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Optimum Size Calculation of Unit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Size of the Human Body and the Layout of Teaching Tools and Desks

인체치수와 교구배치를 고려한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규모산정계획에 관한 연구

  • 김학 ((주)건축사사무소도시건축)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This study is for the size calculation of classroom based on the size of human body and teaching tools.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has been changed since 1960. It has been reflected on the size of classroom of elementary school. The new education curriculum-the 7th curriculum- demands various activities in classroom.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repealed the statute about the facilities of the schools on September in 1997. So we need to different size of unit space of the classroom in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size of classroom will affect the quality of education. It is generally known that a part of human body-size has an invariable proportion with human's status, age and weight.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nd out a part of human body-size of Korean. Then the size of classroom is calculated by the part of human body-size, teaching tools and the type of desk arrangement.

이 논문은 인체치수와 교구에 기초한 일반교실평면크기의 산정에 관한 연구이다.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은 1960년대 이래로 지금까지 7차에 걸쳐 변화되었으며, 그러한 교육과정의 변화는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평면에 반영되어 왔다. 새로운 교육과정인 제7차교육과정은 학급 내에서 다양한 활동을 수용할 것을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교육부는 1997년 9월 학교시설기준을 폐지하였고, 일반교실의 규모가 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할 때, 초등학교 일반교실의 크기에도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각 부위별 인체치수는 키, 나이, 몸무게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각 인체부위 치수를 산정하는데 있어서 키, 나이, 몸무게를 독립변수로 한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그 다음 각 부위별 인체치수, 교구 및 책상배열에 따라 일반교실의 크기를 산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