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적 측면

Search Result 1,16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Comparison of the Learning Effects on Knowledge, Affectivity and Behavior depending on Internet Ethics Education Method in the University (대학 인터넷윤리 교육 방법에 따른 인지.정의.행동 영역별 학습 효과 비교)

  • Kang, Sunghee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6 no.5
    • /
    • pp.31-3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examine the knowledge, affectivity and behavior of students between before and after Internet ethics education depending on education method. The class for A group was being taught by tutor-oriented teaching method based on explaining and the class for B group was characterized by student-oriented studying based on participation of students. Upon comparing the changes of the knowledge, affectivity and behavior after Internet ethics education, the tutor-oriented teach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for knowledge in Internet ethics education and the student-oriented studying based on participation of students was more effective to change the student's affectivity. In the behavior, both A group and B group had a tendency to be changed positively after educ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rder to produce actual results on Internet ethics education as integrated morality education,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join and take a leading role in the class and for tutor to teach students supplementarily what they need to know essentially.

  • PD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Using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예비 초등교사의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인식)

  • Choi, Eunah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9 no.3
    • /
    • pp.491-511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relation to using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realized using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more importantly than the history of mathematics. They thought that the contents of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should be increased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teacher education about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Finally, this paper asserted that teacher education is the key to the teacher perception on and using of the history of Korean mathematics.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rought information for public awareness (국민체감 가뭄정보 개발 연구)

  • Kim, Young-Oh;Lee, Chul joo;Kang, Tae-Ho;Hwang, Hyunjung;Kim, Jih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5-15
    • /
    • 2020
  • 기후변화로 인하여 가뭄은 그 위험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잠재적 대규모 가뭄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뭄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국가적 수자원 관리를 넘어선 국민 전반이 가뭄 심각성을 인지하고 적합한 대응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상, 수문, 농업 등 가뭄 발생의 다양한 측면들을 표현한 여러 가뭄지수 및 정보가 이미 생산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한다면 국민이 가뭄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물 절약 등의 행동에 동참하도록 하거나 농민의 경우 사전에 대처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는 등, 공급측면에서의 수자원 관리 뿐만 아니라 수요 측면에서의 대응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현재 제공되는 가뭄지수 및 정보는 전문적 지식이 있는 의사결정자 및 연구자 등을 위한 것으로, 일반 시민이 이러한 정보를 통해 가뭄의 상황을 이해하고 해석하여 그에 따른 행동을 하기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용한 가뭄지수 및 정보로부터 국민이 체감할 수 있으며,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설득할 수 있는 가뭄정보 생산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사회과학적 이론, 포커스그룹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민의 가뭄정보에 대한 인지 및 이해 특성을 파악하고, 시민자문단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국민에게 현재 가용한 가뭄정보를 제공하고 어떻게 바라보는지 분석함으로써, 국민이 체감 가능한 가뭄정보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재 가뭄에 대한 뉴스 등이 어떠한 방식으로 생산되고 유통되는지를 분석하여 이로부터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국민을 설득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민이 가뭄의 상황을 인지하고, 국가적 차원의 가뭄 대응의 필요성을 이해하며, 물 절약 등의 행동을 하도록 설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점차 심각해져가는 가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Impa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Purchase Intention for Small Enterprise Products: the Roles of Quality and Channel (개인적 차이 변수들의 중소기업제품 구매의도 영향에 대한 연구: 품질과 유통의 역할)

  • Shin, Ji-Yong;Park, Seong-Y.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6 no.4
    • /
    • pp.75-94
    • /
    • 2011
  • Our objective is to investigate the various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small enterprise products and to interpret the impact of these variables in terms of individual differences. Need for cognition, need for uniqueness, and self-regulation are selected to explain the choice or purchase intention. The major reasons that consumers are reluctant to purchase small enterprise products are mainly due to problems in quality and distribution channel. When these problems are resolved, it is interesting to see how the individual differences affect purchase intention for small enterprise products and how the impacts will be changed. Previous studies assumed uni-dimensionality of need for cognition and need for uniqueness. We relaxed the assumption, incorporated the nature of multi-dimensionalities for these variables and showed that sub-dimensions of these variables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After improving the conditions of quality or distribution channel, promotion focus and prevention focus for sub-dimensions of self-regulation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and sub-dimensions of need for cognition and need for uniqueness have enhancing or reducing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consumers expect some levels of quality or distribution channel to reach consumer choice. Results for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how sub-dimensionalities of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are combined to form groups and how these groups are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Emphasis of quality over price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urchase intention of small enterprise products.

  • PDF

A theoretical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mulus-Patterns of Marking on the Road-Surface and Driving-Behavior (Aiming at developing a suitable Model related) (노면표지 자극양상과 운전행동 간의 관련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관련된 적정 모델 개발을 목표로))

  • 윤홍섭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6
    • /
    • pp.101-110
    • /
    • 2000
  •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들의 현실적 노면표지 형태가 그 강도, 종류 및 출현빈도 측면에서 드러내는 지속적 증대 내지 강화 경향성을 문제점으로 제기하면서, 이런 노면표지 형태와 운전행동 간의 관련성에 대한 심리학적 제반 이론들을 고찰해보고 아울러 여기서 상호 연관적 특성을 밝혀주는 하나의 적절한 모델을 개발해보고자 하는 데에 두었다 이 모델에서는 운전자의 사고예방이나 안전운행이 곡 필요한 수준의 노면표지 자극화(stimulation)를 통해 조성된 쾌적한 교통환경에서 보다 용이하게 가능하다는 점이 전제되고 있다. 우리가 인간행동을 총체적으로나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어서는 일반심리적이거나 행동주의적 제반 이론 관점이 다소 미흡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반면에 보다 거시적이고 종합적인 통찰에 중점을 두고있는 형태주의 심리학이나 장 이론적 시각은 행동분석 시에 비교적 결실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노면표지 자극의 양상여하가 운전자에게 스트레스, 정보과부담, 과도한 심리적 각성상태 등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는 이런 문제점이 환경심리학적 고찰측면에서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노면표지 조성화 양 관점 모델\"에서 시사되고 는 터이지만. 이 모델에서의 노면표지 형태가 이론적인 면에서 \"정서-인지적\" 인간관에 근거를 두고있어 궁극적으로 이것이 옳다면, 그것은 곡 필요한 최소한의 수준에 머물러야 한다는 것이다. 올바른 운전행동, 다시 말해 교통법규 준수 행동은 노면표지 양상 측면의 각종 자극적 강화대책보다도 오히려 실효성 있는 교통교육, 확실한 적발 단속과 엄중한 처벌대책에 상대적으로 훨씬 더 큰 비중을 두고있는, 바로 그런 운전자의 의식개혁을 통해 비로소 제대로 정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모델의 타당성 여부는 후속적 실증연구를 통해 해명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Demonstratives: based on Korean, English, Spanish and Russian text (지시사 대조연구)

  • 김명자;채숙희;조은영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5 no.1
    • /
    • pp.13-24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the anaphoric usage of demonstratives when they refer to what are already mentioned in the context. We examin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choice of demonstratives. As for anaphoric usage, English and Spanish show the even distribution between proximal and distal demonstratives with the meaning of their deictic counterparts. Korean and Russian, however, show the uneven distribution of the more prevalent form (unmarked on) and the lesser one (market one). This study aims at a typological explanation for the anaphoric usage of demonstratives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such factors as the distance to the antecedent, cognitive status,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center of attention.

  • PDF

A Study of Students' Mathematical Context Information Accompanied Problem -Solving Activities (수학적 맥락 정보를 이용한 수업 환경에서의 학습자의 문제 해결 활동)

  • Bae Min Jeong;Paik Suk-Yoo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7 no.1
    • /
    • pp.23-44
    • /
    • 2003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henomenon presented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activities of students with the mathematical context information accompanied problem based on Freudenthal's mathematizing theory and Realistic Mathematics Educations about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In conclusion, taking a look at the results of study, open-ended contextual problem was had to offer in order to pull out various solutions.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develop their own methods, discuss their methods with others' and reinvent formal mathematics and its constructive process under the guidance of the teachers.

  • PDF

The Usefulness of Icon and Label Displays (표상방식에 따른 아이콘과 레이블 디스플레이의 유용성 비교)

  • 이주환;한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92-98
    • /
    • 2002
  • 복잡한 기능이나 개념을 제한된 공간에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아이콘이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아이콘 개발이 디자이너의 미적인 기준이나, 시스템에서 일률적으로 사용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콘이나 레이블같이 서로 다른 표상들이 그 표상 방식의 유용성 측면에서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으며, 기능의 표상 방식이 다르면, 아이콘이나 레이블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른 인지 처리 체계를 거친다는 기본 가정에 근거를 두고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아이콘을 기존에 형성된 표상 방식들 가운데서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표상들로 분류한 기준을 이용하여, 실제 컴퓨터 사용자 환경에서 통용되고 있는 아이콘들을 수집, 분류하고, 각각의 표상 방식에 따른 아이콘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각 아이콘에 대응되는 레이블과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새로운 기능을 익혀야하는 초기에는 아이콘보다 레이블과 같은 텍스트가 더욱 효과적이지만, 익숙해진 후 그 수행이 비슷해짐을 확인했다. 그러나 임의적 표상방식으로 디자인된 아이콘은 레이블보다 더 부정확하고 느린 수행을 지속적으로 나타냈고, 기능의 세 가지 표상방식에 따라서 아이콘에 대한 수행이 서로 다른 패턴을 보였다. 이는 아이콘과 같은 컴퓨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와 사용 단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인지적 속성인 표상 방식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Information Model and Usability of Website (웹사이트의 정보 모델과 사용성의 관계)

  • 이지수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4
    • /
    • pp.67-76
    • /
    • 2000
  • Websites support various user activities in a wide range of contents domain and so they require different approach to extract principal design problems. In the point of media perspective on websites, this paper figures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 user and website and discusses design factors of usability. It aims for the basic framework for interface design. In the media perspective website is an information entity mediating user and designer. Information entity is composed of various design factors relating to user, designer, website and others. It intends that user and information entity are accommodative to each other and have common conceptual model. To do so it is necessary for achieving usability objectives such as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user goal,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point of usability we examine design factors and features that are appropriate for users cognitive and affective func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entity model that constitutes contents, organization and representation level.

  • PDF

The Effects of Public Welfare Officials' Customer Orientation on Authentic Leadership (진성리더십이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Jin, Yoon-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2
    • /
    • pp.247-256
    • /
    • 2015
  • This study begins with the importance of customer satisfaction in public sector, social welfare and job enthusiasm and how authentic leadership impacts the job engag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To analyze and to verify the hypothe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with the genuine 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job engagement as a parameter, customer orientation as a dependent variable. Sample data was collected from 230 employe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located in Yong-in city. Strong association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perception and costomer oreintation was identified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 where job engagement plays significant intermediating role. In conclusion, positive perception toward leadership characteristic influence the job performance through desirable attitude formulation. Job engagement as a mediating variable strengthens the influence of autheneic leadership on the improvement in customer orientation which overcame the opposition, the exhaustion due to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from those who are engaged in welfare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