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향상

Search Result 2,12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onverging Technologies for the Cognitive Enhancement of Human (인지향상 융합기술)

  • Suh, J.D.;Song, K.B.;Chung, M.A.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3
    • /
    • pp.1-13
    • /
    • 2011
  • IT 디바이스, 컴퓨터 등의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의 혁신적인 발전과 사용으로 현대인간의 인지능력은 수백 년 전 인간에 비하여 크게 확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지향상 기기들은 아직까지는 대부분 인간의 몸에 휴대한 상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인간의 신체와 일체화되거나 스며들어 자연스럽게 융합접속되어 있지 않다. 만일 인지향상 기능을 갖는 정보통신 전자기기들이 인간의 몸과 일체화되어 활용할 수 있다면 인간의 인지능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향상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인간인지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인지향상 융합기술 개념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인지향상 융합기술의 사례와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

A Study o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etacognitive ability with Scratch Programming (스크래치 EPL교육을 통한 상위인지능력 향상 방안 연구)

  • Jo, Moon-Hyun;Sohn, Won-S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1-35
    • /
    • 2010
  • 현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시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상위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여러 교육용 프로그래밍 교육은 그 자체의 기능을 익히는데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정작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많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교육용 프로그램 스크래치는 기존에 교육용 프로그램이 갖고 있던 여러 가지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쉬운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논리력이나 문제해결력 같은 고인지 사고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자신의 인지상태를 탐색하고 학습 혹은 문제 해결 과정에 필요한 인지적 자원을 분석하며 능동적으로 조정하는 인지적 상호작용의 총합인 상위인지능력의 향상에 중점을 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상위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특집 : IT 융복합의료기기 기술 - 고령화 노인의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체감형 3D 인지 시스템과 컨텐츠 개발

  • Jeong, Gyeong-Yeol;Im, Byeong-Ju;Park, Chang-Dae;Park, Seong-Won;Gang, Gi-Su
    • 기계와재료
    • /
    • v.23 no.1
    • /
    • pp.44-51
    • /
    • 2011
  • 사람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기억력, 지능, 언어, 운동 기능 등의 인지능력이 저하되므로 대상 노인에 특성에 맞는 적절한 재활치료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체감형 3D 인지시스템은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하고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컨텐츠를 적용하여 환자의 특성에 맞는 의료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원예 컨텐츠는 노인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인지능력 향상과 우울증 감소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가상현실 시스템은 위치인식, 동작인식, 디스플레이 등의 하드웨어 장치들을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와 종류와 특징을 분석하고 관련 재활치료 방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체감형 3D 인지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듈과 재활치료에 적합한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안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Cognitive Enhancement Protocol Based on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Program to Improve Cognitive Level of Older Adults Residents in Small-Sized City Community: A Pilot Study (중소도시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프로그램 기반 인지향상 프로토콜 적용: 파일럿(Pilot) 연구)

  • Yun, Sohyeon;Lee, Hamin;Kim, Mi Kyeong;Park, Hae Yean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2 no.2
    • /
    • pp.69-83
    • /
    • 2023
  • Objective : This study, as a preliminary study, applied an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ome-based program to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and to find the possibility of remote rehabilitation. Methods : This study from August to October 2022, three subjects were selected and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about 2 months. This intervention was conducted using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Computer Cognitive Senior Assessment System,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to evaluate cognitive improvemen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therapist remotely set the level of cognitive training according to the subject's level through weekly feedback.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all subjects showed improved scores in most items of the MoCA-K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addition, among the items of Cotras-pro, upper cognition, language ability, attention, visual perception, and memory were improved. Conclusion :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using an ICT home-based program not only prevented dementia but also made it habitual.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remote rehabilitation for the elderly could be possible.

Design and Development of Serious Puzzle Game for Cognitive Enhancement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기능성 퍼즐게임 설계 및 구현)

  • Kang, My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47-24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치매 등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퍼즐 게임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치매 등 인지기능 저하에 따른 질병은 고령층에서 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게임의 UI와 규칙은 가급적 단순해야 하며, 동시에 기억력과 판단력, 반응속도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령층에서도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UI를 단순화시켰으며, 순간적인 인지능력과 단기기억력 및 판단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색맞추기 퍼즐게임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Muscle Function and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for Parkinson's Patients (파킨슨 환자를 위한 근 기능 및 인지능력 통합 향상 프로그램)

  • Jeung, ye-chan;Choi, Hy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145-1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파킨슨병이 우리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고 노인들 만이 아니라 젊은 사람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들을 위해 근 기능 및 인지능력을 향상 시키는게 목표이다. 파킨슨병은 현재까지 원인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도파민 세포가 손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아직은 약물치료와 식이요법 치료를 통해 질환의 증상을 중지시키거나 느리게 할 수 없다. 파킨슨병의 증강 중 가장 중심이 되는 근 기능 문제와 인지능력을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는 기대를 할 수 있으며 이것을 통해 다른 증상들도 느려 질 수 있도록 하는 기대를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통한 근 기능 능력이나 인지능력을 동시에 향상하고 대상자 개개인의 능력에 맞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는 연구이다.

  • PDF

A Study on the Content Case for the Improvement of Senior Cognitive Capabilities (노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콘텐츠 사례 연구)

  • Jung, tae-won;Ha, kw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71-72
    • /
    • 2019
  •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 사회의 노령 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신체능력 및 인지능력의 저하가 전 세계의 사회적 문제로 자리 잡았다. 인지능력의 저하는 치매로까지 연결될 수 있어 초기에 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인지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콘텐츠들이 디지털화를 통해 효용을 높이고 있으나 노인을 위한 콘텐츠는 사용자의 특성상 디지털 콘텐츠로의 전환 및 활성화가 쉽지 않아 아날로그 콘텐츠가 현재까지도 일상 및 병원 치료활동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재 사용 중인 아날로그 콘텐츠의 사례분석을 통해 노인 콘텐츠의 특성을 파악하고 한계점을 도출해 노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콘텐츠가 제공해야 하는 특성과 발전해나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 경도인지장애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 수행되었다.

  • PDF

The Effect of Intervention o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of Patients with Dementia in Korea :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국내 치매환자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Jung, Jae-Hun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9 no.5
    • /
    • pp.91-10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abou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intervention for patient with dementia. We searched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10 to June 2021 in 5 databases. A total 1,104 studies were found and included 27 studies in final analysis. Methodological quality was assessment with the Cochrane's RoB(risk of bias) tool.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was the most used as the assessment tool for identifying the cognitive function. Cognitive function intervention were exercise, art, cognitive stimulation, reminiscence, music, multimodal cognitive rehabilitation, virtual reality, horticultural,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intentional snoezelen, beauty, cooking, korean traditional familiarity program. Most of the intervention except exercise 2, virtual reality 1, beauty 1 were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This study provided a clinical evidenc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 for cognitive function intervention. In the future, various intervention studi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should be conducte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research methods.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s of the Korean Elderly: Comparison of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Normal Group (한국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 메타분석: 인지기능장애집단과 일반집단 비교)

  • Kim, Ilsik;Kim, Gyeryung
    • 한국노년학
    • /
    • v.37 no.4
    • /
    • pp.813-83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of the elderly into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the normal group to compare the effect sizes of the groups using meta - analysis. Among the previous studies 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s reported in Korea for the last five years, 86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s were summarized using meta-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both groups. The effect sizes of the intervention types were high for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the exercise and cognitive-based interventions were similar for the normal group. The gender effect size was higher for the women with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higher for the combined case with normal group.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group size were higher for 20 persons in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higher for 21~40 persons in normal group.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in both groups was higher than 32 times,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3 times for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4 to 6 times for the normal group. The duration of activity was 55~60 minutes in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70~180 minutes in normal group as the number of sessions and activity time increased the effect size was higher in normal group.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 sizes of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type and the activity factors between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the normal group.

Cognitive Contrast Enhancement of Image Using Adaptive Parameter Based on Non-Linear Masking (비선형 마스킹 기법 기반의 적응적 파라미터를 이용한 영상의 인지적 대비 향상)

  • Kim, Kyoung-Su;Kim, Jong-Sung;Lee, Cheol-Hee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11
    • /
    • pp.1365-1372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 cognitive contrast enhancement algorithm based on the non-linear masking to advance low cognitive contrast in dark regions of images. In order to improve brightness in dark regions of an image, we propose a new contrast enhancement algorithm based on the non-linear masking using regional adaptive parameters of an image.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posed method, chromaticity and saturation comparison as a quantitative assessment and z-score comparison as a qualitative assessment were executed between test images and their simulated images by SSR, MSR, a conventional non-linear masking and the proposed method,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showed low chromaticity and saturation difference and improved cognitive contrast for the three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