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지적 불안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7초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및 구조적 요인에 관한 고찰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Determinants that Affect Binge-Watching of Drama Series)

  • 이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05-418
    • /
    • 2018
  • 본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 속에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실증적으로 이들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기존 연구 문헌 고찰을 통해 영향 가능 요소로서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 시간적 가용성, 인지된 인터페이스 효율성, 인지된 콘텐츠 다양성, 정서적 불안정성, 드라마 몰아보기 동기들 등이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어떤 영향이 있는 지를 확인해 보았다. 또한 드라마 관여도의 조절 효과 또한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정서적 불안정성, 드라마 몰아보기 동기로서 즐거움과 스트레스 해소 동기, 프로그램 평판 동기 등이 드라마 시리즈물 몰아보기 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관여도의 조절 효과 또한 발견되었다. 연구의 결과가 지닌 의미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초등학교 내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hool Forests on Mental Health and Cognition of Elementary Students)

  • 최선혜;이연희;이윤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655-662
    • /
    • 2019
  •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학교숲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우정사업본부와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서울시 교육청이 협력으로 학교숲 조성사업이 실시된 서울 A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학교 숲이 조성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환경 감수성, 숲에 대한 태도, 우울과 불안, 공격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 결과 학교숲의 조성이 환경 감수성과 숲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고, 공격성 하위요인인 신체적 공격성과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환경 감수성을 높이고, 숲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신체적 공격성과 불안을 줄여줌으로 인지·정신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이에 따라 학교숲 조성이 아동들의 문제행동 감소와 자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인지와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로 학교숲 조성의 필요성을 고취하고, 학교숲이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Benzodiazepine의 재평가 및 적절한 사용 (The Reappraisal and Appropriate Use of Benzodiazepine)

  • 박성혁;김찬형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36
    • /
    • 2005
  • Benzodiazepine (BDZ) has the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of tolerance, withdrawal symptoms, and abuse/addiction, as well as chronically adverse effects. Although many guidelines have proposed the restricted prescription of them, their uses in many psychiatric areas as well as primary practice are still wide spread. So we tried to reapprais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DZ and then to consider the appropriate use. Firstly, meta-analyses on long-term use of BDZ indicated the cognitive impairment, which could be improved after discontinuation of BDZ. Next, there have been some evidences that the long-term use of BDZ does not develop tolerance, contrary to our concern, and maintains good anxiolytic effects. Also, physiological dependence should be discriminated from abuse/addiction, assuming the reality that the risk of BDZ abuse/addiction is surely overestimated. These issues are discussed in detail.

  • PDF

신체 접촉 모형의 비평 분석 (Critical Analysis of Conceptual Model of Touch)

  • 김은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95-402
    • /
    • 1997
  • 인지능력 손상으로 인해 치매환자의 정상 언어 사용은 점차 감소되고 좌절감과 스트레스는 상승된다. 신체접촉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서 치매환자를 지지하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겪는 불안을 완화한다. Hollinger와 Buschmann은 1993년 신체 접촉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그 모형을 적용하여 신체접촉 인지도와 우울과의 관계와 신체 접촉의 우울증감소 효과를 정상 노인과 우울증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그러나, 모형을 치매환자 연구에 적용시켜 검토한 연구는 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 접촉 모형을 비평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분석을 기초로 하여 모형을 치매 환자 연구에 적용하도록 변형시켰다. 치매 환자의 인지, 언어 능력은 손상되었지만, 환경에 반응하는 감정과 접촉 감각은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신체 접촉 모형을 치매환자에게 적용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이다. 개인의 문화 차이는 신체 접촉에 대한 인지와 반응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연구대상자 선택시 대상자가 신체 접촉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대상자는 인지 능력 손상으로 면담이나 질문지에 적당히 반응할 수 없으므로 연구시 관찰 방법의 이용을 제언한다.

  • PDF

대학생 집단에서의 불안증상 차원과 아동기 외상 종류의 특이 관련성 및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Specific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Symptom Dimensions and Types of Childhood Trauma and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 박광호;명우재;하태현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8-55
    • /
    • 2022
  • Objective : Childhood trauma is a risk factor for and resilience i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later affective symptoms.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anxiety symptom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a sample of college students. Methods : Data from 238 subjects who completed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and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were analyzed. Predictors for BAI score and factor analyzed anxiety symptom dimensions were examined using regression models. Path analytic models were appli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D-RICS score on BAI score. Results : The CTQ sco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BAI scor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D-RISC was significant as well. The cognitive dimension of anxiety was related to emotional abuse while the somatic dimension of anxiety to physical neglect. The CD-RISC score did not mediate those relations between anxiety dimensions and individual types of childhood trauma. Conclusion : Our data suggest that childhood trauma contributes to adult anxiety symptoms. There may be specific relations between types of childhood trauma and anxiety symptoms dimensions.

정서조절 방략을 반영한 운전자의 부정적 정서와 운전행동 간의 구조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etween the Driver's Negative Emotion and Driving Behavior Based o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권민정;오영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7-217
    • /
    • 2014
  • 자동차는 우리에게 생활의 편리함을 준 반면 대기오염이나 교통사고와 같은 심각한 문제들도 안겨주었다. 이에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들이 실시되고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교통사고 예방대책을 찾기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국민 정신건강 조사통계에 따르면 대표적인 부정적 정서로 꼽을 수 있는 우울과 불안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이와 관련하여 운전행동과의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우울과 불안을 포함한 운전자의 부정적 정서요인과 운전행동과의 구조모형을 구축하였다. 여기에 인간의 정서는 최종 행동으로 모두 나타나지 않으며 정서조절의 단계를 거친다는 연구를 토대로 정서조절 방략을 반영하여 이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분석결과 운전자의 부정적 정서는 안전운전보다는 위험운전행동에 더 많은 영향을 주며 정서조절 방략 중에서는 감정표현 억제가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재해석은 안전운전을 추구하는 순행적 대처행동에, 감정표현 억제는 위험운전을 감행하는 역행적 대처행동에 (+)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정서요인들을 매개로 한 총효과 분석에서는 감정표현 억제가 인지적 재해석보다 미치는 영향이 컸다. 본 연구는 운전자의 운전행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정책의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유발된 정서가 대학생의 부정적 어휘정보 처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iming Emotion among College Students at the Processes of Words Negativity Information)

  • 김충명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18-324
    • /
    • 2020
  • 본 연구는 정상 및 불안 집단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정적 어휘를 포함하는 서술어의 의미추론 과정에서 정서유형 및 부정어휘 출현의 정도가 과제처리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정서 3유형, 자극 2유형 그리고 부정어휘 횟수 3유형을 피험자 내 변인으로, 벡(Beck) 불안척도로 구분된 불안수준을 피험자 간 변인으로 혼합반복측정 설계를 적용하여 피험자 반응시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서유형과 자극의 종류 그리고 부정어휘 횟수에 대한 주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불안수준 x 부정어 횟수에서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긍정적 정서에 비해 부정적 정서에서, 비언어 자극보다는 언어 자극 환경에서 과제처리에 더 효율적이었지만, 부정어휘 변인에서는 그 횟수의 증가가 정상집단의 신속한 반응과 불안집단의 지연된 반응으로 분기되면서 부정어휘처리 반응시간의 지체로 나타났다. 또한 유입 정서유형 및 자극의 종류와 상관없이 불안수준은 과제처리 속도를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추후 연구를 위한 함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낮은 자기분화수준을 가진 학령기 아동 어머니의 양육불안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sing-Anxiety of Parenting of children in school age with Low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 이원선;홍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2호
    • /
    • pp.31-42
    • /
    • 2022
  • 본 연구는 낮은 자기분화수준을 가진 어머니의 양육불안 경험에 관한 연구로서 대상으로는 학령기 자녀가 있는 어머니 중 자기분화척도 수준이 낮고 양육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어머니들을 선정하여 심층인터뷰와 검사를 실시하였고 Giorgi의 현상학 방법으로 단계에 맞춰 경험적 현상을 분류하고 범주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일반적 구조기술로서 통합하였다. 현 시대적 과제로서 학령기 부모의 양육불안의 원인과 핵가족화로 인한 자녀의 수가 적어짐으로 인한 가족의 문제들과 양육불안에 대한 경험들을 범주로 묶어 일반화함으로써 자녀의 사회적응과 정서에 미치는 양육태도와 어머니가 가진 낮은 자기분화수준과 불안의 원인과 같은 문제점들을 인지하고 양육의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인문계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i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Mediation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Self-Criticism)

  • 김슬기;이동귀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5권2호
    • /
    • pp.243-264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273명(남학생 83명, 여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약 3주간의 간격을 두고 총 2회에 걸쳐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우울,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의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우울, 사회불안, 자기초점적 주의, 자기비난 사이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비난을 거쳐 우울로 이행되는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우울 대신 사회불안을 기준변인으로 했을 때도 동일한 매개효과 패턴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초점적 주의를 매개로 하여 각각 우울 및 사회불안으로 이행되는 과정을 경험적으로 밝혔고, 특히 사회불안의 경우에는 한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Clark와 Wells의 사회불안장애 인지모델을 적용하는 것의 타당성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성인여성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불안·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al and Economic Levels of Adult Women on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 김진동;정민영;김경범;노진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29-3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성인 여성의 불안 및 우울증상 경험여부와 사회 경제적 수준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1차년도 원시자료를 이용하였고, 성인여성 3,453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건강변수를 보정한 후 사회경제적 수준과 불안 및 우울증상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불안 및 우울증상 경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나이, 결혼상태, 교육수준, 소득수준, 경제활동 참가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평소 스트레스 인지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대한민국 성인여성의 사회 경제적 수준과 불안 및 우울증상 경험여부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결론지었으며 저소득, 저학력, 미취업 여성들을 위한 우울증 예방 및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