성하여 평가후 1개 안을 채택하여 구체적 평면 계획안을 작성하였다. 36학급 37명 학생수를 기준으로 교과교실형으로 계획하였으며 특별 교실형의 학습도 가능하게 계획하였다. 교수, 학습의 복합화에 대처하여 칸막이를 이동 가능한 형태로 계획하였으며, 일반 교과도 컴퓨터를 이용한 수업이 가능하게 정보 코너를 설치하였다. 지역사회인에게 열린 교실이 되게 계획하였고 개별 학습이 가능한 구조로 계획하교 기자재의 선진화를 대비한 학습 환경의 제고도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입면 형상은 주변 건물과 조화되게 수평적 요소가 강조되는 형상이 되도록 계획하며 고층의 아파트의 위협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지붕이 있는 구조로 계획하여 지역사회에서 중심임을 강조하도록 계획하였다.

  • PDF

The Comparison of Room Acoustics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초등학교 교실의 음환경 비교연구)

  • Moon Kyu-Chun;Park Kye-Kyun;Yeon Chul-Ho;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293-296
    • /
    • 2001
  •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실은 열린교육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열린교실을 표방하고 진행되고 있다. 또한 건축설계에 있어서도 과거의 종합 표준설계에 의하지 않고 각 학교마다 별도의 건축설계에 따라 지어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의 초등학교 교서의 차음환경을 조사하고 새로이 지어진 교사의 교실과 열린교실의 실내 음환경을 조사하여 현재 상황을 분석평가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건축시공연대가 다른 초등학교 3개 학교를 선택하여 단위교실에서의 실내음향인자(RT60, C80, D50, RASTI)와 인접교실과의 차음성능(TL)을 측정하였다. 또한 해당교실의 학생과 교사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측정은 외부와 복도에 인접한 창문의 개폐여부와 실내의 위치별로 이루어 졌다. 실험결과, 열린교육에 따라 가변적 교실의 구성은 기존의 교실보다 차음성능이 평균$5\sim6dB$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축교사의 RASTI값(0.73)이 10년 이상 된 학교(0.70)나 열린교실(0.64)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명료도(D50) 역시 일반 신축교사가 열린교실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실의 기밀과 내부바닥의 마감자재로 비롯되었으며 최근의 열린교실은 음의 차음과 실내명료도에서 열악한 것으로 결론되었다.

  • PDF

Comparison of Speech Intelligibility depending on the Sound Source Location in the Classrooms of Middle and High Schools (음원의 위치에 따른 중${\cdot}$고등학교 교실의 음성명료도 비교)

  • Lee Hwan-Hee;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87-490
    • /
    • 2002
  • 학교 교육의 특성상 많은 부분이 교실에서의 음성정보 전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바람직한 청취환경의 개선이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중${\cdot}$ 고등학교의 수학능력시험의 국어, 영어 듣기평가 및 다양한 어학 시험이 시청각 시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교실의 음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음환경을 좌우하는 음원의 위치에 따라 명료 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 명료도가 높고, 교실 전체에 균등한 분포를 보이는 음원의 위치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교실 내의 음원의 위치로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column(벽면 노출형)과 ceiling(천정 매입형) 위치와 임의의 음원 cluster(전면 중앙)를 선정하여 음장 파라메터를 측정한 결과 RASTI 는 세 타입 모두 $0.54\~0.55$로 값으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잔향시간은 ceiling>cluster>column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잔향과 명료도와의 관계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험 결과 잔향시간이 1.33초로 가장 긴 column 스피커의 경우 D50 값이 약 $47\%$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column형 스피커의 경우 음원과 각 학생의 위치에 대한 평균 직접음선거리가 가장 짧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Empathy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COVID-19 Disaster : through Risk Perception and Indirect Trauma (코로나19 재난 상황에서 공감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위험지각과 간접외상을 통하여)

  • Han, Jeong-Soo;Choi, Ju-Hee;Lee, Sang-Ok;Kim, Yoo-Ri;Kim, Su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11
    • /
    • pp.609-625
    • /
    • 2021
  • It has now been more than a year since the start of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which has claimed thousands of lives and changed every aspect of life. The corona pandemic not only caused physical damages but also psychological one which is a collective social stress phenomenon often termed as 'corona b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mpathy affects anxiety and depression through risk perception and indirect trauma, which are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the corona pandemic as a disaster. The survey data from 214 people were analyz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results shows that 53.3 %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nxiety and 35.7% suffered from depression, which were about 6 times higher than ones from the 2019 government data. Affective empath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isk perception, and cognitive empath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direct trauma. Risk perception and indirect trauma bo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nxiety, and anxie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Only cognitive empathy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nxiety and depression. 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insight into understanding a social phenomenon of 'corona blue' from a empathic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