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지적 변인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34초

비례 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 분석 (Analysis on cognitive variables affecting proportion problem solving ability with different level of structuredness)

  • 성창근;이광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331-352
    • /
    • 2012
  • 이 연구는 비례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비례 문제를 구조화 정도에 따라 잘-구조화된 문제, 구조화된 문제, 비-구조화된 문제로 분류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비례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으로 사실 알고리즘 지식, 개념적 지식, 문제유형 지식, 양의 변화 인식, 메타인지를 추출하였다.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해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데 서로 다른 인지적 변인이 영향을 주었다. 즉 잘-구조화된 문제 해결에는 사실 알고리즘 지식과 문제유형 지식, 그리고 구조화된 문제 해결에는 개념적 지식, 문제유형지식, 양의 변화 인식, 마지막으로 비-구조화된 문제해결에는 메타조절, 개념적 지식, 양의 변화 인식, 문제유형지식이 영향을 주었다. 이처럼 문제 유형에 따라 다른 인지적 변인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학수업에서는 문제 유형에 따라 다른 교수학습 방법과 다른 평가 틀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학생들의 비례 문제 해결 능력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수학 수업에서 구조화된 문제와 비-구조화된 문제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비유를 사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대응 이해 및 대응 오류 유형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Mapping Understanding, Mapping Errors and Cognitive/Affective Variables in Learning with Analogy)

  • 김경순;황선영;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50-157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비유를 사용한 '농도와 반응속도'에 대한 학습에서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들의 상 하위 수준에 따른 대응 관계 이해도와 대응 오류 유형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 변인들과 대응 관계 이해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사전검사로 논리적 사고력, 시각적 심상화 능력, 비유 추론 능력, 자아 효능감, 인지욕구 검사를 실시하였다. 비유를 사용한 수업을 진행한 후, 친숙도 검사와 대응 관계 이해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적 심상화 능력과 친숙도를 제외한 모든 인지적 정의적 변인의 수준이 상위인 학생들의 대응 관계 이해도 점수가 하위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과잉 대응, 대응 불이행, 불가능한 대응, 인위적 대응, 부적절한 대응, 무분별한 대응, 비유물 속성 보유 등의 대응 오류 유형의 빈도가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의 수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학생들의 대응 관계 이해도 점수는 모든 인지적 정의적 변인들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 과학 성취도, 논리적 사고력, 친숙도가 대응 관계 이해도에 대한 유의미한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화학 문제 해결력과 인지적.정의적 변인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Chemistry problem Solving Ability with Cognitive Variables and Affective Variables)

  • 노태희;한재영;김창민;전경문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8-7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화학문제 해결력과 인지적 변인(논리적 사고력, 기억 용량,학습 전략) 및 정의적 변인(자아 효능감, 능력에 대한 자아 개념, 학습 목적, 과학에 대한 태도) 사이의 관계를조사하였다. 수리 문제와 개념 문제 해결력에 대한 변인들의 예언력을 중다 회귀 분석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변인 중 논리적 사고력이 수리 문제의 해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개념 문제의 해결력은 학습 전략이 가장 많이 설명하였으나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정의적 변인 중 능력에 대한 자아 개념은 수리 문제와 개념 문제 해결력 모두에 대해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으며, 자아 효능감은 개념 문제 해결력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나 설명력은 없었다.

  • PDF

과학적 사고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회귀분석 결과 (An Regression Analysis for Variables on Effect of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 김영신;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10-724
    • /
    • 2001
  • 본 연구는 과학적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설명력을 분석하는데 그 기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5학년,8학년,11학년 학생 총 375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사고력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한 변인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과학적 사고력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적 변인의 설명력은 약 60%, 심리적 변인 10%, 가정 변인 5%, 학습환경 변인 10%였다. 이들 변인이 과학적 사고력을 최대 85% 설명하였다. 학년에 따라서 과학적 사고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학습자의 인지적 변인, 심리적 변인, 가정 변인, 학습환경 변인이었다. 가정 변인과 학습환경 변인은 과학적 사고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학교급에 따라서 그 설명력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학교급에 따라 과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에 차별화가 필요하다.

  • PDF

사회-환경적 변인과 인지적 변인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Depression in Adolescence : Path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and Cognitive Variables)

  • 김선하;김춘경
    • 아동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249-261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and cognitive variables on adolescent depression. Subjects were 49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Deagu. The instrument w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Among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social support variables had a stronger effect on depression than stress. Among cognitive variables, automatic thought had a stronger effect on depression than cognitive distortion and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In path analysis,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cognitive distortion and automatic thought. Automatic thought served as a mediater of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lthough adolescent stress resulted in high depression, its effect on depression varied with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 PDF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GNITIVE APPRAISA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COPING BEHAVIOR)

  • 문성원;한종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2호
    • /
    • pp.233-246
    • /
    • 1996
  • 성인의 스트레스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존재하지만,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해서는 포괄적인 연구가 아직 부족한 단계이다. 성인과는 다른 발달과업을 가지고 있고, 더구나 학교라는 구조적 환경 내에서 생활의 대부분을 보내기 때문에.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현재 느끼는 스트레스의 종류와, 그에 대한 대처 행동의 기제를 경험적 조사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스트레스 연구들이 구조적 변인에 관해서만 다루거나, 혹은 구조적 변인마저도 과정적 관점에서 다루려고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 정도에 관한 지각을 구조적 변인으로, 인지적 평가에 관한 부분을 과정적 변인으로 가정하여 대처 행동과 맺고 있는 관련을 측정하였다. 서울 시내 고교 2년생 519명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인지적 평가는 스트레스 상황에 따라서 달라지는 과정적 변인임이,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유형에 대해서 독립적인 구조 변인인 것이 확증되었다. 인지적 평가는 대처 행동보다는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평가과정에 더 많은 관련을 가지고 있었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평가와 행동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조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비자의 인지적 자원이 한정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종결욕구의 조절효과 (Effects of Cognitive Resour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carcity Products: the Moderating Effect of Need for Cognitive Closure)

  • 김민정;이형재
    • 서비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125-138
    • /
    • 2022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인저적 자원 소모 여부가 한정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 연구로 개인의 인지 특성으로 인지적 종결욕구 변인을 적용하여 조절효과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자의 인지적 자원은 많은 정보를 처리할 때 많이 소모되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많이 접하는 쇼핑환경을 적용하여 변인들 사이에 미치는 영향력 및 효과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인지적 자원 소모 수준에 따른 한정제품에 대한 행동적 차이를 살펴보고 이를 변인의 영향력에 있어 개인의 인지적 종결욕구 성향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 번째, 인지적 자원 수준에 따른 한정제품 구매의도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자원 수준이 고갈 되었을 때 보다 비고갈 되었을 때 한정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번째, 인지적 종결욕구의 조절효과에 따른 차이는 인지적 종결욕구가 낮을 때 한정제품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성별, 연령, 소득에 따라 집단별 소비자들의 인지적 자원과 개인의 인지적 종결욕구가 가지고 있는 특성 및 요인들을 고려하여 제품 유형에 맞는 전략 등 상품 관리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변인, 변칙 사례에 의한 인지 갈등, 개념 변화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Cognitive/Affective Variables, Cognitive Conflict Induced by Anomalous Data, and Conceptual Change)

  • 노태희;임희연;강석진;김순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58-66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 변칙 사례에 의한 인지 갈등, 개념 변화 사이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배경 지식, 장의존성 독립성 학습 전략, 논리적 사고력, 목표 지향, 선개념 및 능력에 대한 자아효능감, 통제 신념 등을 조사하였고, 선개념 검사, 변칙 사례에 대한 반응 검사, 직후 개념 및 개념 파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변인과 변칙 사례에 의한 인지 갈등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다. 분자 운동에 대한 배경 지식, 장의존성, 독립성, 학습 전략은 학생들의 직후 개념 및 개념 파지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논리적 사고력과 직후 개념의 상관이 유의미하였다. 중다 회귀 분석 결과, 학습 전략이 학생들의 직후 개념과 개념 파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정의적 변인의 경우, 능력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직후 개념 및 개념 파지와, 목표지향은 직후 개념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능력에 대한 자아효능감은 직후 개념과 개념 파지에 대한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으며, 목표 지향은 직후 개념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 변인이었다.

  • PDF

모바일 교육용게임에서 학업성취와 동기변인과의 관계 (Relation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 variables on Educational serious game)

  • 최은영;최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3-464
    • /
    • 2015
  • 본 연구는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 유형들과의 관계가 학업성취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모바일 교육용게임 개발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지이론에 근거하면 학습동기변인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변인을 주로 살펴본 결과 내재적 동기요인들이 지속적 학업적 자기 효능 및 성취도에 정적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시적, 한시적 상황에서는 내재적 동기요인보다는 외재적 동기 요인이 좀 더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 PDF

스마트폰 쇼핑 활용도가 인지적 나이, 사회적 관련성, 기술 신속 적응성을 통한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phone Shopping Usage on Brand Loyalty through Cognitive Age, Social Relevance, and Rapid Technology Adaptation)

  • 나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298-307
    • /
    • 2022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쇼핑 활용도를 구성하고 있는 잠재 연구 변인들을 통해 고객으로 하여금 자신들이 인지하고 있는 인지적 나이 수준에 따라 사회적 관련성과 기술 신속 적응성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고객 자신들이 속해있는 세분시장 내에서 브랜드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쇼핑활용도와 이를 구성하고 있는 혁신성, 편의성, 유용성 그리고 쾌락성의 잠재 연구 변인들이 인지적 나이 수준에 어느 정도의 인과관계를 통하여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둘째, 고객 자신들이 인지하고 있는 인지적 나이 수준에 따라 사회적 관련성과 기술 신속 적응성의 매개변인 간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고 있는지 인과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셋째, 인지적 나이 수준에 따른 사회적 관련성 그리고 기술 신속 적응성을 통해서 고객들의 세분시장 내에서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서울 및 경기)을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는 표본집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3과 AMOS 23을 활용하여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연구 변인들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 그리고 연구모형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변인들의 타당성 및 신뢰성과 가설 및 모형이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왔고 이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