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OGNITIVE APPRAISA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ADOLESCENTS' COPING BEHAVIOR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96.12.31

Abstract

There have been great deal of studies on adult stress but comprehensive studies on adolescent stress are not sufficient. Because adolescents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tasks from adult's, and because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in a structured environment such as school, the research on adolescent stress is necessary. So,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types of stress and coping which students experience and their coping mechanisms in a stressful situation. In this study,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considered as stuructural variable, and cognitive appraisal as a process variable, while existing researches tried to explain the coping mechanism only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e, or hypothesized the structure variable in the process term. The relation ships between cognitive appraisal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coping behavior were evaluated. Survey on 519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howed that cogitive appraisal was a structural variable which varied across the types of stress, and that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a structure variable which was independent of the type of stress. Cognitive appraisal was related more to the qualitative process of stress appraisal than coping behavior,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an important structure which influenced both the appraisal process and coping behavior.

성인의 스트레스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존재하지만,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해서는 포괄적인 연구가 아직 부족한 단계이다. 성인과는 다른 발달과업을 가지고 있고, 더구나 학교라는 구조적 환경 내에서 생활의 대부분을 보내기 때문에.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현재 느끼는 스트레스의 종류와, 그에 대한 대처 행동의 기제를 경험적 조사를 통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스트레스 연구들이 구조적 변인에 관해서만 다루거나, 혹은 구조적 변인마저도 과정적 관점에서 다루려고 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 정도에 관한 지각을 구조적 변인으로, 인지적 평가에 관한 부분을 과정적 변인으로 가정하여 대처 행동과 맺고 있는 관련을 측정하였다. 서울 시내 고교 2년생 519명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인지적 평가는 스트레스 상황에 따라서 달라지는 과정적 변인임이, 그리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 유형에 대해서 독립적인 구조 변인인 것이 확증되었다. 인지적 평가는 대처 행동보다는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평가과정에 더 많은 관련을 가지고 있었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평가와 행동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구조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